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
밀양 청도 '범봉~운문산'
금산금산
2018. 6. 5. 05:55
밀양 청도 '범봉~운문산'
암릉·계곡·풍광… 팔방미인 소리 듣는 영남알프스의 `진수`
석골사~범봉남릉~상운암계곡 원점회귀
12㎞ 코스… 넉넉잡아 6시간이면 완주
암릉·조망·계곡 산행 종합된 복합형 코스
해발 1000m가 넘는 연봉들이 거대한 산군을 이루는 '영남알프스'.
산꾼들에게는 예나 지금이나 변함없이 사랑을 받는 '산의 클래식'이자 '영남의 지붕'이다.
그런데 유독 9개나 되는 '영남알프스'의 1000m급 산 가운데 구름 낀 날씨가 어울릴 것 같은 산이 있다.
경북 청도와 경남 밀양에 걸쳐 있는 운문산(雲門山·1195m)을 말한다.
바람을 타고 하늘을 내달리던 구름도 거대한 산맥에 막혀 넘어가지 못하다가
운문산의 양쪽 '옆구리' 고갯길로 겨우 길을 열어 흘러갔을 것만 같은 산.
그래서 이 산의 이름의 뜻도 '구름의 문'을 가리키고 있는 것일까.
![]() | |
운문산 정상에서 바라본 서쪽의 풍광. 연분홍 철쭉 뒤로 범봉과 억산 사자봉 문바위로 연결되는 능선이 장쾌하다. 사진 중간 오른쪽에 도드라져 보이는 바위가 억산 깨진바위다. |
하지만 운문산이라는 이름은
'운문사'라는 절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것이 정설이다.
불가에서는 이곳저곳 돌아다니며 공부하는 수도승에 비유해
'백운(白雲·흰 구름)'이라 부르고, 어느 절이나 암자에 머무르며
수도하는 승려를 '청산(靑山)'에 비유했다고 한다.
그래서 운문사는 수도하는 승려들이 불현듯 왔다가
소리 없이 가기도 하는 '구도자의 문'과 같은 절이라는
의미도 내포돼 있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운문산은 단순히 '구름의 문'이라는 의미 이상의 '그 무엇'을 담고 있다고 할 만하다.
실제로 해발 1195m의 운문산은 영남알프스에서 가지산(迦智山·1240m)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산이라는 점 외에도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기암과 암릉, 계곡 등 비경을 품고 있는 명산이다.
특히 원시림이 우거진 상운암계곡 딱밭골 천문지골 등 여러 개의 계곡과 아름다운 폭포를 거느리고 있어
지리산이나 강원도의 심산 못지않은 비경을 품고 있다.
사방 거칠 것 없는 정상부의 조망은 영남알프스 산군에서도 단연 으뜸으로 꼽히기도 한다.
'근교산&그 너머' 취재팀은 이번 주 '구름을 타고 오르고 싶어지는 산' 운문산을 찾았다.
통상 청도 운문산으로 불리지만 실제 산꾼들은 당일 산행으로 운문산을 오르내리기 위해
밀양시 산내면 원서리의 석골사를 기점으로 원점회귀 산행을 즐기는 편이다.
취재팀 역시 이 같은 트렌드에 맞춰 석골사 중심으로 답사를 진행했다.
다만 수많은 전망대를 가진 훌륭한 산길임에도 불구하고 운문산 산행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받았던
범봉 남쪽 능선길을 따라 범봉(962m)에 올랐다가 운문산 정상을 밟은 후
상운암을 거쳐 계곡으로 하산하는 코스로 잡았다.
오를 때는 최상의 조망을 즐기고 하산할 때는 계곡 산행을 만끽할 수 있는 '복합형 명품 코스'다.
