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청 ‘적벽산~백마산~월명산’

금산금산 2018. 7. 13. 08:52

산청 '적벽산~백마산~월명산'



충무공·홍의장군 얼 서린 `천혜요새` 강과 산 조화이룬 명품 산행지로…

해발 300m대, 낮지만 알찬 강변 코스

여유있게 걸으며 지리산 능선 한껏 감상

깎아지른 절벽 밑 경호강 물줄기 일품

기암·역사·전설 품은 8㎞ 가족 코스




경호강(鏡湖江)은 남강(南江)의 상류를 따로 부르는 이름이다.

 통상 경남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 강정에서 진양호에 이르는 32㎞의 물길을 일컫지만

 발원지는 함양군의 남덕유산 자락이다.

산청을 거쳐 진주에 이르기까지, 서쪽에 지리산 자락을 끼고 돌며 흐르는 이 강은

 유속이 빠르고 물돌이가 많아 모래톱이 발달했으며 최근에는 래프팅 명소로도 이름을 날리고 있다.



   
'근교산&그 너머' 취재팀이 경남 산청의 적벽산 정상 부근 전망대에서 S자 곡선을 그리며 유유히 흐르는 경호강 물줄기와 백마산 자락을 살펴보고 있다.

유장하게 흐르는 경호강 물줄기를 내려보면서

 아기자기한 산길을 걸을 수 있는 근교 산행지 중 하나가 바로

 산청군 신안면에 자리 잡은 적벽산(赤壁山·166m)~백마산(白馬山·286m)~월명산(月明山·334m) 연계 코스다.

낮은 산길이지만 산행 내내 왼편에 깎아지른 절벽을 끼고 달릴 수 있고

 암릉이 발달해 있으며 경호강은 물론 강 건너 천왕봉에서 웅석봉

 이르는 지리산 동부능선을 시원하게 조망할 수 있어

 산을 타는 재미가 쏠쏠하다.

특히 백마산과 적벽산 일대는 옛날부터 풍광이 아름답기로 유명해

 한양(서울)에서 880리를 걸어 온 길손이 경치에 취해 가던 길을 멈추고 하염없이 놀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오기도 한다.

그뿐인가.

이 낮은 산줄기를 걸으면서 우리 역사에 큰 방점을 찍은 사건인 임진왜란 당시

 홍의장군 곽재우와 충무공 이순신 장군에 얽힌 여러 가지 이야기와 전설을 음미할 수도 있어

 풍광과 사색을 함께 즐길 수 있는 명품 산길이라 할 수 있다.

최고 300m대 이하의 봉우리 3개를 넘어야 하지만 등산로가 잘 조성돼 있어

 비교적 수월한 코스여서 실버산행지로도 적격이다.

또 하산 후에는 주변의 문익점 목화 시배지와 문익점 묘, 성철 스님 생가, 수월폭포

등 명소와 유적지도 둘러볼 수 있어 가족산행지로 적극 추천할 만하다.

   
GPX & GTM 파일 / 고도표 jpg파일

전체 산행은 예로부터 서부 경남과 지리산권의 교통요지로 통하는

 산청군 신안면 원지리 단성교 앞 삼거리에서부터 시작한다.

단성교 앞 이정표~전망대~적벽정~체육공원~적벽산 정상~

3번국도 변~산성교 사거리~백마사~망춘대~산성 내 연못~

백마산 정상~전망대~질매재 안부 사거리~잇딴 전망대~월명산~

상사바위~남평 문씨 묘~안부 갈림길~월명사~하촌마을 순.

산행 총거리는 8㎞에 순수하게 걷는 시간만 3시간30분, 휴식과 식사 시간을 포함하면 4시간30분 정도면 여유 있게 마무리할 수 있다.



산행을 시작하기에 앞서 단성교 중간쯤으로 가서 경호강을 호위하듯

 늘어선 적벽산~백마산 줄기의 바위 벼랑을 한 차례 훑어본다.

