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이바구

북항~신공항 '지하도로'로 잇는다

금산금산 2016. 2. 24. 21:47

북항~신공항 지하도로로 잇는다




부산시, 북항 그랜드 마스터플랜 발표






▲ 부산항 전체 재개발 조감도





가덕 신공항에서 부산역까지 곧바로 이어지는 새로운 도로가 만들어지고

부산역부전역을 오가는 KTX 구간 철로가 전면 지하화된다.  
 
부산시는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부산 북항 그랜드 마스터플랜을 23일 발표하고

이날 곧바로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 등 관계 기관과 마스터플랜 내용에 대한 협의회를 개최했다.

'유라시아 출발도시, 부산!'을 비전으로 하는 이 마스터플랜은

가덕 신공항을 기반으로 부산역과 신공항을 연계하는 관문기능을 극대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해 마스터플랜은 신공항과 북항을 잇는 생곡동~엄궁동~초량동 간 도로 건설 방안을 제시했다.



 
북항 그랜드 마스터플랜 발표  
부산역~부전역 철로 지하화 



시는 우선 생곡동에서 엄궁동까지 6.5㎞ 구간은 엄궁대교를 신설해 연결할 방침이다.

엄궁동에서 초량동까지 8.1㎞ 구간은 지하터널을 뚫는 대심도 도로 개발 방식으로 연결된다.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으로 조만간 공사에 들어갈 센텀~만덕 구간 대심도 도로에 이어

부산 도심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제2 대심도 도로 개발 방안을 추진하겠다는 뜻이다. 



북항 재개발 1단계 사업 추진 때부터 꾸준히 지적돼 온 접근성 문제에 대해 마스터플랜은

부산역과 부전역 사이 KTX 철로 구간의 지하화 방안을 제시했다.

현재 북항 재개발지에 접근할 수 있는 방안으로 보행덱 건설 등이 추진되고 있지만

부산시는 보행덱만으로는 접근성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북항뿐만 아니라 자성대부두를 비롯한 부산항 전체의 재개발을 고려할 때

부산역에서 부전역 구간 철로를 전면 지하화해야 한다는 시의 구상이 이번 마스터플랜에 반영됐다.




이외에 마스터플랜은 컨테이너로 상징되는 부산항대교 안쪽 부산항의 항만물류 기능을 없애고

문화·관광·상업 기능과 해양플랜트·연구개발(R&D) 기능 등을 새롭게 부여하는 방안이 포함됐다.


이상윤·이자영 기자 nurumi@







[북항 그랜드 마스터플랜 발표]




영도 일원은 문화·관광, 우암·감만은 해양 플랜트 기지로









부산항 북항 일대를 포함한 원도심 발전을 위한 큰 그림이 나왔다.

부산항 개항 140주년을 맞이해 '유라시아 출발도시 부산'의 미래 30년 청사진을 최초로 제시한 것이다.
 
부산시는 23일 오전 김규옥 부산시 경제부시장이 주재한 '제4차 명품 북항 창조협의회'에서

'북항 그랜드 마스터플랜'의 중간보고안을 제시했다.

지난 해 4월 '북항 그랜드 마스터플랜' 용역을 시작한 부산시는 오는 6월 마무리를 목표로 시민,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최종안을 만든다는 방침이다.

마스터플랜은 북항지역을 3개 기능 중심축으로 나눠 개발 방향을 제시했다. 



 
국제교류 도시축 
북항재개발1·2단계~동천  
마이스·관광 기능 집적시켜  

창조경제 중심축  
동삼혁신~우암·감만부두  
해양산업 복합용지로 개발  

게이트웨이 연계축  
부산항~부산역~신공항  
유라시아 출발도시로 '우뚝'
 




■ 국제교류 도시축 

부산시는 북항재개발 1단계 지역과 2단계 자성대부두를 아우르는 지역을 '국제교류 도시축'으로 설정했다.

이곳에 해양 비즈니스, 마이스(MICE·회의 포상관광 컨벤션 전시), 관광 기능을 집적해 글로벌 도시로서의 이미지를 갖춘다는 구상이다.

여기에 동천 재생 프로젝트까지 더해 해양·친수관광 여건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김규옥 부산시 경제부시장은 "55보급창의 경우 이전을 위해서는 신항 대체부지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현재는 이곳이 공원 부지이지만, 앞으로 도심기능 회복과 산업 배후공간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영도구 한진중공업 인근 지역은 '영도 베이타운'으로 개발된다.

장기적으로 근대 항구도시의 역사성을 살린 프롬나드와 마리나 같은 문화·관광시설, 수변 상업·배후 업무시설로 활용이 가능할 전망이다. 




■ 창조경제 중심축 




영도구 동삼혁신도시부터 우암·감만부두를 잇는 지역은 '창조경제 중심축'으로 잡았다.

