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도 '매봉~연대봉~국수봉'
기암에 계곡·그늘까지… 맛깔스런 섬 산행
수려한 절벽과 파도소리…
햇볕 가려줄 공간도 넉넉
맑은 날 대마도가 한눈에
국수봉 군작전로 유의를
옛 해안초소에서 바라본 가덕도 기암절벽. |
영도의 1.6배로 부산서 가장 크지만 지난 1989년에야
부산시로 편입된 막내섬 가덕도. 임진왜란 등 전시엔 해상요충지로,
지지난해 태풍 매미땐 큰 피해로 약간의 관심을 끌었을 뿐
평소엔 언제 그랬냐는 듯 늘 '찬밥'신세를 면치 못했다.
섬이 거의 산으로 이뤄져 활용가치를 못느낀 때문이었을까.
덕분에 신라때부터 거의 축구공처럼
지금의 김해 진해 창원 마산 등 인근 지자체로 소속이 바뀌는
유랑의 아픔을 겪었다.
시계를 화살같이 앞당겨 2005년 가을.
가덕도는 서부산권 개발의 핵심으로 떠올라 부산시의 이목을 받고 있다. 귀하신 몸이 된 것이다.
부산신항과 부산~거제를 잇는 거가대교 등
대역사(大役事)의 중심에 서 있다.
상전벽해(桑田碧海)란 말을 들이대도 전혀 어색하지 않을 정도다.
하나 가덕도 주민들의 표정은 떨떠름하기만 하다.
허울좋은 대역사에 삶의 터전을 깡그리 내주고
정작 주민들은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신항 남측컨테이너부두는 어민들의 생업을 앗아갔고, 섬 일주도로
계획도 없이 부산과 섬을 잇는 도선을 없앤다고 한다.
투기자본이 몰려 70% 이상의 토지가 외지인의 소유가 된 지 오래다.
국책사업이라는 명분에 순응하면서도 그들의 마음 한 구석엔
'불편해도 맘 편히 살던 이전이 그립다'는 향수가 느껴지는 것은 왜일까.
그래서 가덕도와 가덕도 주민들, 그리고 해맑게 가덕도를 찾은 기자
모두가 혼돈스럽다는 것이다.
그간 산행팀이 소개한 가덕도 산길은
▲천성~연대봉~선창 ▲눌차~강금봉~응봉산~매봉~웅주봉~선창
▲천성~대항고개~연대봉~대항새바지~대항 코스.
이번 주는 가덕도 산행의 대미를 장식하는 매봉~연대봉~국수봉 코스. 파도소리에 취하고
기암절벽에 놀라는 그런 길이다.
산행은 두문선착장~두문고개(천성공동묘지)~영주암~천성(가덕)고개(국군23용사 충혼비)~임도~매봉(359m·산불초소)~어음포곡(산불초소)~연대봉(459m)~어음포곡~계곡수~옛 집터~연대봉 갈림길~옛 해안초소~대항새바지~전봇대(배수펌프 가건물)~동백나무 군락지~군부대 통행시간 제한 경고판~무명봉(군진지 참호)~국수봉(269m)~군벙커~개사육장~외항포할매집(슈퍼) 순.
순수 걷는 시간은 6시간10분 안팎.
길찾기는 대체로 평이하나 일부 구간이 까다로워 국제신문 노란 리본을 반드시 참조하자.
일반적인 섬 산행길과 달리 이번 코스는 계곡과 그늘이 있어 햇볕이 약간 따가워도 가능하다.
두문선착장에서 하선한 후 왼쪽으로 100m쯤 가면 길 오른쪽에 '두문길' 이정표.
국군충혼비 방향인 오른쪽으로 오른다.
15분 뒤 천성공동묘지가 위치한 두문고개.
아름드리 소나무를 따라 가면 영주암을 지나고 여기서 14분 뒤
천성예비군 교장이 보이는 천성(가덕)고개에 닿는다.