가을에 단풍이 들면 붉고 화려한 옷으로 갈아입는다는

 적벽산의 풍광이 빼어나기로 조선시대부터 명성이 자자했다고 한다.

당시 적벽 아래 강변 숲 속에는 신안루를 비롯하여

 경연, 담분, 유취, 매연, 우화 등 여섯 개 누각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산 이름 역시 중국 송나라 때 대문장가인 소동파의 적벽부(赤壁賦)의 배경이 된

 양자강 적벽(호북성 황주 소재)의 경치에 못지 않다고 적벽산이라 지었다 하니

 강물과 가을 단풍의 어우러짐이 어떠할지 가히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




단성교 원지 방면 입구 오른쪽에 적벽산으로 오르는 등산로 이정표를 보고 돌계단을 오르며 산행이 시작된다.

5분 후 갈림길에서 왼쪽 오르막 철계단을 타고 오르면 작은 전망대다.

신안면 소재지인 원지리 시가지와 단성교, 단성면 일대가 눈에 들어온다.

그리고 단성교 아래로 흐르는 경호강과 양천의 합수 지점도 보인다.

신안과 단성 일대 주민들은 경호강 줄기 중 적벽산과 백마산을 끼고 도는 부분을 따로 떼 어 '적벽강'이라 부른다. 충남 금산 주민들이 금산군 부리면 방우리에서 수통리로 흐르는 금강 일부 구간을 '적벽강'이라 부르고

 일대 절벽을 적벽이라고 하는 것과 유사하다.

국내에 또 다른 적벽으로는 '화순적벽'이 있다.

전남 화순군 옹성산(572m) 자락의 깎아지른 절벽이 그 아래 동복호와 어우러진 풍광을 일컫는 말이다.



   
적벽산 인근인 산청군 생배량면의 '도전리 마애불상군'.

전망대에서 4분만 가면 적벽정.

작은 팔각 정자인 적벽정에서는 유유히 흐르는 경호강 줄기와

 백마산 월명산 봉우리가 모두 눈에 들어오는데, 강 건너 석대산 능선과 그 뒤 웅석봉까지 어우러지며 시원하기 그지없는 풍광을 감상할 수 있다. 혹자는 이 광경을 보고 "눈이라도 깜박이면 이 장관이 사라질까 저어하니, 차마 눈조차 감을 수 없어 시리디 시리다"고 노래했다고 한다.

적벽정을 지나면 완만한 능선이 이어진다.

산길 왼쪽으로는 절벽이 이어지니 발길 닿는 곳마다 전망대요 조망처다. 두 번째 체육공원 왼쪽의 전망대에서는 S자 곡선을 그리며 흐르는

 경호강과 백마산의 멋들어진 조화를 볼 수 있다.

2분 후 정상석과 산신제단이 있는 적벽산 정상에서 계속 이어지는 길은 경사가 꽤 가파른 내리막.

10분 후 국도3호선 옆 임도에 닿으면 왼쪽으로 방향을 잡는다.

200m쯤 가면 이순신 장군 백의종군로 구간임을 알려주는 비석이 있는데, 이곳에서 총 5갈래 길 중

 백마사 방향의 작은 다리(노란색 난간)를 건너 백마사로 오른다.

'구석다리'라는 토속 지명을 가진 이 갈림길은 백의종군로의 중요한 분기점이다.

백마산 등산 안내도를 지나 콘크리트 임도를 7분가량 오르면 백마사에 닿는다.

식수를 보충할 수 있다.

등산로는 백마사 마당에서 오른쪽이다.

30m만 가면 이정표.

정상 900m를 표시하고 있다.

10분 후 망춘대 이정표에서 일단 왼쪽으로 가면 절벽 전망대인 망춘대다.

경호강에 기대선 남쪽의 적벽이 훤히 드러난다.

정상으로 오르는 길은 수월하다.

