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병풍산'
꿈틀대는 낙동정맥, 그 힘찬 허리를 부여잡고…
낙동정맥은 백두대간 구간인 강원도 태백시 매봉산(1303.1m) 인근 피재에서 남동쪽으로 분기돼
구봉산 백병산 주왕산 등을 거치며 동해안을 따라 남하, 부산 다대포 몰운대에서 바다와 만나는 산줄기다.
총거리는 412.3㎞ 쯤 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정확한 측정치는 사실상 그 누구도 단정하기 힘들다.
혹자는 351㎞라고 주장하고 있기도 하다.
산꾼마다 다르고 산악회마다 다르게 주장하기 일쑤다.
'근교산&그 너머' 취재팀이 포항 병풍산 정상 부근 산불감시초소 앞 억새밭을 지나고 있다. 길다란 골짜기 우측으로 낙동정맥 줄기를 이루는 사관령 침곡산 태화산 등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치달리고 있다. |
'근교산&그 너머' 취재팀이 이번 주 답사한
경북 포항 병풍산(811m) 코스는
바로 이 낙동정맥의 상징적 중간 지점인
벼슬재(일명 배실재)를 아우르는 내륙의 한적한 능선산행코스다.
또 들머리인 포항시 기북면 성법리(省法里)는
나라에 역모죄를 지은 사람들을 천민으로 강등시킨 후
이곳에 집단 수용해 무기류와 농기구 토기 등을 생산케했던
일명 '성법 부곡(部曲)'이 있던 곳.
'부곡'이란 신라시대부터 조선 말기까지 존재했던
일종의 집단 생산구역으로 당시 신분제도 상
천민이나 역모죄를 지은 사람들을
깊은 산골짜기 등에 수용했던 것을 일컫는다.
그만큼 이 마을이 옛날에는 오지 중의 오지로 통했다는 반증일 터.
물론 지금은 도로가 잘 뚫려 있어서 옛날과 같은 오지의 분위기는 많이 줄었지만
당시 벼슬아치들만 넘나들 수 있었다는 벼슬재나 사관령 등은
고스란히 산행코스에 포함돼 있어 오지산행의 느낌도 일정 부분 맛 볼 수 있다.
게다가 날머리인 덕동민속마을에서는 운치 있는 숲과 고택들이 즐비해
고즈넉한 '시간여행'을 겸한 산행지로도 안성맞춤이다.
■ 내륙 오지 15㎞코스… 6시간은 잡아야 넉넉
병풍산 정상에서 낙동정맥으로 이어지는 성법령. |
크게 보면 경북 포항시 기북면 오덕리 덕동마을과
성법리를 한 바퀴 도는 산행코스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성법리 삼보암 입구~삼보암~갈림길~
청안 이씨묘~758m봉~갈림길(산불초소)~병풍산 정상(811m)~
갈림길(산불초소)~성법령~709.1m봉(낙동정맥 합류)~GPS 781m봉~
사관령(782m)~갈림길~여강 이씨 묘~598m봉~벼슬재~임도 갈림길~
덕동 고택앞~덕동민속전시관~덕동교로 이어진다.
총거리는 15㎞가량. 짧지는 않은 편이다.
순수하게 걷는 시간은 5시간10분,
휴식과 식사 등을 포함하면 6시간20분 정도 걸린다.
성법리에서 성법령 방향으로 921번 지방도를 타고 가다보면 도로 우측에 삼보암 입구 표지판이 보인다.
이곳에서 정면 우측의 병풍산을 한차례 살펴보고 임도를 따라 오른쪽으로 진입한다.
임도 주변 과수원에는 빨간 사과와 누런 배가 탐스럽게 익어간다.
10분쯤 가면 삼보암. 아담한 규모의 절집이다.
100m쯤 가서 개울 합수지점 다리를 건넌다.
왼쪽 계곡은 안세이지, 오른쪽은 골뱅이골지라 불리는데,
포장 임도를 버리고 왼쪽 골짜기 방향 비포장길을 택한다.
곧이어 청안 이씨묘, 밀양 박씨묘, 파평 윤씨묘를 잇따라 지나고 달성 이씨묘에서는 무덤 뒤쪽 능선길을 따른다. 완만한 경사로. 곳곳에 간벌작업으로 인해 베여 나간 나무둥치들이 널려 있기도 하다.
조금씩 경사가 급해지는가 싶더니 어느새 우뚝한 봉우리다.
758.1m봉.
개울 앞 갈림길에서 1시간10분가량 걸렸다.
왼쪽의 능선길을 따른다.
평평한 분지와 같은 지역을 통과해 20분쯤 가면 산불감시초소가 설치된 갈림길.
이곳은 낙동정맥에서 분기된 소위 비학지맥과 내연지맥이 함께 통과하는 지점이다.
