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코스] 지사동 '너더리고개~곰티고개'
부산 市界를 걷다- 부산 김해 진해 만난다고 '삼시봉'이라고 부른다지요
부산 강서구 지사동(智士洞)의 마을 이름은 원래 학식 높은 선비가 글을 읽는 다는 의미의
소위 '고사독서형' 명당터라는 것에서 유래됐다.
그만큼 예로부터 이름 있는 선비가 많이 배출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던 동네다.
그러나 지금은 원래의 마을 흔적은 거의 찾아 볼 수 없고,
'부산과학산업단지'라는 이름을 가진 첨단 산업지대로 변모했다.
자동차부품, 조선기자재부품, 특수금속 등을 생산하는 업체들과
부산테크노파크 등의 첨단산업 지원 기관들이 들어섰다.
이같은 마을 환경의 변화는 산으로 둘러싸인 부산의 서북쪽 끝 오지마을에 불과했던 지사동을
서부산권 발전의 어엿한 한 축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적어도 겉으로 만큼은 원주민들이 겪었을 실향의 아픔을 찾기 힘들다.
◇ 지사동 북쪽 굴암산 자락 타는 10.5㎞ 코스
부산 시계길 종주 답사에 나선 '근교산&그 너머' 취재팀이 부산과 김해 진해가 만나는 지점인 삼시봉에서 전망대인 망해정으로 향하고 있다. 멀찍이 가덕도, 부산신항, 거가대교 등이 한 눈에 들어오는 시원한 조망이 압권이다. |
이번 주 '근교산&그 너머' 취재팀은
'부산 시계(市界)를 걷다' 제5코스로
바로 이 지사동을 둘러싸고 있는 부산 경남의 경계길을 답사했다.
과거에 비해 부산의 서북쪽 끝마을로서의
존재감이 더 커졌다고 볼 수 있는 지사동은
서쪽의 굴암산(屈岩山·662.7m)과 동북쪽의 옥녀봉(玉女峯·333m),
남쪽의 보배산(479.5m)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산과 산 사이의 크고 작은 고개는 경남 김해와
진해(현 창원시 진해구)의 여러 마을들과 지사동이 연결되는 통로였다.
서쪽의 너더리고개(또는 너드리고개)를 경계로 진해 웅천과 연결되고,
남쪽의 두동고개를 통해 웅동,
북쪽의 곰티재를 통해 김해 장유와 연결된다.
그리고 이 봉우리들이 연결되는 산줄기가
바로 부산과 경남의 경계를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비록 시계길 답사라고 하지만
사실상은 산행이라고 해야 할 만큼 코스 대부분이 산길이다.
너더리고개 직후의 전망바위. |
제4코스의 경계길 마지막 지점이었던 너더리고개로 올라서기 위해서는
강서구 지사동 마을버스 종점까지 가야한다.
전체 코스를 간략하게 요약해보면
지사동 매일정기 앞 마을버스 종점~너더리고개~339m봉~
사거리갈림길~전망대(522m)~삼시봉(부산 김해 진해 경계점)~
망해정(613m)~삼시봉~갈림길~전망대~철탑~율하고개~
갈림길~묘지전망대~김녕 김씨묘~삼거리~곰티고개~
지사동 이원쏠루텍 버스정류장으로 연결된다.
총거리 10.5㎞에 순수하게 걷는 시간은 3시간30분,
휴식 식사 등을 포함하면 5시간쯤 걸린다.
삼시봉 인근의 망해정. 왼쪽 봉은 굴암산 정상이다. |
지사동 마을버스 종점에서 골짜기 쪽 임도를 따라 오른다.
너더리마을이라고 불리는 이 마을도
원주민은 오간데 없고 무언가를 짓는 공사가 한창이다.
너더리골에 자생하던 수령 500년짜리 팽나무는
여러 해 전에 고사했다고 하는데, 그저 안타까울 따름이다.
들머리로부터 임도를 따라 7분쯤 가서 만나는 임도 갈림길에서
왼쪽 길을 택해 10분쯤 더 간다.
우측으로 가지를 치는 임도 갈림길에서 직진, 100여m쯤 더 가면
임도를 버리고 우측 숲으로 진입하는 산행로가 보인다.
리본 몇 개가 달려 있기 때문에 찾기는 별로 어렵지 않다.
이 숲길로 들어서서 5분만 오르면 부산과 경남의 경계선에 위치한 너더리고개다.
직진해서 고개를 넘어가면 진해 웅천쪽으로 내려서게 되는데 취재팀은 우측으로 능선길을 따라 오른다.
길은 썩 편하지만은 않은 야생의 모습을 띠고 있다.
5분 후 왼쪽 웅천 방향이 탁 트이는 전망바위를 만나, 잠시 바위 위에서 풍경을 훑어본다.
