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상운산'
폭포수 아래 쉬었다 가세 그려
운문산 자연휴양림서 원점회귀, 걷는 시간만 3시간20분
운문령서 쌀바위 입구까지 임도 때문 의외로 사람 적어
엄연히 가지산 줄기여서 `가지산 상운봉`으로 불러야
울산귀바위 부처바위 용미폭포 등 산행 중 볼거리 많아
국토의 7할이 산지인 우리땅.
한라 지리 설악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명산에서부터 시골마을 구릉지의 무명봉에 이르기까지
수백 수천 개의 봉우리가 산그리메를 드리우며 산꾼들을 유혹한다.
그 많은 산들 중에서 그나마 이름을 부여받은 봉우리는 채 1할도 되지 않는다는 것이 악계의 추정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영남알프스의 상운산(上雲山)은 무척 운이 좋은 듯하다.
경북 청도와 울산 울주의 경계에 위치한 상운산은 산세로 봐선 분명 가지산 줄기이나
어엿한 독립봉으로 대접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지형도나 일반 등산지도를 한번이라도 보기만 하면 대번 알 수 있는데도 말이다.
상운산이란 이름을 부여받은 건 적어도 1980년대 초반 이후이다.
학번이 80년대 초반인 이창우 대장이 이를 입증한다.
이 대장에 따르면 당시만 하더라도 길도 제대로 나 있지 않은 이곳을
대학 신입생 때 올라와보니 정상석은 물론이고 이름조차 없던 철저한 무명봉이었다는 것.
운문산 자연휴양림 내 용미폭포. 폭포 규모나 거무튀튀한 암벽 색 등 첫인상이 마치 지룡산 배넘이골 인근 나선폭포를 쏙 빼닮았다. |
이 대장은 "기억이 정확히 나진 않지만 이후 다시 찾으니
'상운산악회'에서 정상목을 세워 거기에 '상운산'이라는
이름을 부여해 모산(母山)으로 삼고 있었다"고 말했다.
터가 좋은지 아이러니하게도 지난 2004년에는 모 기업이
역시 모산으로 삼기 위해 까만 대리석으로 깔끔한 정상석을 세워 놓았다.
가지산 북동쪽에 위치한 상운산은 정확히 말해
가지산 전위봉이자 위성봉이다.
가지산 남동쪽에 터잡은 가지산중봉과 같은 레벨인 것이다.
해서, 가지산 상운봉이라 불러야 맞지 않을까 싶다.
지리산 천왕봉, 설악산 대청봉, 금정산 고당봉 하듯이 말이다.
한 술 더 떠 최근에는 '1000m 이상의 영남지역의 산군'이라는
영남알프스의 정의에 부합된다며 이 상운산(1114m)을
가지산 운문산 등과 함께 영남알프스 산군에
새롭게 추가해야 되지 않느냐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와 관련, 산행팀은 상운산의 경우 영남알프스의 맏형
가지산에서 펼쳐지는 북동릉상의 한 봉우리로
여기서 한 가닥은 쌍두봉 지룡산 운문사로,
또 한 가닥은 운문령을 거쳐 문복산 또는 고헌산으로 갈라지는
정거장봉으로 보면 될 듯싶다.
GPS 트랙 내려받기 / 트랙 맵매칭 |
하지만 상운산을 찾는 이는 예상 외로 적다.
운문령에서 출발하는 산꾼들의 십중팔구는 상운산을 오르지 않고
임도를 따라 쌀바위 입구까지 간 후 가지산을 타기 때문이다.
이는 낙동정맥 또는 영남알프스 종주자들에게도 마찬가지이다.
다만 쌍두봉~상운산, 지룡산~상운산 종주자들 그리고
여름철 학심이계곡을 타는 산꾼들 정도가 정상을 밟을 뿐
대부분의 산꾼들은 오르지 않는다.
이에 산행팀은 '외로운' 상운산을 원점회귀하는 코스를 소개한다.
시종점은 청도군 운문면에 위치한 운문산 자연휴양림이다.
상운산 고도표 |
산행은 운문산 자연휴양림~대피소·용미폭포 갈림길~삼각점봉~
무명봉(TV안테나)~주능선(낙동정맥)~울산귀바위~상운산 정상~
상운산 삼거리(이정표)~헬기장~휴양림 갈림길~
휴양림·생금비리쉼터 갈림길~부처바위~용미폭포 갈림길~용미폭포~
팔각정(대피소)~관리사무소 순.
순수하게 걷는 시간만 3시간20분.
쉬이 멀리 떠나지 못하는 장마철 잠시 다녀오는 산행으로 제격이다.
휴양림 관리사무소를 지나면 이내 만나는 사거리에서 좌측 '숲속수련장' 방향으로
30m쯤 오르면 우측으로 침목계단으로 숲으로 인도한다.
들머리다.
산죽길을 한 굽이 오르면 너른 터.
가로질러 똑같은 침목계단으로 오르면 휴양림 내 임도.
