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 '응봉산' 아듀! 2003.일반적으로 겨울산은 잿빛이지만 응봉산은 홍송 등 소나무가 많아 멀리서 봐도 푸름을 간직하고 있다. 일출을 보기 위해 오르는 산길은 편하지만 밋밋하다. 하지만 산행 도중 만나는 푸른 소나무는 발걸음을 가볍게 해준다. 다사다난했던 한 해가 또 가고 있다. 부푼 꿈을 안고 .. 山 2013.12.03
[부산 '영화 지도'를 그리다] <16> 에필로그 [부산 영화지도를 그리다] <16> 에필로그 '영화도시 부산'의 과거와 현재 점검, 미래 '스토리'는 우리들 몫 ■연재를 마치며 지난 8월부터 도시 곳곳에 흩어져 있는 부산영화의 흔적을 찾아 그 조각들을 맞춰 보았다. 그중 어떤 조각은 이미 오래된 화석처럼 굳어졌고, 어떤 것은 아직도.. 부산 이바구 [예술] 2013.12.01
이야기 공작소 <8-2> [카메라의 렘브란트 최민식]- 예술을 향한 '집념''과 가족의 '헌신' 이야기 공작소 <8-2> [카메라의 렘브란트 최민식[- 예술을 향한 '집념'과 가족의 '헌신' 가족은 사랑했다, 밥벌이 가장이 아닌 위대한 예술가로서 그를 최민식 선생이 끔찍히 사랑했던 딸 유경(51·왼쪽) 씨가 열 살 무렵인 1970년 부인 박정남 씨의 모습. 최민식 선생이 직접 카메라에 담.. 부산 이바구 2013.12.01
이야기 공작소 <8-6> [카메라의 렘브란트 최민식]- 인간, 그 아름다운 이름 이야기 공작소 <8-6> [카메라의 렘브란트 최민식]- 인간, 그 아름다운 이름 가난의 시대는 저물었으나 그의 카메라는 여전히 사람을 향했다 최민식 선생은 생전 아는 사람을 만나면 격의 없이 사진을 찍어주기도 했다. 왼쪽부터 최민식 선생의 작품 '부산 1968''부산 1981'. 부산시립미술.. 부산 이바구 2013.12.01
역설의 공간-[부산 근현대의 장소성 탐구] <12> 신나는 '놀이 섬' 사직야구장 역설의 공간-[부산 근현대의 장소성 탐구] <12> 신나는 '놀이 섬' 사직야구장 맘껏 노래 부르고 "마" 외침, 규율서 해방된 일탈의 공간… 조명 꺼지면 '외로운 섬'으로 사직야구장은 지난 28년간 '구도 부산'의 열정을 상징하는 공간이자 상시적 시민축제의 장소로 자리매김해왔다. 사진.. 부산 이바구 2013.12.01
[부산 '영화지도'를 그리다] <15> 기장군 '때 묻지 않은 자연을 품은' 소박한 공간 [부산 '영화지도'를 그리다] <15> 기장군 향수와 추억과 '때 묻지 않은 자연을 품은' 소박한 공간 ▲ 국가 지정 어항이자 아름다운 어촌 100곳 중 하나인 대변항에 소형 어선들이 정박해 있다. 맛과 멋이 공존하는 부산 기장군은 기장읍, 장안읍, 일광면, 정관면, 철마면으로 이루어져 있.. 부산 이바구 [예술] 2013.11.23
감기의 '체질 치료' <15> 체질과 음식 이야기 체질과 음식 이야기 <15> 감기의 '체질치료' 태음·소양인 땀 내고, 태양·소음인 냉수찜질 환절기가 되면 일교차가 커지면서 찬바람이 불어오는데 호흡기가 약한 체질은 찬바람에 상해서 감기에 걸리기 쉽다. 또 면역 기능이 약해져 일교차가 큰 날씨에 우리의 몸이 적응을 잘하지 .. 건강 이바구 2013.11.23
이야기 공작소 <8-5> [카메라의 렘브란트 최민식] - 아, 그곳 자갈치!~ 이야기 공작소 <8-5> [카메라의 렘브란트 최민식]- 아, 그곳 자갈치!~ 운명 탓할 새 없이 억척스럽게 살아내는 '시장 사람'을 찍고 또 찍었다 자갈치시장 바닥에 만들어진 생선 좌판이 사각형의 성채처럼 보인다. 최민식의 〈휴먼 대표선집〉 중에서 바다내음, 생선 비린내, 시끌벅적한 .. 부산 이바구 2013.11.23
역설의 공간-[부산 근현대의 장소성 탐구] <11> 해운대 역설의 공간-[부산 근현대의 장소성 탐구] <11> 해운대 사람냄새 나는 집도, 포구였던 과거도 없는 그저 '그들만의 도시' 해운대 해수욕장의 1960년대와 2000년대 모습. 한적한 해변이 40여 년 만에 초고층 건물이 들어선 관광지로 변했다. - 마천루 펼쳐지지만 - 인간적 품격 느껴지는 주.. 부산 이바구 2013.1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