향후 코스는 왼쪽으로 이어지지만 병풍산 정상은 우측 200m쯤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일단 정상으로 갔다가 돌아온다.
주변 조망도 별로 시원스럽지 않은 데다 모양새도 펑퍼짐한 병풍산 정상에는 아무런 표시가 없다.
아쉬움에 취재팀이 근교산 리본 뒷면에 '병풍산 정상'이라고 표시해 놓고 산불감시초소로 돌아간다.
■ 정상 부근 아담한 억새밭서 본 풍광 압권
덕동문화마을의 대표적 고택 중 하나인 사우당. |
초소 주변에는 운치 만점의 아담한 억새밭이 자리잡고 있고,
앞뒤 전망도 시원하다.
산행의 피로가 한 방에 날아가는 느낌.
진행 방향 정면인 서쪽의 큰 산줄기는 낙동정맥 주능선이다.
그 줄기를 따라 남쪽으로 시선을 옮기면 사관령과 침곡산,
멀리 영천 보현산까지 눈에 들어온다.
억새밭에서 남쪽 정면을 보면
경주 안강읍과 포항 기계면 사이의 산인 봉좌산이 보이고
그 너머 아주 먼 곳에 가지산 신불산 등
영남알프스의 산봉우리들까지 눈에 들어와 시원스럽다. 또
몸을 돌려 보면 멀리 매봉과 향로봉 내연산 등 포항의 준봉들이 고스란히 눈에 들어오고
북쪽 정면 아주 먼 곳에는 국립공원인 주왕산 자락까지 아스라히 펼쳐진다.
특히 울퉁불퉁한 근육질의 암봉인 팔각산이 인상적이다.
덕동문화마을의 개울가에 자리잡은 용계정. |
산불초소에서 내리막을 타면 작은 전망바위가 있고
이후 7분 정도면 쉼터와 화장실이 설치된 921번 지방도에 닿는다.
이 곳이 바로 포항시 기북면과 죽장면 사이에 위치한 성법령이다.
낙동정맥 종주꾼들에게는 구간 기점으로 익히 알려져 있는 고개마루.
우측 죽장면 표지판 쪽으로 방향을 잡고 '죽장 상옥 슬로우시티'
홍보용 대형 입간판에서 20m쯤 더 가면
도로 건너편에 낙석 방지 철조망이 일부 제거된 곳이 보인다. 수
많은 산꾼들의 손 때 묻은 안내리본이 매달려 있는 산행로 진입지점이다. 이 곳으로 진입, 능선길을 따라 10분쯤 오르면
낙동정맥과 비학지맥 내연지맥이 분기되는 709.1m 봉이다.
바닥은 콘크리트 헬기장이고, 정맥과 지맥의 분기점 답게
좌우로 수십개의 산행리본이 어지러울 정도로 매달려 있다.
왼쪽(남쪽)으로 방향을 잡는다.
지금부터는 일부이긴 하지만 낙동정맥을 따르게 되는 것이다.
10분쯤 서서히 오르막을 타면 GPS수신기 표시 기준 해발 781m인 작은 봉우리에 오른다.
낙동정맥 길은 살짝 왼쪽으로 휘어지며 이어진다.
이후 오르락 내리락을 반복하는 전형적인 능선산행을 40분가량 하면 해발 782m인 사관령(士官嶺)에 닿는다.
이름에서 드러나듯 이 고개는 그 옛날 관리들이나 겨우 넘나들 수 있었다고 전해져 오는 곳이다.
봉우리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이색적이다.
■ 낙동정맥 상징적 중앙인 '벼슬재'서 하산
병풍산 정상에서 성법령으로 내려서다 만난 전망바위. 오른쪽에 낙동정맥 주능선이 힘차게 달려가고 있다 . |
왼쪽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을 따라 20분쯤 내려서서
안부를 지나 다시 5분쯤 더 가면 갈림길.
왼쪽은 성법리로 하산하는 길이지만 취재팀은 능선길로 직진한다.
15분 후 작은 봉우리 위에 위치한 여강 이씨묘를 통과,
재차 15분쯤 가면 GPS 표시 기준 598m인 봉우리를 지난다.
이후 왼쪽으로 틀어 내리막을 타면
10분 후 소위 '낙동정맥 중간 지점'이라고 알려져 있는
벼슬재(일명 배실재)다.
동쪽의 포항시 기북면 오덕리 덕동마을과
고개 넘어 서쪽의 죽장면 가사리의 경계인 이 고개는
벼슬아치들만 넘나들 수 있었다고 전해온다.
덕동마을에는 철이 많이 났고 가사리에는 솥 생산을 많이 했다고 한다.
벼슬재에서 낙동정맥을 이탈, 왼쪽 내리막으로 하산한다.