역시 가로질러 이번엔 돌계단을 밟고 숲으로 진입한다.
오랜 기간 사람이 안 다녀서인지 잡풀이 산길을 덮고 있다.
길섶엔 노란 망태버섯이 발길을 붙잡는다.
18분 뒤 첫 이정표.
우측 '대피소 탐방로 용미폭포' 방향 대신 직진한다.
6분 뒤 잠시 숲을 벗어나 시야가 트이는 삼각점봉에 선다.
GPS단말기상으론 해발 635m.
다시 숲으로 들어선다.
3분 뒤 두 번째 이정표 앞에 선다.
길찾기에 유의해야 할 지점이다.
'등산로'라고 적힌 조그만 이정표가 있지만 이는 휴양림에서 만든 순환 탐방로를 알리는 표시.
무시하고 이정표 뒤로 직진한다.
TV수신용 안테나가 서 있는 무명봉을 지나면 키작은 산죽길.
곳곳엔 멧돼지가 목욕한 흔적과 배설물이 눈에 띈다.
고도를 높일수록 이와 비례해 산죽의 키도 더 커져 이제 어른 키에 육박한다.
숲은 여전히 하늘을 가릴 만큼 울창하고 산길은 점차 기울기를 더 세워 된비알 정도로 치닫고 있다.
동시에 확실한 산길은 사라진다.
아예 없는 것이 아니라 전부가 산길로 오해받을 정도로 종잡을 수 없다는 것.
운문산 자연휴양림 내 산막. 동화속 통나무집을 연상시킨다. |
이후 경사는 더 심해진다.
전체적으로 17, 18분쯤 힘겹게 오르면 된비알은 끝이 나고
산길은 우로 휘어진다.
좌측 뒤 열린 길은 운문령 아래 쉼터인 매점 방향이다.
여기서 6분이면 시야가 트이며 묘지 한 기가 들어설 터에 닿는다.
주능선으로 낙동정맥길에 올라선 것이다.
좌측 운문령 방향 대신 우측 귀바위 상운산 가지산 방향으로 내려선다.
2분 뒤 반듯한 등로와 만나면 우로 발길을 옮긴다.
이 길은 원래 등산로, 방금 온 길은 능선 등산로이다.
산길 좌우로 전망대가 보이지만 아쉽게도 이날은 뿌연 운무 때문에 거의 시계 제로.
4분 뒤 연립주택 크기의 암벽이 앞을 가로막는다.
불과 10m 떨어진 지점에 와서야 그 흔적이 확인될 정도이다.
울산 귀바위(1081m)다.
부처의 귀를 닮았다는 이 바위는 청도귀바위에 비하면 규모가 적은 대신
조망이 워낙 빼어나다고 명성이 자자하지만 이날만은 '그림의 떡'일 뿐이다.
귀바위에 올라서면 곧바로 산길이 이어진다.
이 길 좌측 아래가 운문령에서 쌀바위로 가는 임도이다.
참고하길.
상운산 정상은 귀바위에서 9분이면 올라선다.
상운산악회에서 세운 오래된 하얀 정상목과 삼성정밀의 검은색 정상석이 나란히 서 있다.
여전히 운무 탓에 주변 산세가 보이진 않는다.
허나, 이창우 대장은 지형도와 과거 오른 경험을 토대로 정상석 우측으로 문복산과 그 우측으로 백운 고헌산 등 낙동정맥, 그리고 발아래 생금비리계곡과 방금 산행팀이 올라온 능선이 보일 것이라고 한다.
하산은 직진.
20m쯤 가면 삼거리 이정표.
좌측은 운문령에서 이어지는 임도로 해서 쌀바위 가지산으로 이어지는 낙동정맥길,
산행팀은 지룡산 운문사로 연결되는 직진형 우로 향한다.
3분 뒤 임도로 내려서는 또 다른 갈림길을 만나지만 무시하고 직진한다.
이 구간은 오르락내리락하면서 한 사람이 겨우 다닐 수 있는 청정산길이다.
삼거리 이정표에서 10분이면 헬기장을 지나고 여기서 12분쯤 푹신푹신한 산길로 내려서면 갈림길.
좌측 쌍두봉 지룡산 배넘이재 운문사 삼계리 방향 대신 우측 휴양림 또는 생금비리쉼터 방향으로 내려선다.
입구에 '운문산 자연휴양림'이라 적힌 팻말이 걸려 있다.
청도 귀바위에 비해 규모는 적지만 조망이 빼어난 울산 귀바위. |
13분 뒤 아름드리 홍송을 지나면 이내 갈림길.
좌측 생금비리쉼터 대신 우측 휴양림쪽으로 간다.
7분 뒤 집채만한 바위를 만난다.
일명 부처바위다.
산속에선 코끼리 다리 만지기지만 휴양림 관리사무소에서 보면
마치 논산 관촉사의 은진미륵불로 잘 알려진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 제218호)을 빼닮아 명명됐다 한다.
