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코스] 밀양 단장면 '감물리 ~ 사연리’

금산금산 2018. 11. 30. 11:29

[제15코스] 밀양 단장면 '감물리 ~ 사연리'



'하늘 세 평 반' 첩첩 오지… 그 곳에도 사람이 살고, 길이 있었네




투명하던 봄이 바람을 타고 흐른 곳에 짙은 여름이 서성이고 있다.

대지도 짙푸르고 공기도 끈적인다.

한 걸음 내딛기도, 몸을 옴짝달싹하기도 힘겨운 계절.

하물며 하루 온종일 길을 걷는다는 것이 가당키나 한 일인가 싶다.

그러나 이 계절은 자연의 입장에서 보면 가장 왕성한 생명력이 발휘되는 시기다.

이마와 등줄기에 흐르는 땀 방울을 이리 닦고 저리 훔치며 걷다보면

 그 왕성한 생명의 기운이 뿜어내는 '자연의 교향곡'에 흠뻑 취하며 어느새 '여름 길 걷기'의 참맛을 알게 된다.

작은 계곡에서 흐르는 물소리만 들어도 시원한 쾌감을 느낀다.

고갯마루 넘어설 때 귓불에 흐른 땀을 훔쳐주는 바람에게 고마움의 인사를 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그렇게 길을 걷다가 문득 도저히 사람들이 모여 살기 힘들 것 같은 오지 마을을 지난다.

그 산간 오지 작은 들판의 내리쬐는 뙤약볕 아래에서

 굽혀진 허리 이리저리 비틀어가며 바쁜 일손 놀리고 있는 농부라도 만난다면 슬그머니 미안해지는 마음.

그것 또한 둘레꾼 누구나 느끼는 인지상정일 테고….

그런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 지, 일손을 멈춘 농부들이 "여보시오, 나그네 양반.

 더울 텐데 저기 당산나무 그늘에서 좀 쉬었다 가오"라며

 새참 보자기에서 꺼낸 막걸리 한 잔 권할 요량이면 몸 둘 바를 모르게 된다.




■ '밀양 3대 오지' 감물리 출발 17.5㎞ 구간

   
천지봉 구천산 만어산 석이덤방우산 등에 둘러 싸인 밀양시 단장면 감물리는 영남알프스의 서남쪽 끝 오지 마을이다. 계단을 이루는 다랑이논이 정겹고, 인심 좋은 사람들이 산다. 개척단은 이 곳의 3개 자연마을을 거치는 둘레길을 냈다.

영남알프스 둘레길 제15코스는

 경남 밀양의 대표적인 산간 오지 마을들을 지나가는 길이다.

인정 많은 촌부들과 작은 암자의

 공양간 보살님으로부터 감동하는 길이기도 하다.

그리고 지천에 널린 산딸기.

붉다 못해 검게 익어가는 산딸기의 유혹은

 여름 길 걷기를 절정으로 이끈다.

출발지는 '밀양 3대 산간 오지 마을' 중 하나인

 단장면 감물리 용소마을 회관 앞이다.

깨밭고개, 달똥고개 등 해발 400~500m대의 고갯마루 2개를 넘어야 하는 이번 코스는 종착지인 단장면 사연리 동화전마을까지

 총거리 17.5㎞에 달한다.

걷는 시간만 5시간, 휴식을 합치면 6시간30분은 잡아야 한다.

여름철 당일 걷기 코스치고는 결코 짧지 않은 거리다.

그러나 쉬엄쉬엄 걸으면 못 갈 거리도 아니다.

탈수 현상을 방지하려면 물은 충분히 섭취해야 하는데 다행히 곳곳에 식수 보충할 곳이 있으니 참고로 하자.

감물리는 용소마을 중리마을 구기마을 등 3개 마을로 이뤄진 해발 300m급 산간 마을이다.

옛날부터 맑고 달콤한 샘물이 있는 마을이라고 해서 달 감(甘)자를 쓴다.