길은 우마차도 갈 수 있을 정도로 널찍한 데다 갈 지(之)자 형태를 띤 구간도 많다.
'높으신 분'들이 쉽게 넘나들 수 있도록 한 것 같은 느낌.
여하튼 산꾼에겐 고마운 일이다.
20분쯤 여유 있게 내려서면 임도를 만나는데 왼쪽으로 꺾는다.
200m가량 가면 골짜기를 따라 오른쪽으로 크게 휘어지며 길이 이어진다.
10분 후 덕동마을의 고색찬연한 고택들이 산꾼들을 반겨준다.
마을 길을 통과하면 덕동민속전시관 주차장을 지나고 3분 후 날머리인 덕동교에 도착한다.
◆ 떠나기 전에
- 양동마을 못잖은 덕동문화마을 둘러볼 만
산행 날머리인 오덕리 덕동마을은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경주 양동마을에 비해
규모 면에서는 작지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유서 깊은 민속마을이다.
'덕동문화마을'로 지정된 이 마을에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243호로 지정된 용계정(龍溪亭),
경북 민속자료 제81호인 사우당(四友堂)고택,
민속자료 80호인 애은당(愛隱堂)고택 등 옛 정자와 고택이 즐비하다.
게다가 2006년 '생명의 숲 국민운동본부'가 '아름다운 숲'으로 지정한 송계숲이
마을 앞 개울을 따라 펼쳐져 있는 곳이기도 하다.
동쪽으로는 소위 '비학산 칼국수'로 유명한 비학산이, 북쪽으로는 병풍산,
서쪽으로는 낙동정맥 줄기의 침곡산으로 둘러싸인 곳으로 덕 있는인물들이 많다는 뜻에서
덕동이라고 불렸다고 한다.
이 마을은 경주 양동마을과 옥산서원을 대표하는 조선시대 거유(巨儒) 회재 이언적의 동생 이언괄의 4대 손인
이강이 양동마을에서 이곳으로 이주, 거처를 정하면서 대대로 여강 이씨의 집성촌이자
내력 있는 선비마을로 전해오고 있다.
마을 입구의 덕동민속전시관에는 수많은 종류의 고문서와 기록물, 용품 등이 전시돼 있기도 하다.
이 기록물의 가치를 인정받아 올해 국가기록원으로부터 '기록사랑마을(제4호)'로 지정되기도 했다.
한편 조선시대에는 마을 북쪽의 성법리에 있던
성법부곡을 관리감독하던 관청이 이곳에 자리잡고 있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산행 후 찬찬히 둘러볼 만 한 마을이다.
◆ 교통편
- 경주 안강읍 포항 기계면 거쳐 청송 쪽으로
부산 노포동버스터미널에서 포항행 시외버스를 이용한다.
새벽 5시30분부터 10~15분 간격, 1시간20분 소요.
포항시외버스터미널 앞 도로 건너편 버스정류소에서
대각~포항역간 운행하는 녹색 시내버스를 타고 가다가 육거리약국에서 내린다.
이곳에서 다시 성법행 녹색 시내버스를 이용한다.
오전 6시30분부터 밤 10시30분까지 30분 간격 운행. 1시간30분 소요.
성법리에서 내려 성법령 쪽으로 10분쯤 걸으면 들머리인 삼보암 입구가 나온다.
경부고속도로 경주요금소를 통과한 후 직진, 오릉네거리에서 좌회전 한다.
강변도로를 따라 경주시외고속버스터미널과, 태종무열왕릉 입구 등을 지나
금장교 앞에서 좌회전 다리를 건너 현곡면 방향으로 간다.
이후 금장교차로에서 68번 지방도로를 타고 포항 안강 방면으로 우회전한다.
17㎞쯤 이동 후 안강IC에서 안강 기계 방면으로 우회전(68번 지방도),
곧이어 다시 교차로에서 기계 방면으로 우회전 한다.
7㎞쯤 가다가 달성네거리에서 청송 기계 방면으로 좌회전,
다시 9㎞쯤 가서 기계삼거리에서 기북방면으로 우회전(921번 지방도) 한다.
이후 10분 정도면 덕동마을 앞을 통과, 성법리에 닿는다.
성법리 마을을 통과하면 삼보암 안내판이 있다.
'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명산 답사] 대만 ‘양명산’ (0) | 2019.02.02 |
---|---|
[제5코스] 지사동 ‘너더리고개~곰티고개’ (0) | 2019.01.29 |
가덕도 [제4코스] ‘진해 주포마을~강서구 지사동’ (0) | 2019.01.20 |
보령 ‘오서산’ (0) | 2019.01.15 |
가덕도 [제3코스] ‘선창마을~진해 주포마을’ (0) | 2019.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