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하굿둑 열린다]…'정부 사실상 합의' 낙동강 하굿둑 열린다…정부 사실상 합의 반대하던 경남도 수문개방 찬성, 곧 3차 용역 착수…예산 20억 - 기수역 염분피해 대책 등 찾아야 - 환경단체 환영 “생태계 복원을” 정부 주요 부처가 부산 낙동강 하굿둑 개방에 합의했다. 수문 개방을 위한 3차 용역(염분 피해 측정)은 올가을 .. 환경 2017.08.01
디에스피 폐공장을 [문화공간]으로…사상공단에 제2 ‘F1963’ 문 연다 디에스피 폐공장을 [문화공간]으로…사상공단에 제2 ‘F1963’ 문 연다 부산시, 유휴공간 매입·임대…서부산권 전시·공연장 추진 - 스마트시티와 시너지 기대감 부산 수영구 망미동 옛 고려제강 공장의 새 이름은 ‘F1963’이다. 리노베이션을 통해 전시·공연이 열리는 복합예술공간으.. 과학·문화 2017.08.01
오늘부터 [기장 갯마을] 축제 오늘부터 기장갯마을 축제 30일까지 일광해수욕장서 기장군이 주최하는 제21회 기장갯마을축제가 28일부터 30일까지 부산 기장군 일광해수욕장에서 다채로운 문화예술 프로그램과 함께 열린다. 해마다 여름 피서철에 맞춰 여는 기장갯마을축제는 지역 주민과 전국에서 온 피서객이 어우.. 신나는 여행 2017.07.28
[고리3·4호기 격납고] 철판도 '두께 미달' 고리3·4호기 격납고 철판도 두께 미달 부식 안된 부분 기준치 이하…원안위, 각각 71·69곳 발견 - 시공 당시 부실 그라인드 추정 - 부식된 철판도 219곳 드러나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 3·4호기의 격납건물철판(라이너 플레이트·CLP) 일부분이 기준치 이하의 두께로 시공된 사실이 .. 환경 2017.07.28
5세기 초 [양산], '신라 영토'였나? '가야 땅'이었나? 5세기 초 [양산], '신라 영토'였나? '가야 땅'이었나? 450년 이후엔 신라 땅 확실시, 이전 기록은 없어 미스터리로 - 최근 가야유물 출토 잇따르며 - 실체놓고 역사학계 의견 분분 - 시, 당시 상황 규명 용역 나서 서기 5세기 중엽 이전 경남 양산은 신라 땅이었을까, 아니면 가야 영역이었을까. .. 교육 2017.07.28
1476억 들인 [화명고가] '3년째' 방치 1476억 들인 [화명고가] '3년째' 방치 산성터널 내년 개통 일정 무시…부산시, 국비 반납 피하려 주민요구 묵살하며 먼저 완공 - 9년 공사에 인근 상권 타격 - 소음·분진에 폐업·이전 속출 부산 북구 화명대교와 산성터널을 연결하는 화명고가도로가 대표적인 행정 실패 사례로 비판받고 .. 경제 2017.07.28
옛 [해운대역] 일대 '공원화' 물 건너가나 옛 [해운대역] 일대 '공원화' 물 건너가나 철도시설공단 내달 개발설명회…정거장 부지 민간사업자 공모 - 역사는 보존하지만 상징성 퇴색 - 부산시·구청 안일한 대처 지적 한국철도시설공단이 부산 해운대구 옛 해운대역 뒤편 정거장 터를 상업 개발하려 해 논란이 거세다. ‘동해남부.. 생활 2017.07.28
부산 ‘장산~산성산’ 부산 '장산~산성산' 산에서 바다 보며 걷는 이 기분!해운대 우동서 출발, 걷는 시간만 5시간20분장산에서 바라보는 해운대·광안대교 일품도중 만나는 군부대는 장산 산행의 걸림돌기장군, 산성산 수령산 이정표 통일해야산성산에서 보는 광활한 동해바다 황홀 이번 주 산행지는 '부산의 .. 山 2017.07.28
[지리산]서 두번이나 [김천]까지 간 반달곰…포획 ‘갑론을박’ 지리산서 두번이나 김천까지 간 반달곰…포획 ‘갑론을박’ 구례 방사훈련장서 줄행랑, 생태통로 등 이용 90㎞ 이동…남원·함양 거쳐 수도산으로 - 지난달 탈출 경로와 일치 - 국립공원관리공단 추적중 - “올무 피해 우려 포획 불가피” - 환경단체 “자유롭게 놔둬야” 지리산에 방사.. 환경 2017.07.25
올 가을 [가볼 만한] '억새' 산행지 올 가을[가볼 만한] '억새' 산행지 광활한 평원의 가을 파도 억새 품에 한번 안겨볼까 이름에서 연상되는 투박함과 달리 억새는 역광에 반사되면 찬란한 금빛 억새로 뽐내고 석양에 비치면 수줍은 듯 홍조를 띠다 달빛에 젖으면 푸근한 솜털로 옷을 갈아 입는 변신의 귀재다. 사진은 화왕.. 山 2017.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