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남부선 민간사업자
'초기사업계획' 전면 수정
폐선부지(동해남부선 미포~송정) 생태공원 만들고, 레일바이크 대신 스카이바이크
# 민간사업자 해운대블루라인
- 초기사업계획 전면 수정
- 관광시설·건축물 대폭 축소
- 4.8㎞ 해양생태공원 조성 신설
# 환경·시민단체
- 스카이바이크에 우려 시선
- 휴식 즐기려는 시민 피해볼 것
- 상업시설 탓 원형보존 헤쳐
동해남부선 폐선부지(부산 해운대구 미포~송정 4.8㎞) 민간사업자가
일부 상업시설이 포함된 사업계획서 수정안을 부산시에 제출했다.
민간사업자는 앞선 3차례의 민관 원탁회의(라운드테이블)에서 나온 의견을 반영해 친환경 개발에 초점을 맞췄다고 주장한다.
이와 달리 환경·시민단체는 스카이 바이크를 비롯해 상업시설이 포함돼 난개발을 부추긴다고 맞서고 있다.
![]() | |
보령시 대천해수욕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스카이바이크.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사업계획서에 스카이 바이크가 포함됐다. |
24일 폐선부지 민간사업자인 해운대블루라인이 수립한 사업계획서를 보면
스카이 바이크와 풍경 열차가 눈에 띈다.
4인승의 스카이 바이크는 높이 7~12m의 철 구조물 위를 운행하는 기구다.
미포~청사포 2㎞ 구간 중 평지는 탑승자가 발로 페달을 밟아 운행하고 오르막 구간은 전기로 운행하는 방식이다. 풍경 열차는 기존 선로를 이용해 미포~송정 구간(4.8㎞)을 왕복 운행한다.
시민단체는 스카이 바이크에 우려의 시선을 보낸다.
경관이 뛰어나고 산책객이 많이 찾는 구간에 거대한 구조물을 설치해선 안 된다는 것이다.
폭이 3~4m에 불과한 곳도 많아 스카이 바이크와 풍경 열차가 운행하면 해안가에 덱을 만들어야
보행자나 휴식을 즐기려는 시민이 불편을 겪게 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부산환경운동연합 최수영 사무처장은 "스카이 바이크는 폐선부지 난개발의 상징이 될 것이다.
난개발을 막으려면 지금이라도 부산시가 공공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해운대블루라인 측은 "세 차례 라운드테이블에서 도출된 의견과 시민단체·전문가·언론의 지적을 받아들여 초기 사업계획을 전면 수정했다"며 "부산과 해운대 해안가에서만 관찰되는 식물과 지질을 살려 해양생태공원을 조성하는 계획도 추가했다"고 반박했다.
실제로 초기 사업제안서에 포함됐던 레일바이크는 빠졌다.
7종 11개였던 관광편의시설도 4종 4개로 줄었고 건축물도 8개에서 6개로 축소됐다.
대신 길이 4.8㎞에 달하는 해양식물 트레일을 만들어 친환경 공원을 조성한다는 계획이 마련됐다.
해운대블루라인은 토종식물을 이용한 자연 그대로의 경관을 갖춘 해양생태공원으로 만들기 위해
희귀 야생화인 부산꼬리풀 복원 전문가로부터 3만 포기를 기증받아 심기로 했다.
총사업비는 453억 원이다.
시는 25일 오후 3시 부산시청 대회의실에서 학계와 전문가, 지역 주민, 시민단체, 시·구의원 등
38명의 시민계획단이 참석한 가운데 4차 라운드테이블을 열어 민간사업자의 사업계획서를 논의한다.
동해남부선 폐선부지 논란은 시가 2013년 11월 한국철도시설공단과
'동해남부선 철도자산 효율적인 활용·관리 협약'을 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시는 철도시설공단과 미포~송정 구간에 대해 해양 관광자원을 이용한 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데 합의했다.
김희국 기자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망대만 세우는 '산복도로 재생사업' (0) | 2016.12.01 |
---|---|
"[대통령 휴양지] 거제 '저도'를 시민 품으로" (0) | 2016.11.27 |
[죽음에서 배운다] 함께 슬퍼하는 세상 (0) | 2016.11.11 |
산 깎아 골프장 짓더니, 10년 만에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아파트) '시끌' (0) | 2016.11.04 |
사라지는 '구덕야구장'… 아마 야구는 어디서? (0) | 2016.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