오르막을 10분쯤 타고 나면 산성 흔적을 지나 왼쪽으로 널따란 반석이 나타나는데

 바위 표면에 지름 10~15㎝가량의 구멍들이 10여 개 보인다.

옛날 백마산성의 망루 기둥을 박았던 흔적으로 보이는데 일부에서는

 홍의장군 곽재우가 타던 말발굽 자국이라고도 전해진다.



   
백마산성의 연못. 임진왜란 당시 병사들의 식수원이다.

백마산성은 삼국시대 때부터 백제와 신라의 격전지였고

 임진왜란 때는 의병장인 홍의장군 곽재우가 진주를 넘어 북진하는

 왜군을 맞아 한 달 이상을 버티면서 물리친 유적지다.

당시 왜군은 깎아지른 절벽을 갖춘 천혜의 요새인 산성을 도저히

 함락시킬 수 없자 물과 식량이 떨어지기를 기다리며 옥새작전을 펼쳤다. 그런데 성 위에 있던 곽재우 장군이 부하들에게 왜군이 볼 수 있도록

 말을 세운 다음 쌀을 말 등에 붓도록 지시했다.

강 건너에서 이 광경을 본 왜군들은 물로 말을 목욕시키는 것으로 착각해 물이 많은 것으로 오인, 성 함락을 포기하고 물러갔다는 이야기가

 전설처럼 전해 온다.

그 이후 원래 이름이던 동산성이 백마산성으로 바뀌었다고 한다.



또 정유재란이 일어난 1597년 여름 백의종군에 나선 이순신 장군이 합천 초계의 권율 도원수 진영에 머무르다

 원균의 패전 소식을 듣고 울돌목으로 가던 도중 이 산성에 올라 지세를 살폈는데 천혜의 난공불락 요새인 점을 확인하고 안심하며 길을 나섰다는 이야기가 난중일기에 기록돼 있다. 1597년 7월 19일의 일이다.

일단 오르막을 올라서고 나면 길은 편평한 산책로와 같다.

산성 내의 연못도 보인다.

아무리 가뭄이 들어도 마르지 않는 연못이라고 한다.

망루터 전망대에서 정상까지는 10분이면 족하다.

백마산 정상석 옆에 면민안녕기원제단이 있다.

서서히 가팔라지는 내리막을 타고 8분쯤 가면 작은 바위 전망대다.

맞은편 월명산과 그 뒤로 둔철산 자락이 조망된다.

2분 후 십자 이정표가 서 있는 안부사거리인 질매재에 닿는다.

오른쪽은 중촌리 산성마을, 왼쪽은 신안리 명동마을로 통하고 직진하면 월명산으로 오르게 된다.



   
월명산 상사바위에서 지형을 살피는 이창우 산행대장.

월명산으로 오르는 길은 꽤 가파르다.

잇따라 멋드러진 전망바위를 지나고 아기자기한 바위길을 통과해

 정상까지 이르는 데는 30분 정도 걸린다.

중간에 만나는 전망바위에서 뒤돌아보면

 백마산 정상부와 경호강이 어우러지고

 동쪽 멀리로는 의령의 진산 자굴산까지 보인다.

 '해발 320m'라고 표시된 월명산 정상석의 위치는

 실제 2만5000분의 1 공식지형도에 334봉으로 표시된 곳이다.

서쪽으로는 천왕봉을 넘어 웅석봉에 이른 백두대간의 마지막 꼬리 부분이 남쪽으로 흘러내리며 최후의 숨고르기를 하는 모습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계속되는 능선길을 따르면 비교적 평탄한 능선에 있는 바위들이

 마치 여수 향일암 주변 금오산에서 보는 것처럼

 거북이 등 무늬로 갈라져 있어 신기하다.

우뚝 솟은 암봉을 왼쪽으로 살짝 우회한 후 다시 능선에 올라서서

 2분만 내려서면 길 가운데 불룩 솟아난 전망바위.

