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원전해체] 선점 '골든타임' 놓친 부산!~

금산금산 2017. 6. 21. 21:26

[원전해체] 선점 '골든타임' 놓친 부산




고리1호기 3년동안 폐쇄 논의…市, 탈핵 예고에도 무관심

기술 인프라 구축 기회 날려

유치경쟁 재점화 주도권 상실…440조 시장서 배제될 우려





부산이 미래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기대되는 원전해체산업 관련 기술의 인프라 구축을 위한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고리1호기 영구정지 논의가 시작된 지 3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지만, 미리 예고됐던 이 사안에 대해 부산시를 비롯한 지역 사회에서 원전해체산업을 주도할 구심점조차 갖추지 못한 채 시간만 허비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지적은 고리1호기가 영구정지에 들어가면서 전 세계적으로 440조 원 규모에 달하는 원전해체시장이 국내에서도 본격화되는 시점에 나오고 있어 대응책 마련이 절실하다.



   

이대로 가다가는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로서 불안감을 감내해온 부산이 해체시장에서는 배제되고, 원자력해체기술센터 유치전에서도 울산 등에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20일 한국산업단지공단 부산본부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2015년부터 지역 20여 개 업체가 모여 원전해체 관련 기술 개발을 위한 교류회를 유지해왔으나 올해 3월께 활동을 잠정 중단했다.

공단과 참여 업체들은 강서구 명동산업단지 원자력기자재조합과 연계해 공동으로 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부산대 관련 연구진의 기술 조언도 받아왔다.

하지만 해체 기술에 대한 부산시의 무관심과 업체들의 정보 부족이라는 한계에 부딪혀

활동 중단 상태에 들어갔다.

산단공 부산본부 관계자는 "부산대와의 기술 교류마저 올해 3월 끝나면서 새로운 방향성을 고민해야 할 처지"라며 "관련 기술 인프라를 갖춰야 향후 원전해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데 안타깝다"고 밝혔다.


사태가 이렇게까지 된 첫 번째 이유로 업계에서는 부산시의 관심 부족을 꼽고 있다.

실제로 부산시는 2014년 울산시와 공조해 원전해체기술연구센터를 지역으로 끌어들이겠다고 밝히는 등 한때 해체산업에 큰 관심을 드러냈지만, 이후 예비타당성조사에서 센터의 경제성 부족이 거론되자 정책 방향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사실상 관련 산업 육성에 대해 손을 놓았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부산시 관계자는 "관심이 없는 것은 절대 아니다.

외국 연구소와의 교류도 추진하고 해체산업 육성 계획도 마련 중이다"면서도 "대기업과 해체 경험이 있는 외국계 기업이 사업을 주도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서 지역 업체는 주도적 참여가 힘든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이런 현실에 대해 부산대 안석영(기계공학부) 교수는 "기술 개발과 습득을 통한 '트랙레코드(실증경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미 해체시장에서 앞서가는 외국 기업이 많으므로 국내 기업이 주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조속히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건태 기자 fastmk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