용소마을은 그중 제일 남쪽 산기슭에 있는데 옛날에 작은 늪에 용이 살다가 승천했다는 전설이 전해온다.

용소마을과 중리마을 사이 들판은 아담한 다랑이논이다.

개척단은 눈앞에 보이는 다랑이논 사잇길로 올랐다가 왼쪽으로 돌아 내려설 계획이다.

이렇게 길을 잇는 것은 좀처럼 방문하기 힘든 오지 마을인 감물리에 이왕 온 걸음이니

 속속들이 밟아 보고 싶은 마음 때문이다.



   
소눌 노상직 선생이 1913년 건립한 자암서당.

일단 용소마을회관에서 남쪽 당고개 방향으로 200m쯤 가다가

 첫 번째 갈림길에서 왼쪽 내리막으로 내려선다.

다랑이논 사이의 조그마한 밭에서 깻잎을 따던 주민 박수화(66) 씨가

 "좀 쉬었다 가오. 저기 남서쪽의 저 산은 꼬깔봉이고 동쪽의 저 산은

 석이버섯이 많이 난다고 석이덤방우산이라 하고,

 감물분교터 뒤 야트막한 산은 연화봉이라 하고….

 단장면이 넓어서 옛날부터 양산보다 세 평 좁다고 했지"라며

 인정스럽게 지형 설명을 해 준다.

당집과 당산나무 앞을 지난 후 계속 길을 이어가면

 다랑이논 사이를 통과해 중리마을회관을 지난다.

왼쪽으로 꺾어 내리막 길을 따라 7분쯤 가면

 감물분교터와 감물리 버스정류소를 잇따라 지나고 곧바로 구기마을 입구 갈림길이다.

마을 표지석을 보면서 우측 길로 진입한다.

왼쪽에는 오래된 옛 방앗간과 감물저수지가 있다.

감물리 사람들은 마을 입구에 저수지가 있는 것을 두고

 "못은 우리 동네에 있는데 그 이득은 아랫마을인 안법리와 미촌리 사람들이 본다"는 푸념을 한다.





■ 다랑이논 지나 400~500m대 고개 2곳 넘어

   
깨밭고개에서 무릉리로 가는 숲길. 그늘이 시원하다.

10여 분쯤 가면 구기마을 경로당 못미친 갈림길에서

 우측 길을 택해 오른다.

차량 통행도 가능할 것 같은 임도는

 깨밭고개까지 이리 꺾고 저리 틀며 오른다.

길가에는 한창 물오른 산딸기가 지천이다.

40분쯤 부지런히 올라야 깨밭고개에 닿는데

 앞뒤로 조망이 탁 트인 곳에 시원한 바람이 불어온다.

고갯마루에 커다란 나무가 있어 쉼터 또는 식사 자리로 삼으면 좋겠다.

감물리 사람들이 단장면 소재지로 오가던 주요 길목이다.

옛날에 고개 아래에 깨밭이 있었다고 이름 붙여진 깨밭고개에서 왼쪽은 천지봉,

 오른쪽은 석이덤방우산을 지나 금오산으로 이어지는 등산로로 연결된다.

이어지는 직진 내리막 임도 역시 이리저리 꺾어지면서 무릉리 지시동 경로당까지 이어진다. 35분쯤 걸린다.

무릉리는 '무릉도원'처럼 아름답고 살기 좋은 마을이라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지시동경로당 앞 갈림길에서 왼쪽으로 꺾어 작은 다리를 건너자마자

 오른쪽 비포장길로 들어서면 대추밭 사잇길로 이어진다.

그 끝에서 다시 왼쪽으로 살짝 틀었다가 우측으로 길을 이어가면 무릉동 경로당.

아스팔트 도로에서 우측으로 진행하면 무릉교회를 지나고 곧바로 버스정류장이다.

왼쪽 20m 지점의 무릉교를 건넌다.

