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

[노인이 웃는 도시 부산] '노인돌봄' 이렇게

금산금산 2015. 9. 18. 19:01

'노인돌봄' 이렇게

 

 

 

 

노인돌봄, 노인은 보호의 대상 아니라 서비스 이용의 주체

 

 

 

 

▲ 평화노인건강센터의 주·야간보호센터 이용 노인들이 노래교실에서 노래를 따라부르는 모습. 김병집 기자 bjk@

 

 

 

부산 사하구 괴정동 평화노인건강센터 6층 주·야간보호센터.

자원봉사자들이 노래교실에서 밀양아리랑을 흥겹게 부르자 노인들이 박수를 치며 좋아한다.

노인들은 주·야간보호센터 이용자들로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을 받지 못한 기초생활수급자들이다.

이들은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이곳을 이용한다.

주·야간보호센터는 마트 방문, 간식 만들기, 웃음 치료, 건강 체조 등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노인들은 센터가 제공하는 차량을 이용해 센터를 오간다.

김 모(79) 할머니도 이곳을 1년 넘게 이용하고 있다.

 

 


 
익숙한 장소·공동체 생활 선호
집 가까운 곳 이용 가능케 하고
노인장기요양제도 개선
등급외 판정 노인 관심도 절실

재가서비스 활성화 위해
고령친화산업 뒷받침 나서고
통합지원센터 구축 서둘러야

 


"매일 오면 사람도 사귀고 재미있는 것도 배우고 좋아. 집에만 혼자 있으면 우울증에 걸렸을 거야."

주·야간보호센터는 노인이 좋아하는 녹색으로 인테리어를 했다.

쉼터, 침대, 조리실, 목욕시설 등을 갖춰 주거환경과 비슷하다.


"어르신들이 센터를 집처럼 편안하게 생각하세요."

평화노인건강센터 주연숙 원장의 얘기다.

사회복지법인 평화원은 재가노인지원 서비스센터, 주·야간보호센터, 노인건강센터, 노인요양원, 양로원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노인들은 건강 상태와 욕구에 따라 돌봄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 노인은 익숙한 장소 선호

이처럼 노인은 익숙한 장소나 공동체에 남아서 생활하기를 좋아한다.

자기 집에서 사는 것을 가장 선호한다.


하지만 노인은 노화가 진행될수록 더 많은 돌봄(care)을 필요로 한다.

돌봄 관련 시설은 노인복지법상으로 재가노인복지시설(방문요양서비스, 주·야간보호서비스, 단기보호서비스,

방문목욕서비스)과 노인의료복지시설(노인요양시설,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 노인전문병원)로 구분된다.


장기요양보호가 필요한 노인의 경우 집에서 목욕, 식사 등 재가서비스를 우선 받게 된다.

이후 집에서 출퇴근하며 주·야간보호센터 서비스를 받는다.

다음 단계는 간편한 돌봄을 받고 공동생활을 하는 노인요양공동생활가정이다.

노인의 상태가 더 악화하면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게 되고 마지막 단계에서 병원을 이용하게 된다.


경성대 사회복지학과 김수영 교수는 "보호의 연속성(continuum of care) 관점에서 보면 노인들이 돌봄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을 최대한 넓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 돌봄 사각지대 발생 이유는

보호의 연속성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주·야간보호서비스나 노인요양시설을 먼저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하지만 장기요양보험제도의 수급자에서 탈락할 경우에는 요양병원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이처럼 중간 시설이 아닌 병원으로 가는 이유는 장기요양보험제도의 등급 인정을 받는 선정기준이

엄격하기 때문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을 받지 못한 노인들이 돌봄 서비스 사각지대에 놓이게 되는 셈이다.

이 노인들이 지역사회나 가족으로부터 돌봄 서비스를 받지 못하면 요양병원에 들어간다.


부산시는 돌봄 시각지대에 놓인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외 판정을 받은 저소득층 노인을 위해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 46곳과 주·야간보호센터 4곳을 운영 중이다.

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는 16개 구·군에 골고루 있는 편이다.


반면 부산시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주·야간보호센터는

애광(금정구), 장선실버벨(북구), 인창(동구), 평화원(사하구) 등 4곳에 불과하다.

등급외 판정을 받은 노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주·야간보호센터 확충이 필요하다.


병원에 노인을 모실 경우 치료를 한다고 생각하는 반면

시설에 모시면 죄책감을 느끼는 점도 요양시설보다 병원을 선호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부산복지개발원 이재정 박사는 "급성질환을 앓는 노인은 당연히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하지만, 만성질환을 지닌 노인은 병원보다는 환경이 좋은 시설에서 내 집처럼 편안하게 생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평화노인요양원의 노인들이 인지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장면. 김병집 기자 bjk@

 

 

부산복지개발원은 2011년부터 노인요양시설에 대해 '노인 장기요양기관 인증제'를 운영하고 있다.

시설의 급식, 위생, 안전, 인권 실태를 점검해 인증마크를 부여하고 있다.

2011년 5개소, 2012년 9개소, 2013년 11개소, 2014년 11개소를 인증했다.

이 기관들은 믿을 수 있는 요양시설이라는 점이다.

 

 



■ 돌봄 개선 어떻게

전문가들은 노인이 인간답게 돌봄을 받아야 하고 돌봄의 선택권이 많아져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노인을 보호의 대상이 아니라 노후의 삶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선택권을 가진 서비스 이용의 주체로

인식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노인이 건강 상태, 질병, 경제수준, 가족 상황 등에 따라 다양한 욕구를 가질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생활 지원과 요양 욕구를 통합 지원하는 방식이 중요하다.


이재정 박사는 "돈이 없는 노인들은 국가나 자녀가 보내주는 대로 갈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특히 장기요양등급에 따라 서비스가 달라지는 공급자 중심의 노인 돌봄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수영 교수는 "노인들이 재가서비스를 편하게 받을 수 있도록 화장실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휠체어,

노인 전용 의복을 공급하는 고령친화산업 발달도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인통합지원센터(가칭)를 설립해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사각지대 원인 규명과 해소,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

장기요양보험제도와 지방자치단체가 운영 관리하는 지역사회 노인보건복지서비스와의 연계 강화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달식·김상훈 기자 neato@


※ 이 기사는 부산시 지역신문발전지원 사업의 지원을 받아 취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