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이바구

척추관 협착증[전문의 건강수첩]

금산금산 2014. 6. 15. 08:52

척추관 협착증[전문의 건강수첩]

 

노화로 신경이 눌려서 발병, 연성물질로 보강 치료 각광

 

허리 통증이라 하면 누구나 [디스크]를 떠올리지만, 최근에는 추세가 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표 허릿병이 디스크, 즉 [추간판탈출증]에서 '척추관협착증'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척추관협착증]이란 쉽게 말해 꼬부랑 할머니를 생각하면 된다.

관절염 같은 퇴행성 질환으로, 노화로 인해 신경이 눌려서 생기는 병이다.

사람의 뼈는 [35세를 넘기면 자라는 것을 멈추고 그때부터 노화가 시작]되는데,

[척추관협착증]은 평균적으로 50대부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허리 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은 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이 같고

중년 이후에는 함께 발병하는 예도 많아 구분하기 어렵다.

 

[허리 디스크]는 척추의 움직임이 심한 운동이나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일 등으로 발생한다.

척추의 섬유륜이 파열돼 수핵 일부가 정상적인 위치를 벗어나 신경근을 압박하면서 생기는 질환으로

허리를 앞으로 숙일 때 통증이 심해진다.


반면 [척추관협착증]은 허리를 앞으로 숙이면 신경 통로가 넓어지면서 오히려 통증이 없어진다.

척추 뒤에 있는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좁아지는 질환인 [척추관협착증]은 통로가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거나 염증이 생겨 요통과 더불어 하지에 여러 가지 신경 증상을 일으킨다.

척추관이 좁아지는 이유는 대부분 노화로 디스크가 퇴행하고

척추관 주변의 인대와 관절이 두꺼워지기 때문이다.

[척추관협착증 치료]는 수술이냐 비수술이냐를 놓고 한 가지 정답을 내리긴 어렵다.

치료법은 개개인의 증상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과 검사를 통해 판단해야 한다.

많은 척추질환 환자가 아파서 견디기 어려울 때까지 수술을 뒤로 미루고 있으나,

수술 치료로 더 좋은 예후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비수술적 치료만 하다 수술시기를 놓쳐서 병을 키울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 초기]에는 물리치료 주사요법 운동처방 등을 통한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다.

증세가 가벼우면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하는데, 이는 [추간판탈출증] 환자와 비슷하다.

자세 교정 등 기본적인 교육과 복근 강화 운동을 병행하여 요통을 줄이며, 필요에 따라 탄력성이 있는 보조기가 도움된다.

그러나 [증상이 심하거나 보존적인 요법으로 효과가 없으면] 신경 압박을 제거하기 위한 수술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주로 신경을 누르고 있는 뼈와 인대를 제거하고 불안정한 척추를 지탱해 줄 나사못을 넣는

[척추 고정술]이 주로 시행됐다.

[척추 고정술]은 수술시간이 3시간 이상으로 수술 후 회복에도 3개월 이상이 소요되며, 재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많다.

최근에는 이런 단점을 보완한 '디암(DIAM)' 수술이 주목받고 있다.

[디암수술]은 단단한 나사못 대신 '디암'이라는 기구를 이용해

정상 신체구조를 그대로 보존한 상태에서 부드러운 ]실리콘과 폴리에틸렌으로 만든

연성 척추 인대 물질만을 추가적으로 보강하는 방법이다.

척추 질환을 치료하면서 동시에 척추관절을 수술 전보다 더욱 튼튼히 보강하는 최신 시술법이다.


부드러운 소재를 사용하므로 고정해 놓은 부위 주변의 척추가 손상될 위험도 없고

수술시에도 척추에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해 수술 시간도 1시간 정도

비교적 간단하면서 수혈도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다.


권기영 프라임연산병원 부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