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진안 '선각산'
마이산 조망 즐기고 백운동계곡 시원한 물에 `풍덩`
영남인에 잘 알려지지 않은 호남내륙 명산
정상 밑 투구봉서 바라 보는 마이산 압권
물 맑은 계곡 하류 점전폭포 물줄기 장관
호남정맥길 거쳐 덕태산까지 종주 가능
전북 무주와 진안 장수는 예전부터 겨울철 눈이 많은 곳으로 유명했다.
그래서 폭설이 내릴 때면 '눈이 무진장 퍼붓는다'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따라서 이 지역을 떠 올리면 자연스럽게 겨울이 연상된다.
그러나 깊은 내륙의 기운을 머금은 헌걸찬 산세와 그에 걸맞는 명산이 즐비한 이 지역은
여름이라고 해서 결코 그 맛이 모자라지는 않다.
다만 많은 명산들이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어서 부산 경남 산꾼들에게는 다소 낯선 느낌을 줄 뿐이다.
그래도 덕유산 적상산 청량산 등 무주 지역의 산들과 장수 팔공산 정도는 비교적 많이 알려져 있기도 하다.
반면 마이산(馬耳山)을 제외한 진안의 산들은
부산 경남의 산꾼들에게는 말 그대로 '미지의 산'으로 여겨지고 있다.
전북 진안의 명산인 선각산은 인근 주민들의 여름철 피서지로 각광받는 백운동계곡을 끼고 있어 여름철 산행지로 적격이다. 투구봉에서 조망을 즐기는 취재팀. 멀리 마이산이 보인다. |
진안 선각산(仙角山·1141.5m)은
영남 산꾼들에게는 비교적 생소하지만
호남과 충청 산꾼들에게는 명산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산이다.
특히 북쪽에 마주보고 서 있는 덕태산(1113m)과의 사이에 펼쳐진
깊고 수려한 '백운동계곡'과 연계할 경우에는 기막힌 조망과
시원한 계곡을 함께 즐길 수 있는 여름철 산행지로 적격이다.
거대한 점전바위 아래로 쏟아지는 5m 높이의 점전폭포 물줄기는
시각적으로나 청각적으로나 산행의 피로를 말끔히 씻어주고,
발을 담그기 미안할 정도로 맑은 계류에서 탁족을 하면
뼛속까지 시원해지니 여름산행지로는
그 어떤 산에 견줘도 모자람이 없을듯 하다.
물론 단풍도 유명해 가을철 산행지로도 손색이 없을 것이다.
또한 산행 코스에서는 조금 비껴나 있지만 500리 섬진강 물줄기의 발원지인 '데미샘'도 안고 있어
산행을 마친 뒤 둘러보면 새로운 경험이 될 수 있다.
전체적인 산행은 주차장~삼림욕장 입구 등산로안내판 앞~구름다리~갈림길~독진암~투구봉~한밭재~
1048m봉(헬기장·일명 중선각봉)~선각산 정상~갈림길 3곳~팔각정 전망대~삿갓봉~1098m봉~홍두깨재~
임도~갈림길~점전폭포~주차장으로 연결되는 원점 회귀 코스다.
총 11㎞에 걷는 시간만 5시간30분 정도 걸린다.
일반적으로 선각산 산행을 할 때는 홍두깨재에서 북쪽의 시루봉과 그 서쪽의 덕태산을 거쳐
점전폭포로 하산하는 종주코스가 애용되지만 부산에서의 이동 시간과 여름철이라는 계절적 요인에 따른
계곡 산행을 고려해 이번 답사에서는 덕태산 정상 오르기는 생략했다.
걸음이 빠른 산꾼들을 위해 산행개념도에 시루봉~덕태산 연결 구간도 표시를 해 놓았으니
참고해도 좋을 듯 하다.
GPS 트랙 / 트랙 jpg파일 |
진안군 백운면 백암리 상백암마을에서 좀 더 계곡 쪽으로 들어가면
광명사라는 절이 있는데 이 곳에서 콘크리트 포장 임도를 따라
직진하면 독립가옥 한 채가 서 있는 널따란 주차장이 나온다.
