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부전천] '2층식 하천복원' 사업 중단

금산금산 2017. 11. 14. 21:25

부산 [부전천] '2층식 하천복원' 사업 중단



환경부 "주민 의견 수렴하라" 통보

부산시 내년 의견수렴해 재추진








국내 최초로 도입하는 부산 부전천의 2층식 하천 복원사업이 올스톱 상태에 놓였다.



부산시는 13일 환경부와의 부전천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국비 지원을 위한 기술 협의를 한 결과,

 주민 및 시민단체의 의견을 수렴하라고 통보받았다고 밝혔다.

시는 현재 부전천 750m 전 구간에 2층식 하천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복원하는 방안을 내놓고

 올 연말을 목표로 실시설계를 진행 중이다.

이에 따라 올 연말 하천 복원공사를 발주하고 내년 4,5월께 착공하려는 시의 계획은 중단됐다.






   

부전천 생태하천 복원 조감도. 국제신문DB






앞서 지난 8월 환경부가 2층식 하천 복원방식에 대해

 수질 개선과 수생태계 복원에 관한 계획이 부족하다며 재검토를 통보했다.

이후 시는 ▷어도 확보 ▷도심열섬현상 완화 대책 ▷LID(저영향개발기법·우수가 오면 바로 지층으로 스며들게

 하는 기법) 등의 내용으로 보완해 기술 협의를 해왔다.

하지만 환경부의 재통보로 손을 놓아야 한다는 처지다.



이에 시는 일단 환경부의 요청대로 연내에 공청회 개최를 시작으로

 주민과 시민단체를 대상으로 의견을 수렴하겠다는 입장이다.

일단 확보해놓은 국비 73억 원도 내년으로 이월해 집행하겠다는 방침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까지 시민과 환경단체의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를 계속 진행하는 한편

 부전천이 대도시 중심에 위치한 특수성이 있는 만큼 새로운 방식의 하천 복원이 가능하도록

 환경부에 관련 규정 변경을 요청하는 방안도 추진할 방침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시민단체 및 전문가들은 시가 충분한 법리적인 검토 없이

 2층식 하천 복원방식을 밀어붙이면서 이 같은 상황을 자초했다고 지적한다.

이준경 생명그물 실장은 “2층식 하천 복원 방식은 도로 다이어트 개념으로 생태하천 복원 사업이 아닌

 도시환경사업으로 봐야 한다”며 “이런 식이라면 차라리 복원을 안하는 게 나을 정도로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또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고 넌 대답만 하면 돼)’와 같은 스타일로 사업을 성급하게 추진해서는

 제대로 된 하천 복원은 이루어질 수 없다”고 덧붙였다.



2층식 하천 복원방식은 지하에 홍수 및 치수 대비용 너비 18.5m, 높이 4.4m 크기의 콘크리트 박스를 깔고

 지상에는 얕은 실개천을 만들며 주위에 나무를 심어 공원화하는 게 핵심이다.

실개천은 너비 4~6m에 수심 30~50㎝이다.

복원에는 총 490억 원이 드는데 시와 환경부가 절반씩 부담한다.



조민희 기자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 중독시대]…'홍차 한잔' 하실래요?  (0) 2017.08.11
[식용 곤충]의 맛있는 변신  (0) 2017.06.24
[건강한 시푸드] 복어  (0) 2016.06.28
[건강한 시푸드] 청어  (0) 2016.06.21
[건강한 시푸드] 꼬막  (0) 2016.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