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설의 공간-[부산 근현대의 장소성 탐구] <21> 산동네 역설의 공간-[부산 근현대의 장소성 탐구] <21> 산동네 피란민·도시 빈민들의 삶터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으로 세계적 어울림의 공간 명성 부산 동구 초량동 산복도로로 올라가는 이바구길을 걷다가 옛 백제병원을 지나면 초량초등학교 담장에 설치된 '이바구갤러리'를 만난다. 피.. 부산 이바구 2014.02.01
[부산, 사진을 재발견하다] ③ 불안한 '풍경' [부산, 사진을 재발견하다] ③ 불안한 풍경 돌아갈 곳을 잃어버리다 ▲ 불안한 풍경 - 2010년 서대신동 ▲ 불안한 풍경 - 2010년 서대신동 ▲ 불안한 풍경 - 2010년 서대신동 ▲ 불안한 풍경 - 2010년 서대신동 ▲ 불안한 풍경 - 2010년 서대신동 정근업의 '불안한 풍경'은 4년 동안 부산 서대신동 3.. 부산 이바구 [예술] 2014.01.29
[이랑주의 광장&골목] <4> 칠레 '산티아고' 도둑시장 [이랑주의 광장&골목] <4> 칠레 산티아고 '도둑시장' 훔친 물건·공장서 빼돌린 상품·골동품까지 '없는 게 없어' ▲ 집에서 쓰던 골동품부터 공장에서 빼돌린 제품, 훔친 물건까지 상상할 수 있는 것은 다 있다고 국제적으로 소문난 칠레 산티아고 도둑시장에서 내·외국인들이 진열.. 신나는 여행 2014.01.29
에코델타시티에 부산 미래 건다 <1-3> [낙동강 삼각주 이야기]- 지켜야 할 '전래민속' 에코델타시티에 부산 미래 건다 <1-3> [낙동강 삼각주 이야기]- 지켜야 할 '전래민속' 가락오광대·명지 알씨름·다대포 후리소리…민중문화의 보고 지역민들을 중심으로 고증 복원작업이 한창인 가락오광대의 연희 모습. 강서문화원 제공 - 가락오광대 노름꾼 과장 특이 - '모찌기 노.. 환경 2014.01.29
경제…[고전에 길을 묻다] <2> 사마천의 '사기'와 '국부론' ② 경제…[고전에 길을 묻다] <2> 사마천의 '사기'와 '국부론' ② 국가가 상인으로 나서 소금과 철을 전매하고 독점적 이익을 취함은 자연의 道를 거스르는 것 최선의 방법은 백성의 심성을 존중하는 것이고, 차선책은 이익으로 백성을 인도하는 것이며, 그 다음으로는 백성을 가르쳐 깨.. 경제 2014.01.29
[부산의 전설 보따리] <4> '효자로 이어진' 김씨 가문 부산의 [전설 보따리] <4> '효자로 이어진' 김씨 가문 하늘이 내리고 나라가 인정한 효자 4대 부산 기장군 철마면 임기리에 있는 효자 김씨 가문의 사효묘(四孝廟) 사당 모습. - 장소: 기장군 철마면 임기리 - 호랑이로부터 모친 구해낸 조부 김순적에서부터 - 사력 다해 부친 병환 치료.. 전설 2014.01.29
신 '영도다리'…[만남과 부활] <상> 금순이를 찾아서 신 '영도다리'…[만남과 부활] <상> 금순이를 찾아서... 누이야 살아 있다면 예서 만나자…'영도다리'는 오늘도 기다린다 이경식 김화영 기자 yisg@kookje.co.kr 2014-01-21 영도다리는 오늘도 기다린다! 만나지 못한 숱한 이산가족들을. 기다림에 허기진 마음들이 칼바람이 되어 47년만에 들린.. 부산 이바구 2014.01.25
[2014년 문화 키워드] 1. 영화 [2014년 문화 키워드] 1. 영화 이사 온 공공기관 '부산화'가 화두 이호진 기자 2014-01-03 ▲ 지난해 6월 부산 중구 중앙동 사무실 밀집 거리에서 영화 '변호인'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 부산영상위원회 제공 2014년 새해의 문화 지형을 키워드로 살펴보는 시리즈 '2014년 문화 키워드'를 마련한다. .. 부산 이바구 [예술] 2014.01.25
[부산의 전설 보따리] <5> 기왓장으로 '왜적 친 의녀' 주영택이 발로 찾은 [부산의 전설 보따리 ]<5> 기왓장으로 '왜적 친 의녀' 지붕서 기와 던지며 왜군에 맞선 아낙네 부산 동래구 안락동 충렬사의 의열각. - 장소: 동래구 수안동 - 임란때 동래성서 적과 싸우다 장렬하게 숨진 여자 신위 4명, 충렬사 의열각에 모셔져 있고 - 송공단에도 .. 전설 2014.01.25
동천 재생 4.0 [부산의 미래를 흐르게 하자] <2-1> 물길 되찾기- '콘크리트로 덮인' 하천 동천 재생 4.0 [부산의 미래를 흐르게 하자] <2-1> 물길 되찾기- '콘크리트로 덮인' 하천 개발 바람에 밀려 땅 속으로…이젠 기억 속에서만 흐르는 강물 1960년대 후반 광무교 옆 인쇄골목과 서면복개로가 만나는 지점이다. 동천의 본류와 부전천이 합류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사진제공=.. 환경 2014.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