대형 버스 예닐곱대가 주차 할 수 있을 만한 크기의 주차장에서
50m가량 되돌아오면 선각산~덕태산 등산로 종합안내판과
삼림욕장 안내표지판이 보이는데 이곳이 들머리다.
정자와 파고라, 벤치가 설치된 곳을 거쳐 구름다리를 건너면
곧바로 본격적인 산행이 시작된다.
계단 오르막길을 따라 5분쯤 가면 작은 능선.
왼쪽 오르막을 보며 능선길을 따른다.
삼림욕장 답게 잣나무와 전나무 소나무 등
침엽수와 참나무류의 활엽수가 어우러져 울창한 수림을 이루고 있다.
3분 뒤 이정표를 지나면서 로프구간이 잇따라 나온다.
제법 가파르지만 등산로 정비가 잘 돼 있어 걷기에 좋다.
그러니 자주 만나는 로프구간이 오히려 산행의 재미를 더해 주는 듯하다.
30분가량 아기자기한 산행로를 오르면 해발 830m에 위치한 갈림길에 닿는다.
왼쪽은 점전폭포에서 망태골 골짜기를 따라 올라오는 길이다.
계속되는 로프구간.
중간 중간 나타나는 전망바위에서는 서북쪽 멀리 마이산이 '양쪽 귀' 윗부분이 눈에 들기 시작한다.
15분가량 오르면 커다란 바위가 떡하니 막아서는데 독진암이다.
정면 가까운 곳의 봉우리 위에 투구를 쓴 장군이 '진격 앞으로'를 외치는 듯한
모양의 바위가 우뚝 서 있는 모습도 보인다.
투구봉이라고 불리우는 곳이다.
독진암에서는 오른쪽 사면 위험구간을 통과해야 한다.
로프가 설치돼 있어 조심만 하면 큰 어려움 없이 진행할 수 있다.
작은 안부를 거쳐 다음 봉우리인 투구봉까지는 15분이면 닿는다.
해발 972m인 투구봉은 투구를 쓴 장군 얼굴모양을 한 바위가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지만
그것은 아래쪽에서 보았을 경우에 그렇고 봉우리에 올라 서서 보면 또 다른 모습이다.
혹자는 산양의 모습이라 하고 또 다른 이는 거인의 머리와 어깨 등 상반신 모양
, 혹은 뿔 달린 용의 머리를 닮았다고도 한다.
여하튼, 투구봉에서 바라보는 조망은 가히 압권이다.
남동쪽 가까운 곳에 선각산 정상이 우뚝 솟아 있고
북쪽으로는 발 아래 백운동계곡과 계곡 상류인 장자골 골짜기가 펼쳐져 있다.
또 계곡 너머의 덕태산~시루봉 능선이 빚은 하늘금이 '어서 오라'며 손짓하는 듯 한데
덕태산 왼쪽 능선 너머의 북서쪽으로는 기묘한 형상의 마이산 암수마이봉이 햇빛을 받아 하얗게 빛나고 있다.
남쪽으로는 장수 팔공산과 성수산 등의 모습 또한 선명하다.
옥에 티라면 투구봉 정상에 '소덕태산 761.9m'라는 표지석이 서 있어 어리둥절하게 한다는 점.
분명히 잘못된 표지석이니 헷갈리지 말자.
선각산에서 삿갓봉 가는 길에 만난 전망대. 호남정맥 합류 지점이다. 남덕유산 지리산 능선까지 조망할 수 있다. |
남동쪽 선각산 방향으로 내리막을 타는데 주홍빛 말나리꽃에
한 마리 호랑나비가 앉아 정다운 시간을 보내는 모습이 눈에 잡힌다.
10분가량 가볍게 내려서면 '한밭재'다.
백운동 계곡에서 남쪽의 반송리 대전마을로 넘어가는 임도다.
이 임도를 가로질러 반대편 오르막으로 붙는다.
중간의 전망바위 등을 거쳐 20분가량 가파른 오르막을 치면
헬기장이 있는 1048m봉.
