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잠수사'
바닷속 일이라면 척척 '수중 맥가이버'
![]() |
▲ 전남 진도 앞에서 침몰한 '세월호'의 선내 진입을 위한 탐색선을 설치하고 있는 잠수사의 모습. |
Q : 전남 진도 앞바다에서 발생한 세월호 침몰 대참사로 전국이 침울한 분위기였습니다.
그런데 실종자 수색이 진행 중인 현장 구조 활동에 관한 뉴스 중 산업잠수사에 대한 언급이 많았습니다.
산업잠수사가 하는 일은 무엇이고,
어떻게 하면 될 수 있는가요.
해난
구조 · 수중 용접 등 임무
잠수기능사·잠수산업기사 필수
A : 평소 흔히 생각할 수 있는 잠수로는 취미나 레저용 잠수가 있습니다.
그런데 세월호
구조 현장에 투입되는 잠수사는 산업잠수사로, '바닷속 맥가이버'로 불립니다.
산업잠수사는 해난구조, 수중 교각설치, 선박 접안시설, 기초부두 및 방파제 축조, 화력
및
원자력 발전소 냉각시설 등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일을 합니다.
또 배의 하부와 프로펠러 촬영 및 조사, 수중용접이나 절단, 노후 선박의
부품교체 등도 산업잠수사의 몫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수중촬영, 수중용접
및 절단, 수중발파, 수중토목 등과 관련한 전문지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산업잠수사가 일하는 물속 환경은 육상과는 완전히 다릅니다.
일하는 시간도 하루 6시간, 주 34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고압환경에서 고립된 채 추위를 이겨내야 하는 만큼 인내심과 예상치 못한 돌발 상황, 잠수병 유발
등도 고려해 반드시 정해진 시간을 지켜 일해야 합니다.
특히 수중작업은 기후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파도가 높으면 물이 혼탁해져 안전사고 우려도 있기 때문에 작업을 하지 않습니다.
또 조류가 심한 해역에서는 물의 흐름이 정지되는 시간을 참고해 잠수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산업잠수사는 잠수 현장에서 2∼5명의 자격을 갖춘 잠수사들이
서로 임무교대를 하는 형태로 작업을 합니다.
이 때문에 협동심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
또 수중작업 자체가 힘들기 때문에 술과 담배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위험한 일인 만큼 항상 최상의 신체 컨디션으로 수중작업에 임해야 합니다.
수압의 영향을 받기 쉬운 심장, 폐, 귀 등은 정기적인
신체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 어떻게 준비할까
현재 우리나라의 산업잠수사는 대략 5천여 명으로 추산됩니다.
주로 수중전문
건설업체, 해양경찰 특공대, 소방공무원 119구조대, 해난구조업체 등 관련 업체에서 일합니다.
산업잠수사가 되려면 반드시
국가기술자격 잠수기능사 및 잠수산업기사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토목이나 용접 관련, 비파괴 검사, 화약 관련 자격증, 유압장비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면
취업에 더 유리하다고 해요.
또 잠수에 적합한 체력을 지녔는지
알아보는 사전테스트를 통과해야만 교육을 받을 수 있답니다.
양성기관으로는 ㈔한국산업잠수기술인협회가 있습니다.
대학으로는 2년제인 동부산대
해양산업잠수과, 대덕대 해양수중과, 한국폴리텍Ⅲ대학(강릉캠퍼스) 산업잠수과가 있습니다.
잠수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성장가능성이 큰
분야입니다.
수중에 유전이 많다 보니 이 계통에서 많이 일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유전개발 전문 외국계 회사에 취업할 경우 연봉 1억 원
이상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잠수 관련 서적은 대부분 영어로 되어
있어서 영어를 잘하면 공부도 쉽고 해외취업에도 유리해요.
수학과 물리, 해양학과 관련된 공부도 도움이 됩니다.
■ 추가 정보
-인터넷사이트: 산업잠수사
직업동영상(http://www.youtube.com/watch?v=8viCUOhqmJk)
㈔한국산업잠수기술인협회, 대한수중공사
홈페이지
워크넷-직업진로-직업탐방-눈길 끄는
이색직업-산업잠수사
워크넷-직업진로-직업탐방-직업인 인터뷰-산업잠수사
부산진로진학지원센터
박명순 진로진학상담 교사(부산일과학고)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미있는 직업 탐방] '라이프 코치' (0) | 2015.01.14 |
---|---|
[재미있는 직업 탐방] '응급 구조사' (0) | 2015.01.07 |
[재미있는 직업 탐방] '메디컬' 일러스트레이터 (0) | 2014.12.24 |
[재미있는 직업 탐방] 증강현실 '엔지니어' (0) | 2014.12.17 |
[재미있는 직업 탐방] '여행상품' 기획자 (0) | 201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