발 아래로 저만치 군부대가 눈에 들어오고, 시선을 살짝 들어보니
진해 동부권의 크고 작은 산줄기가 올망졸망 서로 얽히며 키를 재고 있다.
◇ 너더리고개서 삼시봉 오른 후 줄곧 내리막
가을 산길에서 가끔 볼 수 있는 망개가 빨갛게 익었다. |
이어지는 능선길도 크고 작은 잡초와 가시덩쿨이 뒤엉켜
여전히 불편하다.
10분쯤 가다가 능선의 날등을 왼쪽으로 살짝 비켜서 난
널찍하고 편한 길을 따라 오른다.
경계선에서 경남 권으로 조금 들어서 있기는 하지만
걷기에는 한결 수월하다.
10여분 가다가 사거리갈림길에서 우측 능선길을 따라 오르면
곧바로 원래의 능선길과 합류한다.
이곳에서 왼쪽으로 꺾어 능선길을 따르는데
지금까지와는 달리 서서히 경사가 급해진다.
25분쯤 꾸준하게 오르면 갑자기 전방이 탁 트이는 전망대.
2만5000분의 1 축척 공식지형도에 522m봉으로 표시된 곳에 닿는다.
눈 앞으로 굴암산 정상과 삼시봉, 망해정 등이 이어지는 산줄기가
마치 굳센 성벽처럼 버티고 있고 오른쪽 아래로는 지사동 일대와 멀리 김해평야 일대까지 눈에 들어온다.
삼시봉에서 곰티고개로 가는 길은 줄곧 내리막이다. 활짝 핀 구절초가 취재팀의 발걸음을 더욱 가볍게 한다. |
살짝 내려선 후 안부를 지나 다시 20분쯤 가파른 오르막을 치면
능선 삼거리에 닿는다.
이곳이 바로 일명 '삼시봉'이다.
물론 공식 지형도상에는 표시가 없다.
옛 진해시와 김해시 그리고 부산시 등 3개 시가
만나고 헤어지는 지점이라고 해서
지역 산꾼들과 인근 주민들에게만 삼시봉으로 불린다.
부산 시계를 따라가야하는 취재팀은 이곳에서 우측으로 내려서야 하지만, 왼쪽 약 80m 떨어진 613m봉의 정자인 망해정(望海亭)에 잠시 들른다.
정자에 올라 주변을 살피면 서북쪽으로 화산, 불모산, 웅봉, 시루봉,
천자봉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가 확연히 드러나고
북쪽으로는 김해 장유신도시와 용지봉 등이 눈에 들어온다.
특히 용지봉 8부능선상에는 수로왕비 허황옥의 오빠인 장유화상(본명 허보옥)이 창건했으며
허왕후의 일곱 왕자가 세속과의 인연을 끊고 장유화상을 따라가 처음 수도를 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고 노무현 대통령이 한때 이 암자에서 고시공부를 한 것으로 유명하다.
◇ 곰 출현 잦았다는 곰티고개서 우측 길 하산
곰티고개에서 직진하면 옥녀봉, 오른쪽은 지사동이다. |
다시 '삼시봉'으로 복귀, 갈림길에서 직진하면 내리막이다.
이제부터 걷는 능선길의 왼쪽은 김해 땅이고 오른쪽은 부산 땅이다.
577m봉을 지나 갈림길에서 오른쪽 길을 따른다.
좀 더 내려서서 송전철탑을 지나고 계속 내리막을 타고 가면
20분 후 안부인 율하고개에 닿는다.
왼쪽으로 내려서면 김해시 장유면 율하리 율하신도시다.
이어지는 길은 거의 임도수준의 널따란 길.
갈림길에서 직진한 후 계속 편안한 길을 따라가면
한 순간 왼쪽 묘지 앞쪽이 확 트인다.
안내도 상에 '묘지전망대'라고 표시된 지점.
남해고속도로 서부산 지선과 김해평야,
그 너머로 무척산 임호산 등 김해시가지 일대의 크고 작은 산들도 한 눈에 들어온다.
계속 널따란 길을 따라 15분쯤 가면 아래 위로 사이좋게 자리잡은 김녕 김씨묘에서 임도가 끝난다.
봉분 앞을 통과해 길이 이어지고 왼쪽으로 살짝 틀어 올랐다가 삼거리에서 우측길을 따른다.
10분 정도 내려서면 곰티고개(곰티재).
옛날에 곰이 자주 출몰했다고 해서 곰티고개라는 이름이 붙은 곳이다.
왼쪽으로 내려서면 장유, 직진하면 옥녀봉으로 올라서게 되지만
취재팀은 이곳에서 경계길 답사를 마무리하고 우측 지사동 쪽으로 내려선다.