![]() | |
GPX & GTM 파일 / 고도표 jpg파일 |
전체 산행은 석골사 주차장~억산 이정표~팔풍재갈림길~
대비골 하단(횡단)~구조 위치 표시 '밀양 아-1'(바위 왼쪽으로 진입)~
잇단 전망대~범봉~딱밭재~927봉 전망대(갈림길)~
전망바위(로프·위험) 암릉~상운암 갈림길~운문산 정상~
상운암 갈림길~상운암~천상폭포 앞 계곡~돌탑군~정구지바위~
딱밭재 이정표~범봉 이정표~대비골~석골사 순으로 진행된다.
총길이 12㎞에 순수하게 걷는 시간만 4시간40분, 휴식 등을 포함하면 6시간가량 걸리는 원점회귀 코스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국도 24호선 도로변의 원서리 버스주차장에서
석골사 표지판을 보고 석골사 방향으로 들어서면 절까지 걸어서 25분쯤 걸린다.
승용차를 이용하면 석골사 밑 무료 주차장에서부터 산행을 시작할 수 있다.
석골사 아래 위치한 석골폭포는 억산 범봉 운문산 산행을 하는 산꾼들에게는 잘 알려진 명소다.
수직으로 떨어지지 않고 중간에 완충지점을 두어 마치 2단 폭포와 같은 모습이다.
최근 잦은 비 때문인지 수량이 꽤 많아 운치를 더한다.
석골사 뜰의 주목나무가 눈에 띈다.
석골사 뒷문으로 나가 100여 m만 가면 등산안내도가 있는 억산 갈림길이다.
왼쪽 능선을 타면 억산으로 가는 최단거리(3.5㎞) 코스.
여기서 직진한다.
8분 후 소박한 장승이 서 있는 두 번째 억산 이정표를 지나고 왼쪽 커다란 바위 앞 갈림길에 닿는다.
왼쪽은 대비골을 거슬러 팔풍재로 오르는 길이지만 취재팀은 직진, 대비골 하단부를 건넌다.
10분 후 작은 전망대가 나온다.
상운암계곡과 건너편 치마바위가 눈에 든다.
이곳에서 20m만 더 가면 바위 아래에 첫 번째 구조 위치 표시 말뚝(경남소방서 밀양 아-1)을 만난다.
좋은 길을 버리고 바위 왼쪽으로 곧장 오른다.
일명 범봉남릉으로 진입하는 지점이다.
물론 좋은 길을 따라 150m쯤 더 가면 범봉 이정표가 있지만 둘러가는 길이기 때문에
이 지점에서 곧바로 능선으로 붙는 것이다.
바위 왼쪽으로 올라 3분만 가면 T자형 갈림길.
일단 왼쪽으로 20m쯤 가면 오른쪽으로 능선길이 열린다.
안내 리본을 참고하자.
이곳부터 범봉 정상까지는 줄곧 오르막이지만 6~7개에 달하는 전망대가 있어
산꾼의 가뿐 숨을 돌릴 수 있게 도와준다.
![]() | |
석골사 인근 석골폭포. 2단 폭포로 높이는 12m 안팎이다. |
8분 후 첫 전망대를 지나고 다시 5분 후 두 번째 전망대에 서면
운문산 정상과 운문산서릉 자락의 수많은 기암, 상운암계곡,
치마바위 등이 드러난다.
8분 뒤에 만나는 오른쪽 전망대 역시 마찬가지다.
가파르지만 뚜렷한 길을 15분쯤 더 오르면
이번엔 왼쪽에 천길 낭떠러지를 이룬 전망대가 나온다.
발아래 대비골과 문바위 사자바위 억산 깨진바위 등이
확연히 드러날 뿐 아니라 앞으로 가야 할 범봉남릉 자락의
거대한 바위절벽들이 함께 어우러져 비경을 자아낸다.
이곳에서 15분을 더 가면 널따란 바위 전망대다.
범봉 정상부가 보이기 시작한다.
잠시 평탄한 능선길을 따른다.
부드러운 흙길이다.
5분 후 작은 무덤을 지나면서 다시 경사도를 높인다.