눈앞에 상사바위가 보인다.

이곳에서 상사바위까지는 불과 5분.

천애절벽인 상사바위는 정말로 못다 한 사랑에 가슴앓이 하다

 스스로 몸을 던진 그 누군가의 한이 서려 있는 듯한 분위기다.

빼어난 경치를 자랑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사바위에서 5분 후 닿는 남평 문씨 묘까지는 평탄한 내리막이다.

무덤에서는 갈림길인데 일단 능선을 따라 직진한다.

5분 후 T자형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 하산길을 잡는다.

산불감시초소가 있는 다음 봉우리(지형도상 월명산 표기봉)로 오르는 길이 있지만

 우측 폐사지인 월명사를 거쳐 임도를 탄다.

월명사에서 날머리인 하촌마을 차도까지는 콘크리트 포장도로다.

30분쯤 걸린다.





◆ 떠나기 전에

- 백마산 월명산 잇는 질매재 전설 흥미진진

산청 백마산과 월명산 사이의 안부사거리는 일명 '질매재'로 불리는 곳이다.

신작로가 뚫리기 오래전 중촌리 일대 주민들이 산청 장터를 오갔던 중요한 길목이기도 하다.

그런데 이 고개는 마치 도끼로 찍어 놓은 듯이 움푹 파인 지형을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전설 같은 이야기가 있어 흥미를 끈다.

임진왜란 당시 충무공의 백의종군길에 따라 나섰던 옥포 만호 이담 장군의 12대손이라고 밝힌

 중촌리 주민 이주상(67) 씨의 전언을 소개한다.

그는 "옛날에 일본인들이 조선 지도를 펼쳐놓고 조선의 기를 끊기 위해 붓으로 먹점을 찍었는데

 그곳이 바로 이 질매재라고 한다.

그로 인해 질매재는 도끼자국처럼 파였다고 선조들로부터 들었다"고 밝혔다.

일본인들이 점을 찍은 이유는 큰 인물이 많이 나올 지형이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흥미로운 이야기임에 분명하다.

들머리인 신안면 원지리에서 20번 국도를 타고 의령 방향으로 4㎞쯤 가면 만나는

 생비량면 도전리에는 '도전리 마애불상군(경남도 유형문화재 제209호)'이 있다.

야산 암벽에 키 20~40㎝가량의 작은 마애불상이 29개나 새겨져 있다.

 세련되지 않고 투박한 모습의 서민형 불상이다.

통일신라 말기 또는 고려시대 초기 작품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산행 후 둘러볼 만하다.





◆ 교통편

- 부산서부터미널서 8~20분 간격 버스 운행

산청군 신안면 원지까지는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아주 편하다.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에서 함양 또는 중산리행 시외버스를 탄다.

새벽 5시40분부터 오후 7시41분까지 8~20분 간격으로 운행 1시간50분 소요.

원지 정류장에 내리면 단성교 인근 들머리까지 3분만 걸으면 된다.

산행 후 중촌리 하촌마을에서 원지까지는 마을버스가 하루 4회 운행하는데 막차는 오후 6시40분에 있다.

버스 시간 맞추기가 애매하기 때문에 그냥 원지택시(055-972-7755)를 이용하는 편이 낫다.

자가용을 이용할 경우 대전통영고속도로 단성IC에서 내려 두 번째 삼거리에서 좌회전,

 20번 국도를 타고 단성교를 건너자마자 왼쪽에 적벽산 등산로 이정표가 보인다.

이정표 인근에 주차할 수 있다.


  • 글·사진=이승렬 기자 bungse@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양 ‘은신치~큰목재~수망령’  (0) 2018.07.21
    밀양 ‘옥교봉’  (0) 2018.07.17
    거창 ‘현성산(거무시)’  (0) 2018.07.06
    영동 ‘월류봉’   (0) 2018.07.03
    산청 ‘효렴봉’  (0) 2018.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