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동천 재생 4.0 [부산의 미래를 흐르게 하자] <2-3> '물길 되찾기'- 다양한 수질 개선 시도들

금산금산 2014. 2. 8. 12:16

 

동천 재생 4.0 [부산의 미래를 흐르게 하자] <2-3> '물길 되찾기'- 다양한 수질 개선 시도들

바닷물 끌어와 수질개선 '땜질처방'…근본 해법은 복개 걷어내야

 

 

2009년 10월 동천에서 해수 도수 방식 환경정화사업의 하나로 물빼기 작업을 하던 중 숭어가 떼죽음을 당하는 사태가 빚어졌다. 국제신문DB

 

- 지하수 방류하고 수중보 설치
- 합류식 하수관거 분류식 전환
- 하루 5만t해수 방류 등 노력
- 오염원 하천 유입 줄어들면서
- 수질 3등급 수준 올라왔지만
- 옛 맑은 하천 모습 찾기엔 한계

동천1지점(부산 부산진구 범천동·광무교)의 1992년 평균 BOD(생물화학적 산소 요구량)는 94.3㎎/ℓ. COD(화학적 산소 요구량)는 36.7㎎/ℓ, 총 질소는 7.931㎎/ℓ였다.

같은 해 동천3지점(부산 동구 범일동·범일교)에서 측정된 수질은 BOD 106.2㎎/ℓ, COD 40.9㎎/ℓ로 더 나빴다.


2000년대 초반에 들어 동천의 수질은 조금씩 개선될 조짐을 보였다.

하지만 BOD, COD 기준으로 따지면 10~30㎎/ℓ 수준으로 여전히 최하인 5등급에도 한참 못 미쳤다.

'죽은 강'이던 동천이 '보통'의 수질을 뜻하는 3등급 수준으로 복원된 것은 2010년께부터다.


동천에 바닷물을 끌어온 이후인데, 광무교의 연평균 BOD는 2.5㎎/ℓ로 2009년 17.4㎎/ℓ에서 눈에 띄게 달라졌다. 범4호교의 수질도 2009년 COD 9.2㎎/ℓ에서 이듬해 5.5㎎/ℓ로 좋아졌다.

그러나 '해수 도수'가 동천 수질 개선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 백가쟁명, 효과는 없었다

동천은 개발시대가 쏟아낸 오수와 폐수를 고스란히 받아냈다.

도로와 주차장 확보를 위해 하천이 복개되면서 오염은 더 심해졌다.

부산시에 따르면 동천 복원을 위한 노력은 1987년 5월 '동천 하천정비 기본계획'으로 시작됐다.

동천 상류와 전포천 가야천 등 지천 주변에 하수 차집시설을 개선하는 것이었다.

2000년대 들어 부산시는 아시안게임과 월드컵,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개최를 앞두고 더는

동천을 내버려둘 수 없는 지경으로 몰렸다.

2002년 시민단체와 함께 복개천에 관한 현장조사를 하고, 2003년에는 하천 수질과 주변 환경 정비방안에 대한

마스터플랜을 세웠다.

2007년 8월에는 동천 수질 개선 및 종합정비 기본계획을 세웠다.

이 과정에서 부산시는 2004년 도시철도 역사에서 나오는 지하수(2000t/일)를 동천에 흘렸고, 미복개 구간의 상류에 하루 3만 t을 처리할 수질 정화장치도 설치했다.

2003년 이후 5년간 수중보 설치와 준설, 하수관거 공사 등에 투입된 예산만 1000억 원.

그러나 이런 조치들은 오히려 동천 수질 개선의 한계를 뼈저리게 느끼도록 했다는 것 외에 의미가 없었다.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근본적인 발상의 전환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 해법은 결국 '복원'뿐

동천을 살리기 위한 부산시의 노력은 크게 두 갈래였다.

동천의 복원은 장기 과제로 제쳐놓은 채 하류에 바닷물을 흐르게 하는 것과 합류식 하수관거를 분류식으로

바꾸는 데 예산을 집중하고 있다.

부산시는 수질 개선 효과와 초기 투자비, 유지 관리비 등을 고려해 바닷물을 유지용수로 이용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

광무교 부근에서 하루 5만 t의 바닷물을 방류하는 이른바 '해수 도수'사업이다.

부산시는 사업비 65억 원을 확보해 2009년 6월 공사에 착수, 2010년 5월부터 해수를 방류하고 있다.

분류식 하수관거 사업은 오는 2020년까지 장기사업으로 추진 중이다. 1991년 이후 지난해까지 1500억 원이 투입됐다.

시설 완료율은 51.1%. 올해도 동천 주변 지역 분류식 하수관거 공사비에 92억 원의 예산이 편성됐다.

분류식 관로를 묻어 생활하수가 동천에 흘러들지 못하게 하면 수질이 개선될 것이란 기대다.