철쭉나무가 터널을 이루고 있다.
무덤에서 20분 정도 가면 범봉 정상에 닿는다.
정상석은 없고 손바닥만 한 돌에 '범봉'이라는 임시 표시가 있을 뿐이다.
운문산과 억산 사이의 당당한 봉우리로서 범봉분맥이라는 결코 만만치 않은 산줄기까지 거느린
산봉우리치고는 너무도 평범한 모습이다.
왼쪽은 팔풍재를 거쳐 억산으로 이어지는 주능선 길.
취재팀은 오른쪽 내리막을 탄다.
딱밭재까지는 15분이면 족하다.
딱밭재 갈림길에서 왼쪽은 운문사, 오른쪽은 석골사로 하산하는 방향이지만 직진한다.
운문산 정상까지 줄곧 오르막이다.
15분 후 오른쪽이 확 트이는 전망대에 오른다.
지형도상 927봉으로 표시된 곳이다.
우측으로 하산하는 갈림길이 있다.
오른쪽 내리막은 상당히 위험한 암봉이 있어 주의해야 할 구간이다.
이곳에서 잠시 운문산 정상 아래쪽 상운암계곡 부근을 살펴보면 나무가지 사이에 폭포가 보이는데
그곳이 바로 빙벽 애호가들에게 선녀폭포로 불리기도 하는 천상폭포다.
겨울철에는 40m짜리 거대한 빙벽이 조성되지만 지금은 수량이 많지 않다.
![]() | |
범봉남릉의 한 전망대에서 멀리 억산 깨진바위가 보인다. |
능선을 오른쪽으로 살짝 비켜서 좀 더 진행하다 보면
작은 갈림길이 나오는데
왼쪽 어깨 위 능선 마루금에 큰 바위가 보인다.
일단 능선으로 20m만 더 오르면 로프 달린 전망바위에 오를 수 있다. 하지만 고소 공포증이 있거나 로프 타기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 산꾼이라면 피하는 것이 좋다.
갈림길에서 좋은 길로 직진해
70m만 가면 안전하게 암릉에 올라설 수 있다.
취재팀은 일단 로프를 잡고 암봉에 오른다.
이곳에서 바라보는 전망은 일품이다.
북쪽의 천문지골과 운문사 호거대 지룡산 등이 시원하게 펼쳐지고
서쪽의 범봉 너머로 억산 깨진바위와 사자바위 문바위 등이 모두 눈에 든다.
또 동쪽으로는 운문산 정상과 독수리바위로 이어지는
운문산북릉 가지산 문복산까지 보이기 때문에 놓치면 아쉬울 듯하다.
암릉을 지나 5분만 가면 이정표 없는 첫 번째 상운암 갈림길이 나오고
15분 후에는 이정표가 있는 두 번째 상운암 갈림길이 나온다.
직진해서 10분이면 닿는다.
헬기장 옆 정상에는 청도산악회에서 세운 정상석이 있는데 해발 1188m로 표시돼 있다.
물론 재측량을 통해 2001년 이후 지형도에는 1195m로 수정됐으니 참고하자.
운문산 정상에서의 조망은 영남알프스에서 가장 장엄하기로 명성이 자자하다.
동쪽의 가지산과 백운산 능동산 간월산 신불산 영취산 능선과
남쪽의 천화산 재약산 능선, 서쪽의 범봉 억산 사자바위 수리봉,
북쪽의 천문지골과 지룡산 문복산 쌍두봉에 이르기까지 막힘이 없다.
서쪽 멀리로는 지리산과 가야산까지 아스라이 들어온다.
고지대인 탓인지 정상부에는 아직까지 연분홍 철쭉이 한창이다.
붉은 꽃잎을 배경으로 한 영남알프스 자락의 풍경이 더욱 황홀하다.
![]() | |
하산길인 상운암계곡에서 만난 일명 '정구지바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