[죽음에서 배운다]'장례 계획' 1 장례 계획 1 '생과 사' 다시 생각하게 하는 시간 ▲ 묘지와 화장막은 막연하지 않게 죽음의 실체로 경험된다. 사진은 부산영락공원에서 성묘객이 벌초하는 모습. 주검을 매장해 봉분을 만들어 돌아가신 이를 기리는 풍습은 우리의 독특한 장묘문화이다. 그러나 장묘문화도 묘지로 사용할 .. 생활 2016.03.11
[죽음에서 배운다] 죽어가는 과정 죽어가는 과정 질병·성격·신념 따라 '죽음궤도' 달라져 ▲ 죽어가는 과정을 연구한 학자들에 의하면 많은 사람은 '단기적이고 갑작스럽게' 보다는 '질질 끄는 유형'의 죽음궤도를 가진다고 한다. 사진은 부산의 한 요양병원 내부. '자는 잠에 가고 싶다'나 '99881234'는 사실 모든 어르신이.. 생활 2016.03.06
'댁의 LED 등은 안전하십니까" '댁의 LED 등은 안전하십니까" 화재 등에 안전성 부적합 판정을 받은 LED(발광다이오드) 등기구와 컴퓨터 전원공급장치 등이 전량 리콜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3일 LED 등기구, 직류전원장치, 컴퓨터용 전원공급장치 등 435개 제품의 안전성 조사 결과, 81개(18.6%) 제품에서 결함.. 생활 2016.02.17
아내 '명절 시트레스(시댁+스트레스)' 풀어주기… 바쁘다 바빠! 아내 '명절 시트레스(시댁+스트레스)' 풀어주기… 바쁘다 바빠! 주말, 대체휴무일까지 5일간의 설 명절 연휴가 끝난 뒤 후유증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올해 설 명절 연휴는 전반부가 길어지며 속칭 '시트레스(시댁+스트레스)'의 강도가 높았다. 명절에 시달린 아내들의 기분을 풀어주려는 .. 생활 2016.02.13
[죽음에서 배운다] '노부모' 돌보기 '노부모 돌보기' 死의 문턱… 자식으로서 감당해야 할 몫 ▲ 최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발표에 따르면, 한국의 노인진료비 증가율(2015년 상반기 기준)이 OECD 회원국 중 1위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배 A는 연로하신 부모님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부모님 두 분 .. 생활 2016.02.13
'명절 대피소' 아세요? '명절 대피소' 아세요? ▲ 파고다어학원 '명절대피소'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주어지는 '비상식량 꾸러미'. 각종 주전부리와 음료수가 들어 있다. 가게들이 대부분 문 닫은 설날, 서면의 한 어학원이 '명절대피소'를 열어 청춘들을 맞았다. 명절대피소. 말 그대로 명절에 일어나는 괴로운 상.. 생활 2016.02.10
"발열의자에서 시내버스 기다리세요!" "발열의자에서 시내버스 기다리세요" 창원 시내 9곳에 설치 ▲ 창원시가 성산구 대동백화점 앞 버스승강장에 시범 설치 살을 에는 한파에도 따뜻한 온기를 내뿜는 '발열 의자'가 시내버스 정류소에 등장했다. 경남 창원시는 겨울철 시내버스 이용자를 위해 마산역과 마산어시장, 은아아파.. 생활 2016.02.10
6·25 당시 300여 명 구한 '한국판 쉰들러' 있었다 6·25 당시 300여 명 구한 '한국판 쉰들러' 있었다 양산 서창지서장 고 오강환 씨, 주민살리려 보도연맹 명부 소각 - 계엄사 연행 고초, 경찰 옷 벗어 - 66년 만에 밝혀져 추모비 추진 6·25 전쟁 당시 보도연맹 관련자로 몰려 사살 위험에 처한 주민들을 구한 한 경관의 의로운 행적이 전쟁 발.. 생활 2016.02.10
[죽음에서 배운다] '부모를 잃은' 슬픔 2 '부모를 잃은' 슬픔 2 임종 지킬 가족 하나 없는 이들을 생각하면… ▲ 서울 중구의 홀로 사는 노인 고독사 예방 조례안. 친구 A는 강원도에 혼자 사는 엄마 이야기를 자주 했다. 밭일도 하면서 동네 분들과 잘 지내고 있지만, 늘 엄마의 새까만 손톱이 눈에 선해 마음이 아프다고 했다. 그.. 생활 2016.02.06
'아주 특별한 동네' 해운대 우3동 탄생 '아주 특별한 동네' 해운대 우3동 탄생 올해 우1동서 마린시티 분리, 아파트 19곳으로만 이뤄져 - 인구 2만8000여 명 대표적 부촌 - 주민자치위원들 고소득 전문직 '바다를 낀 부산의 강남'으로 불리는 해운대구 우3동(인구 2만8000여 명)은 대한민국에서 몇 손가락 안에 꼽히는 부자 동(洞)답게 .. 생활 2016.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