실제로 갓 얼굴 몸통 부분 등 세 부분으로 나눠지는 미륵불 둘이
등을 지고 있는 형국이다.
부처바위 옆에서 고개를 내밀면 발아래 휴양림이 보이기 시작한다.
부처바위에서 20m쯤 더 내려가면 갈림길.
이정표엔 '좌 휴양림, 우 용미폭포'라 적혀 있다.
산행팀은 잠시 폭포를 보고 되돌아와 하산하려고 했는데 폭포에서 별도의 하산길이 있었다.
폭포까진 6분 걸린다.
천년 묵은 백룡이 힘에 겨운 나머지 꼬리를 바위에 걸쳐 놓은 채 몸통만 승천,
남은 용꼬리가 폭포로 변했다는 전설의 이 용미폭포는
높이나 거무튀튀한 암벽 색 등 첫 인상이 지룡산 배넘이골 인근에 위치한 나선폭포를 쏙 빼닮았다.
하산은 밧줄을 따라 열린 너덜길로 계곡과 나란히 걷는다.
숲 사이 보이는 우측 능선이 우리가 올라온 능선이다.
팔각정을 지나며 산을 벗어나며 여기서 관리사무소까지는 14분 걸린다.
# 떠나기 전에
- 운문산 자연휴양림 뒤엔 운문산이 없다
그것이 궁금했다.
휴양림을 품고 있는 산이 산줄기로 봐선 분명 가지산인데 왜 이름이 운문산 자연휴양림인지.
알고 보니 이 휴양림은 2000년 8월 문을 열 때부터 지금까지 이름과 관련해 적잖은 속앓이를 하고 있었다.
한 관계자는 "지금도 휴양림을 찾은 방문객들이 가까운 상운산이나 가지산을 제쳐두고 '운문산까지는
몇 시간 걸리느냐'고 물을 땐 빨리 이름을 바꿔야 할 텐데"라는 생각이 들 때가 한두 번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운문산 자연휴양림으로 결정된 배경은 이랬다.
산림청이 운영하는 이 휴양림의 주소지는 청도군 운문면이고 휴양림을 품고 있는 뒷산은 가지산 줄기.
문제는 가지산 정상이 밀양 산내면과 울산 울주군의 경계라 청도와는 별개였던 것.
하지만 아랫재를 기준으로 가지산과 이웃한 운문산 정상은 청도 운문면과 밀양 산내면의 경계여서
청도의 산이라 해도 사실 무방하다.
결국 청도땅에 있는 이 휴양림 이름에 청도의 대표 산인 운문산 이름을 앞에 갖다붙이는
다소 어설픈 조합을 완성한 것이다.
이 관계자는 개장 당시부터 이름과 관련, 방문자들로부터 이름이 부적합하지 않느냐 하는
질문을 수시로 받으면서 지난해에는 한때 내부적으로 이름을 바꿔볼까 하고 검토도 해봤지만
이미 8년간 뿌리내린 데다 홍보물까지 전국적으로 배포돼 있어 유야무야됐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올해 들어서도 계속 이름과 관련한 문의가 잇따르자 새롭게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이
바로 '운문령 자연휴양림'이라고 말했다.
운문령은 청도 운문면과 울산 울주군의 경계에 위치해 있으니 무리가 없다는 것.
휴양림 앞에 산 이름을 붙이는 것이 관례이지 않느냐고 묻자
그는 산림청이 운영하는 34개 휴양림 중 강원도에 '대관령 자연휴양림'도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그리곤 '운문령 자연휴양림' 건도 내부의 한 의견일 뿐 확정된 것은 아무 것도 없다며 섣부른 보도를 경계했다.
(054)371-1323
운문산 자연휴양림 관리사무소에서 본 부처바위. 관촉사 은진미륵불을 닮았다. |
# 교통편
- 지난 20일부터 언양~대구행 시외버스 증차돼 편리
부산 노포동종합터미널에서 언양행 시외버스는
오전 6시30분부터 20분 간격으로 있다.
1시간 걸린다.
언양터미널에선 대구행 시외버스를 타고 운문산 자연휴양림에서 내린다. 오전 9시, 10시30분. 40분쯤 걸린다.
날머리 운문산 자연휴양림에서 언양행 시외버스는
오후 2시50분, 5시40분에 출발한다.
언양~대구남부터미널을 오가는 시외버스 출발 시각은 지난 20일부터 변경됐다.
언양에서 노포동행 시외버스는 20분 간격으로 있으며 막차는 밤 9시.
승용차를 이용할 경우 이정표 기준으로 경부고속도로 서울산(삼남)IC~언양 35번(가지산 석남사)~
경주 봉계 35번 직진~밀양 상북 24번~밀양 석남사 24번 우회전(언양교차로)~밀양 상북 24번~창녕 밀양 24번~청도 배내골 석남사 69번~청도 경주 69번 우회전~가지산온천 지나~운문령 지나~운문산 자연휴양림.
주차장은 관리사무소 지나 첫 사거리에서 우회전하면 바로 보인다.
※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받아 취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