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천 재생 4.0 [부산의 미래를 흐르게 하자] <4-3> 동천의 기억-' 산업을 키워낸' 동천 동천 재생 4.0 [부산의 미래를 흐르게 하자] <4-3> 동천의 기억- '산업을 키워낸' 동천 동천의 맑고 풍부한 용수, 국내 굴지 기업들 성장 모유가 되다 부산 부산진구 부전동 동천 변에 자리했던 옛 제일제당 공장. 오늘날 삼성그룹의 모태가 됐던 기업이다. - 서면분지의 물 동천으로 모이.. 환경 2014.05.18
이야기 공작소 <13-3> [해운대 '고운' 이야기]- 팩션- '청사포' 사랑 이야기 공작소 <13-3> [해운대 '고운' 이야기]- 팩션- '청사포' 사랑 여인을 본 순간 감전이라도 된 듯 전율이 일었다…운명적인 만남이 시작될 것 같았다 김덕기 화가의 '청사포의 봄'. 화사한 봄꽃에 휩싸인 부산 해운대구 청사포의 정경을 운치있게 묘사했다. 김덕기 제공 청사포 푸른.. 부산 이바구 2014.05.18
[부산 사람도 모르는] <13> '차이나타운'과 '화교'들 [부산 사람도 모르는]<13> '차이나타운'과 '화교'들 부산의 '왕서방들', 일제 이간질에 생업 잃고 中 돌아갔던 수난사 간직 부산 초량 청관거리 풍경. 비단, 포목, 거울 , 꽃신 등 중국에서 수입한 상품들이 많이 거래됐다. 김한근 제공 - 中 무역상 정익지·위생 형제 - 부산 日人지역 상.. 부산 이바구 2014.05.18
[내 고장 숨은 '이바구'… ] 산청 '왕산' 가야 구형왕릉 [내 고장 숨은 '이바구'… 新전설의 고향] 산청 왕산 가야 구형왕릉 나라 잃은 마지막 왕의 비애 묻힌 역사관광자원 보고 ▲ 경남 산청군 금서면 화개리 왕산 자락에 있는 돌무덤 형태의 가야 마지막 왕 무덤인 구형왕릉. 산청군 제공 "가야 마지막 왕(10대) 구형왕은 521년 왕위에 올랐다. .. 전설 2014.05.14
[茶飯事] ⑫ '홍차' 이야기-2 [茶飯事] ⑫ '홍차' 이야기-2 맛 살리려면 차 끓일 때 '골든룰' 지켜라 영국인은 동양과는 다른 차 문화를 갖고 있다. 보통 4차례 시간을 나눠 각각 다르게 블렌딩한 홍차를 마신다. 아침 차를 브렉퍼스트 티(Breakfast Tea), 정오에는 티 브레이크(Tea Break), 오후 2∼3시에는 애프터눈 티(Afternoon Te.. 食 2014.05.14
[광장&골목] <19> 호주 멜버른 '퀸즈빅토리아'마켓 [광장&골목] <19> 호주 멜버른 '퀸즈빅토리아'마켓 개발 거부한 상가 건물 '문화 유산' 지정… 하루 방문객만 4만 명! ▲ 도심 재개발 광풍에도 살아남은 호주 멜버른의 퀸즈빅토리아마켓 내부. 오래된 전통 매대 위에 다양한 과일을 얹어 놓고 손님을 맞는 풍경이 정겹다. 이랑주 씨 제.. 신나는 여행 2014.05.14
'당뇨병'의 중요성[전문의 건강수첩] '당뇨병'의 중요성[전문의 건강수첩] 평생 꾸준한 관리가 해법 만성적인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은 최근들어 서구화된 식습관 및 생활습관의 변화, 운동부족에 의한 비만 인구의 증가, 인구노령화에 따라 국내에서도 발병률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어 유행병이라고 할만하다. 현재 .. 건강 이바구 2014.05.10
[과학으로 푸는 신비의 세계] <4> 부산 해안가 '온천 콸콸' 이유는 [과학으로 푸는 신비의 세계] <4> 부산 해안가 '온천 콸콸' 이유는 '땅 밑 지열이상대 분포 때문' '신생대 화산 활동 뒤 미분출 마그마 열원'설 유력 ▲ 부산 해운대 파라다이스호텔 노천온천. 부산의 해운대와 광안리 등에 땅만 팠다 하면 '온천 노다지'가 터지는 이유는 뭘까? 최근 해.. 과학·문화 2014.05.10
[부산의 전설 보따리] <17> 동래 '관황묘' [부산의 전설 보따리] <17> 동래 '관황묘' 여씨 성 사람은 영(靈) 근처에만 가면 실신 - 장소: 동래구 명륜동 - 부사 박제관 관황묘 세워 - 어느날 꿈에서 관운장 만나 - 아기장수 죽은 집터로 묘 옮겨 - 명나라서 세웠다는 설도 - 여몽에 죽은 촉나라 장수 관우 - 여씨 성이 가까이 오면 죽.. 전설 2014.05.10
동천 재생 4.0 [부산의 미래를 흐르게 하자] <4-2> 동천의 기억- '동천'과 부산 '북항'은 한몸 동천 재생 4.0 [부산의 미래를 흐르게 하자] <4-2> 동천의 기억- '동천'과 부산 '북항'은 한몸 개항(1876년) 전만 해도 동천에 호랑이 출몰 잦아 범내골 지명 생겨 1951년 한국전 당시 미군 병사가 촬영한 동천 주변 시가지. 부산공작창 뒤쪽으로 가운데에 동천 물줄기가 드러나 있다. 사진은.. 환경 201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