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작약산'
김해 3대 명산부터 멀리 지리산까지… 이 낮은 산 조망이 이리도 좋은가
성포마을 휘감는 원점회귀 코스… 정상 부근 '풍혈' 볼거리
무척·신어·불모산 등 김해 명산들 한눈에 들어
삼랑진 지명 유래된 낙동강 밀양강 합수점도 조망
봄맞이 가족산행지 적격… 무척산 흔들바위 들러볼만
입춘이 지나고 한동안 봄을 재촉하는 막바지 겨울비가 내렸다.
아직은 싸늘한 기온이 남아있지만 이미 제주도에서는 유채꽃 소식이,
남도 해안가 마을 곳곳에서는 동백꽃 개화 소식이 속속 전해 온다.
바야흐로 봄의 들머리에 선 것이다.
이번 주는 본격적인 봄철 산행에 앞서
가까운 김해 생림면의 작약산(芍藥山·일명 함박산·377.8m)으로 봄 마중 산행을 떠났다.
워낙 고도가 낮은 산이다 보니 그 이름조차 낯설게 다가온다.
더욱이 신어산 불모산과 함께 김해 3대 명산에 속하는
무척산(703m)의 서쪽에 바짝 엎드려 있는 탓에 무명의 설움이 더하다.
근교산 취재팀의 이창우 산행대장이 작약산 정상 부근 함박정 앞에서 김해시 생림면 생철리 들판과 멀리 영남알프스 산군을 조망하고 있다. 중앙부 상단에 우뚝 솟은 산은 김해 3대 명산 가운데 하나인 무척산이다. |
하지만 작약산은 화려한 듯 소담스러운
함박꽃을 뜻하는 '작약'이라는 이름값을 한다.
편안하고 한적함 속에서도
주변의 아름다운 풍광을 즐길 수 있는 '봄의 산'이다.
비록 낮은 산이지만 능선 곳곳에서 바라보이는
낙동강 물 줄기와 무척산 신어산 불모산 등
김해 지역의 산 줄기, 밀양 청도 양산 일대 영남알프스 명산들이
그려내는 산그리메가 무척 아름답다.
또한 맑은 날에는 멀리 지리산과 황매산의
거대한 산 줄기도 어렴풋하게나마 눈에 들어오니
낮은 산이라고 무시하고 넘어가기에는 아까운 산이다.
봄의 들머리에 이른 요즘 조용하게 다녀올 만한
가족 산행지로는 더없이 좋은 산이다.
특히 이 산 정상 부근에는 겨울이면 따뜻한 바람이,
여름이면 시원한 바람이 뿜어져 나오는 풍혈(風穴)이 있어 자연의 신비도 느껴 볼 수 있다.
비교적 짧은 작약산 코스만으로 성에 차지 않는 산꾼이라면 인근의 무척산 흔들바위까지 다녀올 수도 있다.
일명 '다이아몬드 흔들바위'로 전국적인 명성을 쌓고 있는 이 바위까지 볼 수 있다면
자연의 신비를 더욱 깊이 느낄 수 있는 산행이 될 듯하다.
GPX & GTM 파일 / 고도표 jpg파일 |
전체 산행은 김해시 생림면 생철리 성포마을 버스정류소에서 출발해
성포마을을 한 바퀴 돌아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원점회귀 산행이라 할 수 있다.
코스를 요약하자면
버스정류소~가야농원(식당)~이정표~능선~전망대~작약산 정상~
함박정~풍혈~함박정~349.9봉~임도 이정표~과수원 갈림길~
지네 먹인 닭(식당)~성포 마을회관~버스정류소 순이다.
총 7㎞에 걷는 시간은 3시간.
휴식 및 식사 시간을 합쳐도 4시간~4시간30분 정도면 충분하다.
김해 시가지에서 밀양시 삼랑진읍으로 향하는
58번 국도 상의 성포마을 버스정류소에서 출발한다.
성포마을 표지석이 보인다.
마을 안으로 들어서지 말고 국도를 타고 삼랑진 방향으로 300m가량 이동한다.
가야산장 표지판 왼쪽길로 들어서서 작은 다리를 건너 가야산장 앞에서 오른쪽으로 꺾는다.
둑길을 따라 200m쯤 가면 등산로 시작을 알리는 이정표에 닿는다.
'함박정 2.5㎞'라는 표시가 뚜렷하다.
잠시 뒤돌아보면 웅장하게 솟은 무척산이 거대한 병풍처럼 성큼 다가선다.
완만한 산길이다.
소규모 가족묘지가 이어진다.
10분 후 능선에 닿으면 능선 너머로 낙동강의 거대한 물줄기와 삼랑진철교가 비로소 모습을 드러낸다.