이곳을 해양 관련 제조·연구개발(R&D) 등 융·복합 산업을 통한 '해양 신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해양 R&D지구'인 동삼혁신도시의 경우 이미 해양 관련 연구 기관과 인력 양성 기관 등이 모여있다.

앞으로 우암·감만부두와 8부두 등은 해양플랜트 모듈단지, 요트, 해양산업 지원 기능을 중심으로 한 복합용지로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부산시가 그동안 추진해 온'해양산업클러스터법'(옛 해양경제특별구역법)이 통과되면 기존 항만을

해양 관련 고부가가치 산업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시킨다는 목표다.

신선대부두는 장기적으로 고부가 조선 등 해양관련 산업과 복합용지 수요에 대비해 개발할 방침이다. 




■ 게이트웨이 연계축 

북항 일원 원도심과 부산항, 부산역, 신공항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기반시설 확충 계획도 내놓았다.

'게이트웨이 연계축' 구상이다.

부산지역 철도시설 재배치, 부산역 철도 지하화, 신공항과 북항을 잇는 도로 건설까지가 여기에 포함된다. 

철도시설 재배치는 지난 해 '부산역 일원 종합개발 마스터플랜'을 수립한 데 이어 다음 달 '기본계획 및 기본설계 용역'에 착수한다.

앞으로 부산역이 KTX 전용역으로 바뀌고, 부산역 일반열차 시설과 조차시설이 부전역으로 이전함에 따라

부산의 숙원이었던 '부산역 철도 지하화'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부산역~부전역 간 약 5.7㎞ 구간의 철도시설을 지하화 하면, 상부 공간은 공원을 비롯한 도심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부산시는 이곳을 유라시아 기·종점으로 만들어 스토리텔링과 함께

랜드마크 조형물 설치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 기존 도심과 차별화가 관건 






이번 부산시의 마스터플랜 발표에 대한 평가는 긍정적이다.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가 추진 중인 북항재개발사업에 부산시의 입장을 담기 위해

주변 원도심을 포함한 도시 개발 방향을 제시한 것은 의미 있는 시도라는 평가다. 



그러나 계획이 '장밋빛 청사진'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의 한 도시계획 전문가는 "신공항과 북항을 잇는 게이트웨이는 신공항부터 유치해야 성사될 수 있다""일단 큰 그림이 중요하다 해도 부산시의 전략과 예산 확보 방안이 미흡하다면 소용이 없는 것 아니냐"

말했다.



막대한 비용 역시 숙제다.

마스터플랜 중 중·단기 7개 사업에 드는 예산만 3조 5천억 원, 장기 사업까지 포함하면

전체 사업비는 총 20조 원에 달할 것이라는 게 부산시의 추산이다.



한 건축 전문가는 "땅 나누기식 토지 이용 구상보다는 기존 도심과 연계한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지적했다.

그는 "센텀시티, 서부산, 문현금융단지와 차별화 되는 입지적 특성을 살린 용도 계획이 필요하다"

"상업·업무·금융·비즈니스 등 기존 기능들이 중복돼 있는 점을 앞으로 어떻게 보완하고 차별화시킬 것인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상윤·이자영 기자 2young@







[사업비 얼마나 드나] 중·단기 7개 사업에 총 3조 5천억 원







부산 북항 그랜드 마스터플랜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도대체 얼마의 사업비가 필요할까.
 
부산시가 발표한 마스터플랜은 모두 20개의 대형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이 가운데 시는 최대 30년이 걸릴 것으로 보고 장기사업으로 분류한 사업을 제외하고

모두 7개의 단기·중기 사업에 대해 사업비 추계를 냈다.

시가 단기·중기사업으로 분류한 7개의 사업은 크게 기반시설 구축사업과 개발사업으로 양분된다. 
 


기반시설 구축사업은 △북항 재개발지역 배후도로 지하차도 △동천재생 프로젝트 △부산지역 철도시설 재배치 △신공항~북항 도로 개설 등 4개가 포함된다.

개발사업은 △자성대 해양비즈니스단지 △북항·초량 복합단지 △우암 해양신산업단지 등 3개로 이뤄져 있다.

이들 7개 사업을 대상으로 부산시가 사업비 추계를 낸 결과 총 사업비는 3조 5천억 원에 이른다.

기반시설 구축사업에 약 2조 5천억 원이, 개발사업에 약 1조 원이 들 것이라는 분석이다.

가장 사업비가 많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는 사업은 신공항~북항 도로 개설 사업이다.

시는 이 사업에만 모두 1조 2천200여 억원이 들 것이라고 추산했다.

다음으로는 부산지역 철도시설 재배치와 북항·초량 복합단지가 각각 6천500여억 원, 6천여억 원의 사업비가 들 것으로 추산됐다.

이상윤·이자 기자 nuru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