부산시 김종태 수질보전담당은  "동천 하류만 보면 해수 도수는 분명 수질개선 효과가 크다. 분류식 하수관거

공사가 마무리되면 오염원 유입이 크게 줄어 수질이 더 나아질 것"이라면서

"하지만 장기적으로 동천을 살리기 위해서는 주류와 지천을 생태하천으로 복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는 있다"고 밝혔다.


# 유평종 부산시보건환경硏 부장

- "동천 하류 수량 90%가 해수, 자정능력 회복에 초점 두고 민물 흐르는 하천 만들어야"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 유평종(사진)환경연구부장은 "현재 동천의 수질 상태는 광무교 주변 하천 바닥에 실지렁이와 같은 오염된 물에서 발견되는 일부 생물이 살아있는 정도다. 몇 년 전만 해도 그마저 없었으나 최근 관찰된다"고 말했다.

유 부장은 "갯지렁이와 같은 해양 연체동물이나 새우 게 등의 갑각류가 살아야 진짜로 생태계가 복원됐다고 말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유 부장은 공직에 발을 내디디면서 동천과 인연을 맺었다.

그는 "1980년대 후반까지도 동천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해 물을 퍼올리면 지나가던 시민이 '하수구에서 물 떠서 뭣 하러 그러느냐'며 신기한 듯 물었다. 결국 당시 동천은 시민 눈에 하천이 아니라 하수구였던 셈"이라고 되돌아봤다.

그는 해수 도수 방식에 관한 논란은 여전하지만, 이 시점에서 본다면 수질 개선 효과는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또 바닷물을 퍼올려 하천에 흘린다는 발상은 전 세계적으로도 많이 시도되지 않은 것이라 지난해 벡스코에서

열렸던 IWA 국제물총회에서도 해수 도수에 대한 관심이 많이 쏠렸다고 전했다.

유 부장은 "동천 관련 논의는 당연히 파괴된 생태계를 복원하고, 자정 기능을 살리는 방향으로 초점을 맞춰야 한다"면서 "지금은 동천 하류에 흐르는 수량의 90%가 해수일 것이다.
궁극적으로 동천 복원을 위해서는 바닷물보다는 담수가 흘러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동천 복원이 본격화될 때 하천 중간중간에 빗물 저장소를 설치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다. 물론 부산지역의 계절별 강수량이 편중돼 대규모 수량을 확보하기는 어렵겠지만 하나의 방법이 될 수는 있다"고 제안했다.

국제신문의 동천재생 기획시리즈에 맞춰 보건환경연구원은 동천 관련 연구 비중을 높일 예정이다.

유 부장은 최근 보건환경연구원이 동천만 전담하는 연구원을 배치했다고 소개했다.


# 분류식 하수관거 사업, 수질개선엔 도움 되지만 건천화 등 문제점도 고민을

동천 수질개선을 위한 근본 방향은 도시기반시설인 하수관거의 개선과 하천의 자정능력을 높이는 쪽으로 모여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주장이다.

결국 복개된 하천을 복원하지 않으면 어떤 대책을 세워도 겉돌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에서 동천 연구를 전담하는 이유정 연구원은 "하천을 콘크리트로 덮으면 가장 먼저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없는 곳이 된다. 따라서 생태계가 온전히 유지되기 어렵다"면서 "이는 곧 하천의 정화 작용 상실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그는 반대로 복개된 하천을 복원하면 햇빛이 들어가고 열린 공간이 되기 때문에 생물의 생육과 이동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다만 복원에 나서더라도 콘크리트 등을 최소화해 자연상태로 되돌리는 데 초점을 맞춰야 생태계가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온천천이나 수영강은 자연이 어느 정도 남아 있었기 때문에 복원 작업이 상대적으로 쉬웠다고 볼 수 있다. 동천 복원은 그만큼 어려운 일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부산하천살리기시민운동본부 최대현 사무국장은 "해수 도수는 땜질식 처방일 뿐 동천을 살리는 방법은 아니다"면서 "부산시가 분류식 하수관거에 막대한 돈을 쏟아붓고 있으나 이것도 검토해볼 문제가 많다. 분류식으로 바꾸고 나면 수질개선의 효과는 거두겠지만 동천은 건천화될 수밖에 없다. 유지용수는 어떻게 할 것인지 고민을 함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동천 수질 변화 추이 (광무교 기준, 단위 : ㎎/ℓ)

연도

용존산소

BOD

COD

부유물질

1992

3.8

94.3

36.7

59.3

1996

3.3

77.7

38.1

251.6

2000

2.4

29.2

29.5

56.3

2004

3.8

14.1

12.5

8.9

2008

3.3

15.3

13.2

14.2

2010

8.6

2.5

4.4

5.4

2012

9.3

2

3

5.6

※자료:국립환경과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