일명 '중선각봉'이라고도 하는 이 봉우리에서 뒤 돌아보면 조금 전
거쳐 온 투구봉이 발 아래에 있고 멀리 마이산의 모습이 아련하다.
살짝 내리막을 거쳐 선각산 정상까지는 15분이면 충분하다.
한글과 한자로 된 2개의 정상 표지석이 있는 선각산에서는 동쪽 아래로 오계치가 보이고
그 오른쪽으로는 데미샘을 품은 천상데미 봉우리(1002m)가 가깝다.
'천상데미'는 섬진강이 천상으로 오르는 길목이라는 뜻.
그 너머 동쪽 멀리로는 남덕유산 능선이 병풍처럼 펼쳐지고
남동쪽 먼 곳에는 지리산 능선도 모습을 드러내니 조망미가 일품이다.
동쪽으로 능선을 따라 내리막을 10분가량 가면 안부다.
5분 뒤 열두골로 내려서는 갈림길과 이정표 갈림길 등 3곳을 잇따라 지나지만
'전망대' 표시를 따라 능선 마루금을 타고 발걸음을 재촉한다.
도중에 부상당한 산새 한 마리를 발견하고 김운만 산행대장이 급히 물을 주는 등 구호 노력을 펼쳐 보지만 이미 기력이 쇠진한 듯하다.
김 대장은 "자연의 품으로 돌려 보내 줄 수 밖에 없네요"라며 안타까워하며 다시 숲에 내려 놓았다.
홍두깨재에서 하산하는 길은 백운동계곡의 시원한 경치를 즐길 수 있다. 곳곳에 크고 작은 소와 너럭바위가 있다. |
15분 뒤 팔각정 전망대에 닿는다.
동쪽의 천상데미와 그아래 오계치 고개가 더욱 뚜렷하다.
또한 천상데미와 오계치를 거쳐
이 팔각정에 이르는 길은 금남호남정맥길.
따라서 이곳부터 시루봉과 홍두깨재까지는 정맥길을 타게 되는 것이다. 북쪽으로 방향을 잡고 5분가량 오르면 삿갓봉(1134m)에 닿는다.
높이로만 보면 덕태산보다 오히려 높지만
'산'의 이름을 얻지 못하고 '봉'에 그친 사연이 안타까웠는지
많은 산꾼들이 수십 개의 리본을 매달아 놓았다.
진행방향으로 10m 가서 만나는 갈림길에서
오른쪽은 와룡자연휴양림 방향으로 내려서는 길이니 주의하자.
왼쪽 능선 내리막을 택해 걸음을 옮기면 15분 뒤 1098m봉에 닿고
이후에는 10분가량 비슷한 높이의 능선길을 타다가 내리막을 거쳐 다시 오르막을 치면 961m봉.
정맥길이지만 사람 키보다 큰 산죽밭이 이어지면서 제법 험악하다.
이제 내리막을 10분쯤 따르면 안부 갈림길이 닿는데 이곳이 홍두깨재다.
그 옛날 진안에서 장수로 넘어가던 유일한 주 통행로 역할을 했다는 홍두깨재는
'비록 낮이라도 혼자 이 고개를 넘다가는
아닌 밤중에 홍두깨를 맞는 것 처럼 자주 변고를 당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 온다.
취재팀은 홍두깨재에서 직진하지 않고 왼쪽 완만한 내리막 방향으로 꺾어 하산길을 잡았다.
호젓한 잣나무 숲이 이어지고 5분 뒤 임도를 만나면 왼쪽 완만한 내리막 임도를 탄다.
백운동계곡의 최상류인 장자골을 끼고 걷는 길.
비록 임도지만 주변 수림이 울창하고 맑은 물이 흐르는 계곡을 따르기 때문인지 전혀 지루하지 않다.
중간 중간에 크고 작은 소와 폭포가 있어 손을 담그기 그만이다.
3㎞가 넘는 계곡의 중간쯤에서 만난 이 지역 주민은
"한여름에는 이 계곡이 발디딜틈 없을 정도로 피서객들로 가득찬다"며 유명세를 대변해 준다.