국전천 또는 용포천으로 불리는 이 하천 변 갈대가 유명한데

 옛날에는 이 갈대를 잘라서 여러가지 생필품을 만들어 밀양장에 내다 팔았다고 한다.

다리를 건너 300m쯤 가면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초반 우국지사로 이름을 높인

 소눌(小訥) 노상직(盧相稷·1854~1931년) 선생이 망명지인 만주에서 돌아와

 후진양성을 위해 1913년 설립한 자암서당(경남문화재자료 제194호)을 지난다.

수도꼭지가 있어서 빈 물통을 채울 수 있다.

서당 앞에서 보면 가야 할 방향의 수리덤산 암벽이 훤칠하다.

보문사까지는 조금 힘겨운 오르막 임도길이지만 중간 중간 만나는 예쁜 전원주택들을 보면서 힘을 낸다.

20여 분 후 보문사 입구에 배낭을 벗어놓고 아담하지만 운치있는 절집에 들러 샘물에서 마른 목을 적신다.





■ 마을회관·자암서당·보문사에서 식수 보충

   
코스 막바지 보풀잘룩이에서 사연리로 내려서는 길.

보문사 입구에서 계속 길을 이어가면

 새로 짓는 절집 아래에서 우측으로 휘어진다.

곧바로 만나는 갈림길에서 우측으로 들어서서

 산딸기의 유혹을 애써 외면하며 5분쯤 가면

 임도가 지능선을 넘어 왼쪽으로 휘어지는 곳에 닿는다.

이곳에서 시멘트포장 임도를 버리고 왼쪽 능선으로 곧장 치고 오르면

 수풀이 우거지지만 30m만 가면 옛 등산로가 나타난다.

달똥고개로 오르는 길이다.

25분가량 우거진 숲속 길을 따라 오르면 달똥고개.

옛날 산에 나무가 없던 시절 무릉리에서 보면

 이 고개 너머로 둥근 달이 떠오른 모습이 예뻐서 달똥고개라 부르게 됐다.

일종의 사거리인 이곳에서 다시 왼쪽 오르막으로 100m가량 가다보면

 우측으로 희미한 길이 있는 갈림길을 만난다.

오른쪽으로 비스듬히 희미한 길을 따라 10분쯤 가면 보풀잘루기고개다.

왼쪽은 수리덤산, 오른쪽은 취경산 수연산(뇌암산) 벼락덤이로 가는 방향인데

 하산 하려면 정면 오른쪽 1시 방향으로 비스듬히 내려가는 길을 타야 한다.

5분 후 학성 이씨 김해 김씨 합장묘에서 왼쪽 10시 방향으로 내려서는 길을 따르면 6분 후 임도에 닿는다.

단장면 사연리 성지골 상류다.

왼쪽으로 50분쯤 내려서면 동화마을회관을 지나고 1077번 지방도의 동화전마을 표지석에 닿는다.

왼쪽으로 150m가량 가면 사연마을 표지석과 '동화 버스정류소'에 닿아 코스를 마무리한다.

사연마을 뒤편 북쪽으로 정각산이 우뚝하다.





◆ 둘레길 이야기-수리덤산 보문사


- 인자한 노스님 머무는 인심·조망 좋은 도량

   
보문사 흔들바위.

둘레길을 걷다보면 많은 사찰과 암자를 거치게 된다.

그렇다고 소위 '천년고찰'만 있는 것은 아니다.

자리 잡은 지 100년도 안 된 암자라 하더라도

 절집의 분위기가 그윽하고 조망도 빼어나며

 스님을 비롯한 관계 보살님들의 인상 또한 선하디선한 곳도 많다.

이번 제15코스에서 방문하게 되는

 밀양시 단장면 무릉리 보문사(普門寺) 또한 그런 암자 중 하나다.

올해로 창건 68년째를 맞은, 사찰의 나이로 보면

 아직 젊다고 해야 할 보문사에는 몇 가지 매력이 있다.