삼랑진철교 너머로 삼랑진읍 주민들이 매년 해돋이를 한다는 매봉산이 보이고
그 오른쪽 멀리로는 구천산 천지봉 만어산 금오산 천태산 토곡산 등
밀양과 양산의 이름난 산들이 줄지어 봄인사를 한다.
왼쪽으로 꺾어 능선을 타면 7분 뒤 이천 서씨 묘를 지나고 10분 후 안부 사거리다.
그러나 말이 사거리이지 실제로 왼쪽의 성포마을로 내려서는 길과 오른쪽의 숭촌마을로 가는 길은
모두가 흔적만 희미할 뿐 근래에 사람 다닌 자국은 찾기 힘들다.
김해 작약산 정상 부근의 풍혈. 한겨울에도 영상 15도의 바람을 뿜어낸다. |
계속되는 능선길.
약간 가파른 오르막을 걷는데
무덤 위에 자란 '한 뿌리 세 줄기' 소나무'가 보인다.
그러고 보니 작약산 일대의 소나무들은 대부분 홍송이다.
아직은 때가 이른지 잘 보이지 않던 새싹들도 조금씩 모습을 보인다.
이 소나무를 지나 2분만 가면 오른쪽이 탁 트인 전망대다.
낙동강과 밀양강의 합수 지점이 선명하게 드러나는데
밀양강 최하류의 폭이 낙동강 본류의 너비에 못지않아
마치 거대한 강과 강이 만나는 장관을 보여준다.
본래 삼랑진(三浪津)이라는 지명의 '삼랑'은 낙동강과 밀양강,
그리고 바다에서부터 밀고 올라온 조수(潮水) 등 세 물결이 만나 일렁이는 모습을 일컫는다고 한다.
하지만 세 가지 물결이 만나는 모습을 한눈에 보기가 쉽지 않은데
바로 작약산 정상 아래에 있는 이곳 전망대에서 바라보면 그 장관이 훤히 드러난다.
그 합수 지점 너머로는 밀양의 진산인 종남산과 왼쪽으로 덕대산이 보이고
청도 남산과 화악산 멀리 현풍 비슬산까지 이어지는 산그리메가 끝없이 펼쳐진다.
뿐만 아니라 종남산 덕대산 왼쪽 멀리로는
창녕 화왕산과 관룡산 영취산이 그려내는 울룩불룩한 하늘금이 아련하다.
전망대에서 삼각점이 있는 작약산 정상까지는 10분쯤 걸린다.
아쉽게도 정상의 조망은 생각보다 시원하지 않다.
오히려 정상에서 5분가량 더 가서 만나는 함박정(정자) 봉우리의 조망미가 훨씬 빼어나다.
이곳에서는 서쪽 지척에 선 무척산은 물론이고
남동쪽으로 신어산과 멀리 부산 시내의 백양산 승학산 금정산 등이 확연히 보인다.
또 남쪽으로는 마산 무학산에서부터 정병산 불모산 등으로 이어지는 낙남정맥 능선이 뚜렷이 보이고
그 아래 진영 들판 중간에 야트막하게 이어지는 봉화산 줄기도 선명하다.
무엇보다 빼놓을 수 없는 것은 무학산 오른쪽 뒤편 아주 먼 곳으로
거대한 지리산 줄기가 희미하게나마 드러난다는 점이다.
물론 그 오른쪽 우뚝 솟은 산군은 황매산 자락.
한 차례 조망을 즐긴 후 구천암 방면으로 100m 아래에 있는 풍혈에 다녀오기 위해 왼쪽 내리막을 탄다.
2분 정도만 내려가면 작약산 풍혈이 있다.
경북 청도 방음산의 풍혈이야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곳의 풍혈은 인근 주민들만 약 40년 전부터 그 존재를 알고 있었을 뿐이었다.
그러던 것이 지난 2008년 12월 재발견돼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2009년 1월 외부 온도 영하 10도일 때 내부 온도를 측정한 결과 영상 15도였다고 한다.
실제 취재팀이 입구 지름 80㎝ 크기의 풍혈 앞에 도착했을 때
갑자기 후끈한 바람이 뿜어져 나와 안경에 김이 서리기도 했다.
깊이 4~5m의 풍혈 동굴 속에는 바깥 온도가 영하인 것은 아랑곳없이 녹색의 이끼가 생기를 발하며 자라고 있다.
작약산 정상 못 미친 전망대에 서면 낙동강과 밀양강 합수점이 보인다. |
다시 함박정으로 돌아와 능선을 계속 타면
김해 김씨 묘가 있는 349.9봉까지 30분쯤 걸린다.
주변에 불탄 흔적이 있어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무척산을 바라보는 방향에서
왼쪽 10시 방향 능선으로 하산길이 열려 있다.