3분 후 붉은 지붕 민가를 지난 후 넓은 길을 따라 15분 정도 천천히 내려서면
종착점인 지사동 '이원쏠루텍 버스정류장'에 닿는다.
# 떠나기 전에
- 태풍도 피해 갈만큼 살기 좋았다는 지사동, 개발 광풍 못피해 400여명 주민들 뿔뿔이…
"1970년대 후반 중학교 다닐 때는 곰티고개를 넘어서 김해 장유면의 장유중학교를 다녔지.
편도 7㎞쯤 되려나. 하루에 왕복 40리 가까운 길을 매일 걸어다닌 셈이지.
그래도 우리 동네 학생들은 단 1명도 지각하는 일이 없었다고.
산으로 둘러싸인 골짜기에 사람들이 옹기종기 모여 사이 좋게 살았지.
산이 방풍막 역할을 해 주니까 태풍이 불어닥쳐도 안전했고,
부유하지는 않았지만 살기는 썩 괜찮은 마을이었다고."
이번 주 답사한 부산 시계길 제5코스의 기점인 부산 강서구 지사동.
이 마을에서 태어나고 자란 배재한 국제신문 사회1부장은 지사동 이야기만 나오면
가슴 한 쪽이 먹먹해진다고 한다.
살던 사람들은 모두 떠나고 공장만 즐비한 낯선 동네가 되버렸다는 아픔 때문이다.
1980년대 초반 까지만 해도 70여 호 400여 명의 주민들이 살았지만 지금은 원주민 세대가 단 한집도 없다.
원주민들은 모두 어디론가 뿔뿔이 흩어졌다.
그를 포함한 지사동 원주민들은 고향 마을이 수몰된 것도 아니건만 사실상의 실향민이 된 셈이다.
배 부장은 "분성 배씨 집성촌이기도 한 지사동은 지혜로운 선비가 많이 사는 곳이라는 마을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너무도 순하고 어진 사람들이 살고 있었다.
주민들은 부산과학산업단지 입주에 따라 고향을 떠나야 했을 때, 다른 동네에서 숱한 반발에 부딛혔
던 부산시 공무원들조차 놀랐다고 할 정도로 비교적 순순히 고향을 내 주기도 했다"고 회고했다.
그러나 그는 "태풍도 피해가던 마을이었지만 '개발이라는 이름의 풍파'는 결코 피할 수 없었고,
평생 땅만 파먹고 살던 사람들은 낯선 도회지로 쫓겨나듯 나가서 무작정 장사에 손댔다가 망한 이도 적지않다. 잃어버린 고향만 생각하면 마음이 시리고 아프다"고 덧붙였다.
'지사동 사람들'은 매년 10월 말 낙동강변에 모여 '수구초심'의 한을 달랜다고 한다.
과연 언제까지 '개발의 뒤안길'에서 힘 없는 민초들이 눈물을 흘려야 할지….
거부할 수 없는 거대한 힘에 의해 고향을 등져야 했던 지사동 사람들의 아픔이
"오백년 도읍지를 필마로 돌아드니, 산천은 의구하되 인걸은 간데 없다(후략)"고 읊었던
야은 길재의 마음과도 별반 차이가 없을 듯하다.
# 교통편
- 하단역·구포역에서 강서 마을버스 타야
부산도시철도 1호선 하단역에서 강서구 지사동 매일정기 앞 마을버스 종점까지 운행하는
'강서 12번' 마을버스를 타거나 구포역 구포시장 등에서 지사동 행 '강서 7-2번' 마을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강서 12'번 마을버스는 오전 5시50분부터 오후 10시55분까지 35~50분 간격(주말 기준)으로 운행하고
'강서 7-2'번 버스는 오전 6시부터 오후 9시30분까지 평일은 1시간, 주말은 2시간 간격으로 운행한다.
날머리에서 귀가할 때도 마찬가지로 이 마을버스들을 이용하면 된다.
자가용 이용자의 경우 을숙도 지나 서낙동강 녹산수문 삼거리에서 우회전, 부산경남경마공원 쪽으로 간다.
이후 세산삼거리에서는 부산신항 진해 방면으로 좌회전(69번 지방도)한다.
1.5㎞쯤 가면 지사동 부산과학산업단지로 진입하는 삼거리가 나온다.
우회전해서 계속 직진하면 지사동 과학산단을 관통, 마을버스 종점까지 갈 수 있다.
'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6코스] 지사동 ‘곰티고개~조만포다리’ (0) | 2019.02.05 |
---|---|
[해외 명산 답사] 대만 ‘양명산’ (0) | 2019.02.02 |
포항 ‘병풍산’ (0) | 2019.01.25 |
가덕도 [제4코스] ‘진해 주포마을~강서구 지사동’ (0) | 2019.01.20 |
보령 ‘오서산’ (0) | 2019.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