우선은 수리덤산 중턱에 자리잡고 있다 보니, 남쪽으로 내려다보이는 무릉리 마을의 풍광이 시원스럽다.

옛날 밀양 땅에서 관직을 거쳤던 선비나 학자들이 중국 동진과 송나라 문장가인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

 상상 속 이상향인 '무릉도원'을 닮았다고 이름 붙인 동네를 바라보는 것.

결국 절이 '무릉도원'을 바라보고 있는 셈이다.

또한 이 절에는 4개의 바위가 있는데 저마다의 매력을 품고 있다.

대웅전 앞에 서 있는 입암(일명 선바위)은 사람의 얼굴 모습을 닮아 있어 신비스럽고, 그 앞의 높이 1.5m 남짓한 '흔들바위'는 혼자서 밀어도 끄덕거릴 정도로 절묘한 균형감을 유지하고 있어 새로운 명물이 되고 있다.

 또 흔들바위 아래의 배바위, 요사채 뒤 50m 지점에 있는 마당바위도 볼거리다.

특히 높이 10m가량의 깎아지른 절벽 윗면이 평편하다고 이름 붙여진 마당바위는

 오랜 옛날부터 스님과 도인들의 수도장으로 이름이 높았다고 한다.

   
보문사 주지 신행 스님.

보문사에서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대웅전 계단 아래의

 시원하고 달콤한 샘물과 절집 사람들의 훈훈한 인정이다.

샘물은 수리덤 절벽 아래에서 스며 나오는 탓인지 그 맛이 일품이다.

세속 나이로 79세, 법랍 56세인 노스님인 주지 신행 스님은

 몸이 조금 불편하지만 "살아 있는 동안 하루도 일을 하지 않을 수 없다"며 손수 괭이와 호미 등을 들고 절 뒤 텃밭 가꾸기를 하고 있다.

오가는 사람들에게 특유의 인자한 미소를 지어 보이는 신행 스님의

 소탈한 성품 못잖게 공양간 보살님 또한 인정스럽기 이를 데 없다.

어쩌다 들린 나그네에게 아무것도 묻지 않고 시원한 수박과 단술, 떡을 내놓으며

 "그저 편안하게 쉬었다가 가시라"고 웃음 짓는다.

천년고찰이라는 이름표만 믿고 어쩐지 위압스런 분위기를 자아내는 일부 사찰에 비해

 훨씬 더 맘 편하게 들릴 수 있는 도량이 바로 보문사다.




◆ 교통편

- 밀양터미널서 감물리행 버스 하루 5회 운행

밀양행 무궁화호는 부산역 기준 오전 5시10분부터 20~40분 간격으로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43분이다.

밀양역에서 시외버스터미널로 이동한 뒤, 감물리행 새마을버스를 이용한다.

오전 새마을버스는 오전 6시10분, 8시10분, 11시50분 등 하루 5차례 출발한다. 약 30분 소요.

용소마을회관은 감물리 입구 삼거리에서 우측으로 가야 한다.

답사 후 동화에서 밀양행 버스가 20~40분 간격으로 있어 큰 어려움이 없다. 막차는 오후 8시10분.

자가용의 경우 신대구부산고속도로 밀양IC에서 내려 24번 국도 표충사 얼음골 언양 방면으로 우회전한다.

금곡교차로에서 표충사 방향으로 빠져나가 금곡교를 지나자마자 오른쪽 감물리 방향으로 진입,

 계속 직진하면 감물리에 닿는다.

감물저수지 지나 마을 입구 삼거리에서 우측 길로 200m쯤 가다가

 아스팔트도로를 버리고 왼쪽의 시멘트길로 들어서면 용소마을회관 앞 주차장으로 갈 수 있다.

답사 후 차량 회수를 하려면 동화전에서 버스를 타고 금곡리까지 간 후 밀양발 감물리행 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금곡리에서 오후 3시50분과 6시50분(막차)쯤 감물리행 버스를 탈 수 있다.


  • 이승렬 기자 bungs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