임도 앞 이정표까지는 20분가량이면 닿는다.
왼쪽 성포마을 방향으로 임도를 타고 가다 보면
5분 후 과수원 사이로 난 오른쪽 내리막길이 있다.
곧바로 마을길로 접어드는데
등산로 이정표 앞에서 오른쪽 마을회관 쪽으로 길을 잡는다.
출발지점인 버스정류소까지는 5분이면 족하다.
작약산 산행을 마무리한 셈이다.
이곳에서 무척산 흔들바위까지 가려면
생철리 무척산 등산로 입구에서 이정표를 보고 임도로 500m쯤 가다가
모은암으로 향하는 임도에서 이탈, '흔들바위' 이정표를 보고 오른쪽 산길로 들어서서 20분가량 오르면 된다.
보는 방향에 따라 다이아몬드의 모양이 되기도 하고 여인의 얼굴 옆모습을 닮기도 한 무척산 흔들바위는
특정 부위를 잘 포착했을 경우 엄지손가락 하나로만 밀어도 흔들리는 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이 바위에 드러나는 여인의 얼굴 모습과 관련된 전설도 있다.
금관가야의 거등왕이 어머니인 허 황후의 영정과 위패를 모은암에 모셨는데
허 황후가 아들의 건승과 가야국의 번영을 기원하기 위해
무척산의 흔들바위에서 사려 깊은 여인의 얼굴 모습으로 화했다는 것이다.
◆ 떠나기 전에
- 성포마을 '지네 먹인 닭' 건강식 애호가에게 인기
작약산에서 지척인 무척산 흔들바위. 여인의 얼굴 옆모습처럼 보인다. |
김해 생림면 생철리 성포마을을 감싸고 있는 작약산 자락에는
지난 2008년 말 발견된 풍혈(風穴) 외에도
전국적으로 이름난 곳이 또 한 곳 있다.
바로 '지네 먹인 닭(055-335-8929)'이라는 식당.
산행을 마치고 성포마을 내로 진입해
등산로 이정표가 있는 곳이 바로 이 집 앞이다.
'지네 먹인 닭'이라는 범상치 않은 상호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이곳은 지네를 100마리 또는 200마리 먹인 오골계를 삶아 낸
백숙과 닭죽이 메뉴의 전부인 식당이다.
'가금천적 생태연구 사육장'이라는 또 하나의 이름을 갖고 있는 이곳은 박영화 씨(60)가 21년째 운영하고 있다.
지네를 갈아 만든 사료를 먹인 오골계로 요리를 하는 전국 유일의 식당이기도 하다.
동물 가운데 대표적인 상극으로 알려진 닭과 지네의 결합을 통해 먹을거리로 개발했다는 점이 우선 신기하다.
또한 이 집의 닭 요리는 그 맛보다 건강효능이 더욱 널리 알려져
건강식을 찾는 사람들에겐 이미 유명세를 타고 있다.
주인인 박 씨는 "지네의 어혈, 소염, 해독(숙취해소), 뇌수신경 촉진, 안면마비 진정,
성장 촉진, 신경통 및 관절염 완화 등의 효능이 알려져 많은 분들이 오시는 것 같다"고 말했다.
닭을 주문하면 요리법 안내문을 동봉해 택배로 보내주기도 한다.
◆ 교통편
- 김해 외동버스터미널에서 60번 시내버스 이용
부산 시내에서 김해 외동버스터미널까지 간 후 김해 시내버스로 갈아타야 한다.
부산 시내에서 김해 외동버스터미널까지 가는 버스는 8번과 127번이 있는데
지하철 2호선이나 3호선을 타고 덕천교차로까지 간 뒤 버스로 환승하면 가장 간단하다.
김해 외동버스터미널에서는 마사리행 60번 시내버스를 탄 후 성포마을 정류소에서 하차하면 된다.
첫 차는 오전 6시25분이며 1시간 간격으로 운행. 막차는 밤 10시다.
산행 후 성포마을에서 김해터미널로 가려면 오후 3시15분, 5시, 6시10분, 7시20분 등에 60번 버스를 탈 수 있다.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신대구부산고속도로 삼랑진IC에서 내려 58번 국도를 타고 낙동강을 건너는 방법이 가장 간단하다.
김해 생림 방면으로 가다가 성포마을 입구에서 우회전, 마을 쪽으로 50m만 들어가면 주차할 공간이 있다.
'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양 ‘법화산’ (0) | 2018.04.03 |
---|---|
고흥 ‘천등산’ (0) | 2018.03.30 |
부산 회동동 ‘아홉산'~수변 산책로 (0) | 2018.03.23 |
광주 [무등산] `옛길' (0) | 2018.03.20 |
‘남덕유산~서봉’ 눈꽃 산행 (0) | 2018.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