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난방, 이것만 알아도…] '비용'은 줄이고 '온기'는 더한다
2013-12-20 [09:27:03] | 수정시간: 2013-12-20 [14:37:15] | 23면
▲ 수도홈케어의 남재욱 대표가 한 가정의 보일러 온수분배기를 점검하고 있다. |
실내온도를 1도 올리면 난방비가 7~10% 이상 뛴다는데….
추위가 본격화하면서 '난방비 폭탄'을 걱정하는 가구가 늘고 있다. 단열공사나 집 리모델링은 언감생심! 결국 아끼는 수밖에 없다. 하나 아끼려니 춥고, 아끼다가 감기가 걸리면 울다가 뺨 맞는 격이다. 보일러를 비롯해 난방기기를 제대로 쓰는 요령만 알아도 겨울이 더 따뜻해질 수 있다고 하는데…. 그 요령을 알아봤다.
보일러 청소로 열효율 10% 상승
보조 난방기구는 창 부근에 설치
내복·카디건·커튼도 역할 톡톡
■ 보일러만 잘 사용해도 기본
겨울철 난방비 폭탄의 주범은 보일러. 보일러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난방비의 10%를 줄일 수 있다. 흔히 외출할 때 전기와 연료를 아낀답시고 보일러 전원을 끄고 가곤 한다. 하나 이럴 경우 집안 실내온도도 저온상태로 바뀌는데, 나중에 18도 이상으로 온도를 올리려면 평소의 3~4배 이상 연료가 소모된다. 외출 시에는 외출 모드나 취침 모드로 설정하면 실내 온도도 유지되고 동파도 막는다.
당연한 말이지만 보일러는 튼 만큼 연료가 쓰인다. 난방하지 않는 방은 온수분배기를 조절해 잠근다. 분배기의 밸브를 열어놔도 따뜻하지 않은 방은 어떻게 할까? 온수분배기의 열 전달이 불균형해 다른 방이 과하게 난방된다고 보면 된다. 따뜻하지 않은 방의 밸브를 잠그기보다 과한 난방이 되는 방의 밸브를 조절해야 한다.
기름보일러나 가스보일러는 연료가 연소할 때 분진이 발생한다. 노후화로 배관 부분이 부식되면서 이런 이물질이 보일러 내부나 연통에 쌓인다. 이물질은 열 전달성을 떨어뜨려 보일러의 효율도 함께 감소시킨다. 보일러를 틀 때마다 불필요한 돈이 새는 셈이다. 이런 억울한(?) 사태를 막으려면 1년에 두 번 정도 보일러를 청소하는 게 좋다. 시기는 보일러를 사용하지 않는 여름철과 추위가 오기 전인 늦가을이 낫다.
이물질로 막힌 보일러 배관. |
베란다나 창고에 설치된 보일러 본체에는 보일러 온수의 이물질을 걸러 주는 난방필터가 있다. 필터가 막히면 보일러의 열효율도 떨어진다. 난방필터를 분리해 물에 씻어 주면 전체적으로 열효율이 올라간다. 다만, 필터를 분리할 때 전원을 끄고 가스와 온수 공급 밸브를 잠가야 한다. 본체와 연결된 연료, 온수배관은 청소전문업체에 맡겨 1~2년에 한 번 정도 청소하면 부식을 막아 보일러 수명도 늘어나고 열효율도 올라간다. 비용은 6만~7만 원대.
노후 배관에서 나온 녹물. |
■ 보조 난방기기, 잘못 쓰면 오히려 독?
공간이 넓은 집안 거실에는 보조 난방기기로 히터를 쓰기도 한다. 히터의 난방필터가 이물질로 오염되면 실내 공기도 안 좋아지지만 난방 능력이 떨어지고 고장도 난다. 난방필터와 난방핀만 청소해도 이런 걱정을 줄일 수 있다.
난방필터는 기기 아래쪽의 덮개를 벗겨 내면 쉽게 분리된다. 한 달에 한두 번 정도 물로 청소한다. 난방핀은 난방필터를 분리했을 때 검정 쇠 날이 촘촘히 박혀 있는 판이다. 난방핀에 먼지나 오물이 쌓이면 난방온도가 쉽게 올라가지 않아 전기를 더 먹는다. 마트에서 파는 전용 세제나 스프레이를 뿌리면 간단히 청소된다.
히터 난방핀에 쌓인 먼지들. |
회전식 온풍기의 소비전력은 2천W를 넘는데 텔레비전 40대의 소비전력과 맞먹는다. 사용시간을 1~2시간 이내로 줄여야 한다. 전기·온수·발열매트를 구입할 때는 소비전력을 따져 봐야 한다. 표준소비전력이 250~350W의 제품이 그나마 전기요금 부담이 적다.
절전 효과가 있는 미니 히터. |
외풍 차단 및 단열 제품들. |
글·사진=전대식 기자 pro@busan.com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홀딱 벗고새'를 아십니까? (0) | 2014.09.24 |
---|---|
[2014 부산, 우리가 잊고 지내는 것들] 2 . 부산의 '기억' (0) | 2014.09.19 |
[2014 부산, 우리가 잊고 지내는 것들] 1. 삶과 죽음의 공존 (0) | 2014.09.10 |
[스마트폰]으로 '사진' 잘 찍기 (0) | 2014.01.16 |
부산 [부평동 야시장], 눈도 방긋 입도 방긋… 밤이 즐거운 '주전부리 천국'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