한국전쟁때 산화한 젊은 넋을 모신 '국군23용사 충혼비' 오른쪽으로 간다.
충혼비 우측으로 강금봉, 암봉인 응봉산이, 좌측엔 갈마봉이 보인다.
연대봉 정상에서. 정면에 보이는 봉우리는 군부대가 있는 국수봉, 왼쪽 마을이 대항새바지, 고개넘어 오르쪽 마을은 대항마을이다. |
이제 본격 산길.
하지만 가시밭길이라 꽤 힘겹다.
20분이면 무명봉을 살짝 넘어 임도에 닿는다.
바로 길을 건너 산으로 오른다.
경사가 심하지 않은데다 주변에 아름드리 소나무가 눈길을 붙잡는다.
14분 후 매봉 정상. 초소가 없다면 정상인지 모르고 지나칠 정도로 조망도, 특징도 없다.
직진하면 응봉산 강금봉, 오른쪽 연대봉 방향으로 간다.
15분 뒤 안부인 어음포곡. 초소와 연대봉 등산안내도가 서 있다.
잠시 다녀오자.
35분 걸린다.
정상석보다 왜구의 침입을 감시하던 봉수대가 눈길을 끈다.
원래 봉수대는 정상 옆 일명 낙타봉이라는 암봉에 설치돼 있었다고 한다.
잠시 주변을 살펴보자.
발아래 벌겋게 흙이 드러난 봉우리가 최근 거가대교 휴게소 설치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는 천수말, 그 옆이
천성마을이고, 거제도쪽 섬 중 4번째가 대통령별장이 있는 저도.
방향을 왼쪽으로 틀어 낙타봉 왼쪽으로 녹산산단 진우도 몰운대 태종대가, 날이 맑을 땐
낙타봉 오른쪽으로 대마도도 보인다.
하산은 낙타봉 옆으로 난 길을 통해 대항새바지로 가는 길과 낙타봉 우측 천성방향으로 열린 두 가지가 있지만
두 길 모두 이미 소개한 터라 어음포곡으로 다시 간다.
연대봉 등산안내도 뒤로 난 길로 간다.
원시림을 방불케하는 처녀길이다.
15분 뒤 계곡을 만나면 계속 따라 내려간다.
10여분 뒤 갈림길.
오른쪽으로 내려서면 옛 집터.
그 옆에는 다시 계곡.
계곡쪽에서 보면 집터 흔적인 석축이 확인된다.
간이 톱으로 잡풀을 베고 있는 가덕 진영해운 대표 김태복씨. |
곧 갈림길.
계곡길을 버리고 오른쪽 산길로 간다.
연대봉 3~4부 능선으로 이어지는 이 길은 해안가를 돌아
대항새바지로 연결된다.
하지만 가시덤불이 풀숲에 가린 돌길이라 고생깨나 해야 한다.
대신 길 왼쪽에서 들려오는 파도소리는 발걸음을 가볍게 한다.
갈림길에서 50분 뒤 다시 갈림길을 만난다.
연대봉 옆 낙타봉을 거쳐 하산하는 길이니 참고하길.
이곳에서 50m 뒤 다시 갈림길.
해안가를 끼고 걷는 왼쪽 길로 간다.
6분 뒤 폐쇄된 해안초소.
입구엔 아직 철조망과 순찰함이 그대로 남아있다.
잠시 해안가로 내려가 해안절벽의 절묘함과 망망대해의 광활함을 느껴보자.
초소에서 대항새바지까지는 10분.
마을을 통과, 3분 뒤 배수펌프 가건물이 아래에 있는 전봇대 옆으로 난 산길로 향한다.
국수봉 가는 길이다.
국수봉에는 군 부대가 있어 산행팀이 안내하는 길 이외로 이탈하면 군인들에 의해 제지를 당하므로 유의하자.
동백나무 숲과 군부대 통행시간 제한 경고판을 잇따라 지나면 오르막 산길.
