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 숨쉬는 부산바다 <2> 기장군 대변
해를 품을 수 있는 깨끗함, 명품 기장 미역의 비결
바닷속에서 올려다본 미역 양식장의 모습이다. 햇빛의 들고 남에 따라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다양한 색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다. |
- 깨끗한 수질·적정한 수온, 조류 상하운동으로 영양염류 풍부
- 찰지고 담백한 특징 만들어줘
- 지난해 수온 상승으로 대량 폐사…원인 밝혀내야 하는 과제 남아
3월 중순. 기장군 대변 앞바다에서는 막바지 미역 수확이 한창이다. 수온이 올라가는 4월 이후부터는 미역이 성장을 멈추기에 어민들은 겨울동안 자란 미역을 수확하고 마지막 종묘를 붙이느라 새벽부터 밤까지 바다에 머문다. 어민들의 노력, 행정기관의 지원, 시민들의 관심이 모아져 이제 기장 미역은 부산을 대표하는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
■ 명품 기장미역의 탄생
수확해온 미역은 아낙의 손에 의해 장만되어 건조대로 이동한다. |
바닷 속으로 들어가자 밧줄에 뿌리를 붙인 미역들이 물구나무를 선 듯 아래로 쭉쭉 뻗어있다. 순간 기장 바다의 강한 조류가 몸을 휘감아 온다. 미역에 몸이 얽히지 않게 수심 3m 정도로 내려간 후 조류에 몸을 맡기니 무빙 워크를 탄 듯 움직임이 자유롭다. 조류에 흘러가며 올려다보는 양식장은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색의 향연을 펼쳐보였다. 햇살의 들고 남에 따라 미역은 노랑에서 갈색으로 다시 검은색으로 변해갔다. 빽빽한 미역 틈새를 비집고 들어오는 아침 햇살은 아름답다 못해 눈이 부실 지경이었다. 부유물로 오염된 바다는 햇살을 품을 수 없기에 물속에서 햇살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는 건 그만큼 물이 깨끗하다는 방증이다.
어민들이 수확에 앞서 미역의 성장 정도를 확인하고 있다. |
■ 너무나 친숙한 미역
수확해온 미역을 건조대에서 말리고 있다. 이렇게 3일 정도 자연상태에서 말린 후 건조기를 통해 남아 있는 수분을 빼고나면 건미역이 탄생한다. |
예로부터 산모는 미역국을 먹어왔다. 산모는 임신과 출산을 거치면서 갑상선 호르몬의 상당량을 태아에게 주기 때문에 몸이 붓게 된다. 붓기를 막기 위해서는 갑상선 호르몬에 속하는 방향족 아미노산인 티록신이 필요한데, 티록신은 요오드가 있어야만 생성된다. 미역은 요오드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몸속의 굳은 혈액을 풀어주고 몸이 붓는 것을 방지해준다. 그런데 이러한 성분 분석은 현대 과학을 통해 규명된 것일 뿐, 산모에게 미역을 먹인 역사는 상당히 오래전부터의 일이었으니 선조들의 혜안에 머리가 숙여질 뿐이다.
또 요오드는 2011년 3월11일 있었던 일본 후쿠시마 원자로 폭발 사고로 관심이 모아지기도 했다. 유출된 방사성 물질에는 방사성 요오드도 포함되는데 인체의 갑상선은 자연산 요오드 뿐 아니라 방사성 요오드까지 가리지 않고 흡수한다. 방사성 요오드가 흡수될 경우 방사능을 지속적으로 내뿜어 세포를 파괴한다. 방사성 요오드의 흡수를 막는 방법은 방사능을 띠지 않은 일반 요오드를 미리 섭취하는 것뿐이다. 갑상선이 요오드를 충분히 흡수하고 나면 방사성 요오드가 인체에 들어오더라도 몸 밖으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충분한 양의 요오드를 미리 먹어두자는 것이 요오드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 미역 등 해조류에 쏠린 관심이었다. 그런데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지나치면 해가 된다. 요오드를 과잉섭취해도 갑상선 호르몬 합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요오드 하루 섭취 권장량 0.15㎎ / 하루 섭취 상한량 3㎎ / 건미역 1g 당 요오드 함량 0.11㎎) 이외에도 미역에는 비타민과 알긴산, 식물성 섬유질이 많이 들어 있어 피부를 곱게 하며 대장 운동을 도와 변비를 개선해준다. 최근에는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막아 동맥 경화증을 예방해주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웰빙 식품으로까지 각광 받고 있다.
■ 폐사 원인규명이 필요해
한 어민이 양식장 밧줄에 이식할 미역 종묘를 다듬고 있다. |
대변 해조류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김영태(57세) 씨는 20년 동안 미역양식을 했지만 올해 같은 경우는 없었다며 자신의 수첩에 기록된 조업일지를 보여주었다. 일지에는 미역의 생육상태와 바람방향, 조석 시간 등이 꼼꼼히 적혀있는데 주목할 점은 10월말부터 11월 중순까지 무려 19일 동안이나 북동풍이 불었다는 기록이다.
박수현 기자 |
공동기획 : 국제신문, 국토해양부 영남씨그랜트, 국립 한국해양대학교
대변항 곳곳에 마련된 건조대에서 미역들이 말려지고 있다. |
양식장 밧줄에 이식될 미역 종묘들이다. 이식 작업은 종묘가 붙은 실을 양식장 밧줄에 감아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이른 새벽 바다로 나간 어민들이 배에 불을 밝힌 채 미역을 수확하고 있다. |
'부산 이바구 [바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살아 숨쉬는 [부산바다] <3> 영도 절영해안 산책로<조간대> (0) | 2013.03.09 |
---|---|
<꽁치>!~가을에 제맛, 칼 모양 닮아 秋刀魚 (0) | 2013.03.02 |
<고등어>!~등 푸른 생선의 대표 주자 (0) | 2013.02.23 |
살아 숨쉬는 [부산바다] <1> 백운포 (0) | 2013.02.23 |
<망둑어>!~극한대 제외 지구상 모든 곳에 서식 (0) | 2013.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