중간에 열두골 갈림길을 지나 내려서는데 어른 3명이 둘러싸야할 정도로 굵은,
멋들어진 노송을 지나면 높이 5m 너비 10m의 점전폭포에 닿는다.
폭포를 구성하는 암반인 점전바위 위에서 폭포 아래를 바라볼 때나 폭포 아래서 위를 바라볼 때나
우열을 가릴 수 없을 만치 시원한 비경이 연출된다.
폭포에서 400m만 내려서면 주차장에 닿아 산행을 마무리한다.
◆ 떠나기 전에
- 섬진강 발원샘인 '데미샘' 꼭 들러보길
선각산 산행의 백미로 꼽히는 백운동계곡의 점전폭포. 물이 많을 때는 바위 전체를 타고 물이 흘러내려 장관을 이룬다. |
진안 선각산 산행을 마친 후
이왕이면 섬진강 발원샘인 데미샘을 둘러보는 것이 좋다.
백운동계곡 입구에서 나와 백운삼거리에서 진안읍 반대방향인
임실방면으로 좌회전해 1㎞가량 가면 동창리에서 길이 갈리는데
장수 방향 742번 도로를 타고 좌회전 한다.
선각산의 정남쪽 마을인 신암리 원신암에서 왼쪽으로 난 계곡길로
'데미샘' 표지판을 보고 차를 몰면 중간에 데미샘 입구 팔각정이 있다.
이 곳에서 내려서 천상데미 쪽으로 난 한적한 숲길을 따라
40여분 산책을 하듯 걸어가면 '데미샘'에 닿을 수 있다.
이 곳에서 발원한 데미샘은 임실 남원 하동을 거치며
장장 500리 물길을 이어 가다 광양만에서 남해바다와 한 몸이 된다.
섬진강의 시인으로 불리는 김용택은 그의 시집 '섬진강'에서
"이 세상 사는 일이 팍팍할 때… 팍팍한 마음 한 끝을 저무는 강물에 적셔 풀어 보낼 일이다"고 노래했다.
맛집을 찾는다면 날머리 주차장에서 300m 아래에 있는 '백운관광농원'이 좋다.
싱싱한 송어회 1마리와 매운탕을 곁들이면 4명 식사로는 딱이다.
◆ 교통편
- 장수~익산간 고속도로 개통 3시간 내 도착
부산서부터미널에서 전북 진안까지 가는 시외버스는 오전 9시21분과 오후 3시42분 등 하루 2회 운행해 불편하다. 소요시간은 4시간20분.
진안에서 부산으로 돌아오는 차도 오전 10시와 오후 3시45분 등 2차례 밖에 없다.
부산~전주간 직행버스가 첫차 오전 7시부터 막차 오후 7시까지 하루 10회 운행하기 때문에 경유하는 편이 낫다. 소요시간은 3시간20분.
전주에서 진안까지는 오전 6시부터 20분 간격으로 시외버스가 있다. 30분 소요.
진안터미널에서는 백운동행 군내버스가 오전 7시45분과 오후 2시30분 등 2차례.
자가용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남해고속도로를 거쳐 대전~통영고속도로 장수분기점에서 장수~익산간 고속도로를 타면
15분 만에 진안IC에서 내린다.
요금소를 통과하면 남원 임실 방면 20번국도를 타고 좌회전한다.
다시 은천삼거리에서 임실 백운방면으로 가다가 백운삼거리에서 백운동계곡 표지판을 보고 좌회전,
직진하면 광명사를 지나 계곡입구 주차장에 도착할 수 있다.
넉넉잡아 3시간.
GPS 도움=GPS영남 (http://cafe.daum.net/gpsyn)
'山'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합천 ‘오도산’ (0) | 2017.12.26 |
---|---|
삼척 ‘이끼 폭포’ 탐사 (0) | 2017.12.21 |
김해 진영 ‘금병산~응봉산’ (0) | 2017.12.14 |
경주 ‘어림산’ (0) | 2017.12.12 |
양산 ‘오룡산’ (0) | 2017.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