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그시절!~~~ 41

우리 땅 VS 저거들 땅 하야리아

하야리아 부대가 부산시로 반환되기 전까지 이 부대는 미군에 점령당한 우리나라 땅의 일부였다. 높은 담벼락과 그 위에 둘러쳐진 철조망은 반미운동의 목소리를 차단하는 방음벽과 같아 보였다. 미국과 관련이 많았던 한국의 정치적 사건 불균등한 한미 간 무역 분쟁 혹은 압력 미군들의 횡포로부터 국민이 희생당할 때면 부대 앞에서 양키 고 홈의 목소리가 들리던 곳이었다. 경찰이 하야리아 부대로 통하는 길을 차단하고 사람들이 접근하는 것조차 두렵게 만들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zu1WnDIeK4

‘하야리아’의 역사&시민공원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선언과 함께 전쟁에서 패한 일제가 퇴각하면 우리에게 돌아올 줄 알았던 땅이 또 다른 주인을 만나게 되었다. 일본군이 물러가면서 일본 주둔지에 대한 점령군의 자격으로 한국에 입성한 미군은 38선을 경계로 남한 지역의 군정을 실시하였다. 하야리아 부대 안팎에는 위락시설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경마 트랙이 설치되면서 중단되었던 경마 대회도 다시 재개 되었다. 1949년 가을 한국마사회가 추계경마대회를 열자 하야리아 부대의 장교 클럽은 임시 마권 발매소로 활용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P6lX9K1CYE

라떼, 노란 월급 봉투

컴퓨터와 전자기기가 없었던 당시는, 월급 계산을 주산과 수기(手記) 등으로 하였다중소 공장에서는 직원 수백 명의 월급 계산을 하는데 꼬박 일주일이 걸렸다고 한다 노란 월급봉투에다가 만 원짜리, 천 원짜리 지폐와 동전을 일일이 손으로 세어서 넣었다 어떤 직원은 봉투에서 만 원짜리 지폐 한 장을 몰래 빼낸 뒤 돈이 모자란다고 항의하는 일도 있었다고 한다https://www.youtube.com/watch?v=TX4GP7Injmc&t=4s

부경대 '워커하우스' 유래

북한 인민군은 6월 25일 새벽, 휴전선 전 지역과 동해안 11개소에서... 일제히 포문을 열고 남침을 개시했다.  전쟁으로, 부산지역 각 학교 교사는... 군용으로 징발되었다. 7월 20일 유엔군 참전으로, 부산 수산대도 제103 미군 야전 병원에... 학교 교사를 비워주어야만 했다.  이 때문에 학생들은, 대연동 캠퍼스가 아닌 영도에 지어진... 열악한 환경의 바라크라는 가교사에서 공부를 해야만 했다.https://www.youtube.com/watch?v=wkOUj48SpcE

‘신발’에 풀칠 VS ‘입’에 풀칠

그 시절 고무공장에서 신발 하나를 최종 완성하는데, 사람의 손이 모두 52차례나 들어갔다고 합니다. K 씨는 둘째 아이가 네 살 때 남편이 고혈압으로 세상을 떠나는 바람에 공장에서 운동화 갑피에 풀칠을 하는 일을 하였습니다접착제 냄새가 심하여 본드에 취하기도 하였답니다 그렇게 하여도 어려워지자, 공장 일을 마치고 나면 굴다리 옆의 떡공장에서 떡을 떼다가 머리에 이고 떡장사를 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Q7BgL5QZ5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