25분 뒤 왼쪽으로 90도 꺾는 지점에서 오른쪽 능선을 타고 오른다.
산길의 흔적이 없기에 유의하길.
왼쪽길은 해안초소길로 출입통제지역이다.
30분 뒤 일본군이 파놓은 참호가 있는 무명봉. 전망은 없다.
여기서 왼쪽으로 10분 뒤면 국수봉 상봉.
역시 참호가 있고 전망은 없다.
하산은 오른쪽길. 안부로 내려섰다 다시 오르면 군벙커. 통로를 따라 통과한 후 50m쯤 가면 갈림길.
왼쪽으로 간다.
이 길만 찾으면 산행은 사실상 끝.
지그재그길을 따라 내려서면 외항포마을 직전 개사육장.
곧 외항포할매집(슈퍼).
선착장은 바로 이웃해 있다.
# 떠나기전에
#가덕도 김태복씨 산 사랑 유별
해안가엔 동굴·참호 일제 잔재
이번 산행에는 부산 용원산악회 김태복(50·011-867-6972)씨가 동행했다.
그는 가덕도를 오가는 도선 운영사인 가덕 진영해운의 사장이다.
가덕도에서 태어나 15살까지 그곳에서 자란데다 지독한 산꾼이기도 해, 단언컨대 가덕도 산에 관한한
가장 정통하다.
지금까지 소개된 가덕도 산길 대부분도 모두 그가 개척했고 동시에 산행팀과 동행했다.
이 때문에 부산의 내로라하는 산꾼들도 가덕도 산행에 앞서
그에게 산길 문의전화를 하는 것이 보편화돼 있을 정도다.
이번 산행은 예기치 않게 웃자란 가시덤불과 잡풀로 인해 예상보다 길었고 힘들었다. 참다 못한 그가 비상용 간이 톱으로 가지를 베는 등 일일이 길을 뚫으면서 나아갔다.
지독히 산을 사랑하는 한 산꾼의 숨은 노력이 많은 동료 산꾼들의 한걸음을 한결 가볍게 한다는 사실에
산꾼의 한 사람으로서 고마움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다.
참고 하나.
그는 매일 오전 6시면 선착장에 출근, 오전에는 선착장에 거의 머물고 오후부터 대외업무를 본다.
초보자일 경우 가덕도 산길 문의는 배 출발시간보다 조금 일찍 도착해 그에게 물어보면 해결된다.
"이번 코스는 가덕도에서 드물게 그늘과 계곡을 만납니다.
더울 땐 흔히 섬산행을 기피하지만 이번 코스로 섬산행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지요."
그가 본 이번 코스의 간략한 설명이다.
대항새바지마을 옆 해안가에는 일제가 만든 동굴이 있다.
진지와 관측소로 이용된 흔적이다.
날머리인 외항포도 마찬가지. 외항포 뒷산인 국수봉에 참호와 벙커 포대진지가 남아있는 것도 모두
이런 맥락에서 보면 된다.
추정컨대 일제는 결국 외항포마을로 가는 지그재그 하산길로 올라 국수봉에 진지를 구축한 것으로 보인다.
# 교통편
#녹산서 2시간마다 두문마을행 배
가덕도에 가기 위해서는 승용차나 대중교통편을 이용.
지하철 1호선 하단역 5번 출구로 나와 58-1번 버스를 탄 후 녹산선착장 앞에서 내린다.
58-1번 버스는 남포동 남포문고~대신동~대티터널~하단 지하철역 등에 정차한다.
승용차를 갖고 가도 된다.
선착장 앞에 너른 무료 주차장이 있기 때문이다.
글·사진 = 이흥곤기자 hung@
'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례 '지리산' 만복대 (0) | 2015.07.18 |
---|---|
밀양 '억산' (0) | 2015.07.15 |
밀양 '정각산~영산' (0) | 2015.07.08 |
창녕 '영취산~병봉~종암산' (0) | 2015.07.04 |
부산 '윤산(구월산)' (0) | 2015.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