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품은 [매축지마을] '등록문화재 지정 추진'
근현대 역사자원 보전하기위해 시, 전문가와 함께 현장실태조사
부산 동구 좌천동과 범일5동 일대의 일명 ‘매축지 마을’을
역사자원으로 보존하기 위한 등록문화재 지정이 추진된다.
부산시는 일제강점기부터 해방 이후를 거쳐
지금까지 부산의 근현대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매축지 마을을 역사자원으로 보존하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는 오거돈 시장의 주요 지시사항 중 하나로, 시는 최근 매축지 마을 현장 조사도 벌였다.
시는 전문가와 함께 매축지 마을 문화재 실태조사를 벌인 뒤
결과를 바탕으로 등록문화재로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곳은 1913년부터 1938년까지 수정·초량·좌천동 앞바다를 매립하면서 생겨난 땅에
촌락이 형성돼 아직도 매축지 마을로 불린다.
일제강점기 부산항으로 들여온 각종 짐과 화물을 운반하던 말과 마부들이 쉬고 생활하던 마구간이 있었고,
해방 이후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부산으로 내려온 피란민들이
마구간을 쪼개 생활공간으로 이용하면서 판자촌이 형성됐다.
석탄과 연탄 화로를 사용하는 오래된 집들이 따닥따닥 붙어 있는 ‘시간이 멈춘 골목’도 있고,
3차례의 대형 화재에도 타지 않고 원형 그대로를 간직한 흙집도 있다.
앞서 ‘시민이 운영하는 복지법인 우리마을’은
매축지 마을에 있는▷매축지 마구간 ▷시간이 멈춘 골목 ▷매축지 마을 흙집 ▷통영칠기사
▷보리밥 집의 30년 된 로즈마리 나무 ▷벽화와 지혜의 골목 ▷영화 친구 촬영지
▷보림연탄지소 등 8곳을 ‘마을문화재’로 선정했다.
마을문화재 선정은 마을에서 오래되거나 기억할 만한 장소를
마을의 문화재로 지정해 기억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남구 우암동 소막 마을도 매축지 마을과 비슷한 곳으로,
지난해 5월 등록문화재로 지정돼 원형 복원 등 근대역사문화 공간 재생사업이 진행된다.
소막 마을은 1924년 일제가 한우를 일본으로 실어 내기 위해 지은 임시 막사가 원형으로
, 이후 막사가 주거시설로 바뀌면서 형성됐다.
시 관계자는 “소막 마을이나 매축지 마을은
부산 근현대 역사를 고스란히 담고 있는 역사 유산”이라며
“이곳을 보존하고 정비해 부산의 소중한 역사문화 자원으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송진영 기자 roll66@
'부산 이바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쓰는 [부마항쟁 보고서 2] '기록으로만 남은' 사람들 (0) | 2019.08.30 |
---|---|
낙동강 하굿둑 [수문], 20일 드디어 열린다!~ (0) | 2019.05.10 |
청사포 몽돌해변 [전면개방 추진]…‘역사 관광자원’ 탄생 기대 (0) | 2018.12.30 |
‘부산진역 터 포함’ [북항통합개발] 돌발 변수 (0) | 2018.12.14 |
부산 동구 [이중섭 거리], 주민 '공동체 공간'된다 (0) | 2018.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