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태광의 BMW(Busan+Bus, Metro, Walking)] ② 도시철도 1호선 [중앙역]
일제 수탈, 6·25전쟁 피란, 반미 투쟁 근대사 '한눈에'
![]() |
▲ 부산근대역사관. |
여행은 도시철도 1호선 중앙역 11번 출구에서 시작한다. 출구에서 직진하다 국민은행 부산중앙지점 앞에서 오른쪽으로 돌면 40계단으로 연결된다. 40계단은 6·25전쟁 당시의 피란생활을 가장 잘 기억하고 있는 명소다. 당시 피란민들의 고단한 삶이 조형물로 곳곳에 남아 있다.
![]() |
40계단기념비. |
백산기념관 앞의 용두산다방(일본 사찰인 옛 동향사 터)을 지나면 음식점인 공원집 옆으로 공터가 있는데, 이곳에 1897년 우리나라 최초의 공립유치원(일본인 전용)이 섰다. 이 골목 끝의 오른 쪽으로 올라가면 곧바로 용두산공원에 이른다. 하지만 옛 초량왜관 수문(守門·부산호텔 앞 일대)과 옛 부산경찰서(포천마린), 옛 부산부청사(부촌식당과 아로마모텔 일대) 터를 찾으려면 왼쪽으로 꺾어 부산호텔 길로 내려서야 한다. 그 길을 따라 용두산공원 에스컬레이터 방향으로 가다 보면 1970년대 후반까지 요정으로 이름을 날린 '경판정' 터를 고성범숯불구이 뒤 공터에서 찾을 수 있다.
용두산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오르면 중간 지점에서 '용두산체력단련장'을 보게 되는데, 이곳이 일본 상인들의 모임인 홍도회 회원을 주축으로 1912년 개관한, 부산 최초의 도서관인 '독서구락부 도서실' 자리다. 이 도서관은 1954년 큰 불이 났는데 아직도 담벼락에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용두산공원을 가로질러 가다 도중에 '부산화재예방기도대회비'를 찾아보자. 숲에 가려 잘 보이지 않지만, 이는 불의 도시인 부산의 용두산 신령에게 부적 삼아 세운 석비다. 불 화(火)를 물 수(水)자로 에워싸고 있는 것이 이채롭다. 1955년에 이 비를 세운 이후 실제로 부산에는 큰 불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전한다. 용두산공원 입구에서 시내 방향으로 내려서면 한국은행 부산지점(옛 조선은행 부산지점) 옆에서 부산근대역사관을 만난다. 1929년 식민지 경제침탈의 본거지였던 동양척식주식회사로, 해방 이후에는 미군 숙소로, 그리고 1949년에는 미국문화원으로 각각 개원했다.
![]() |
용두산공원에 설치된 사랑의 자물쇠. |
연향대청은 지금의 광일초등학교 자리에 있었다. 대청동이라는 지명도 여기서 유래했다. 부산시는 지난 2001년 광일초등학교 입구 화단에 이를 기념한 '연향대청터' 표석을 세웠다.

korail2002@hanmail.net
'부산 이바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BMW(Busan+Bus, Metro, Walking)] ③ 도시철도 2호선 <중동역> (0) | 2013.05.25 |
---|---|
이야기 공작소 <3-4> 부산 동구 스토리텔링- 팩션-電光石火와도 가탓다 (0) | 2013.05.25 |
이야기 공작소 <3-3> 부산 동구 스토리텔링 - [동구 인물들] (0) | 2013.05.18 |
[BMW(Busan+Bus, Metro, Walking)] ① 도시철도 1호선 <자갈치역> (0) | 2013.05.12 |
이야기 공작소 <3-2> 부산 동구 스토리텔링[엽편소설]:제3부두에서 걸어서 하늘까지 (0) | 2013.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