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로 푸는 부산의 역사]
근대화의 기수 '지석영'
인술로 베푼
목민관의 백성사랑
한국 종두의 아버지라 불리는 송촌 지석영(.1855~1935)선생을 모르는 사람은 아마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지석영선생이 우리고장 부산에서 종두법을 배웠다는 것과
한말에 동래부사를 지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지석영은 철종 6년(1855년) 서울 출생으로 자는 공윤 호는 송촌 본관은 충주이다.
그는 일찍부터 경세제민의 학문에 뜻을 두고 서학에 대한 관심이 남달랐다.
그러나 그 당시의 조선사회는 서학을 배척하는 정책이 팽배하였던 시기로
그 뜻을 펼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랐다.
그렇지만 다행히 19세기말로 접어들면서 근대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새로운 계기가 확대되면서
서학에 대한 접근이 상대적으로 용이해졌다
.중국 상해 광동 등에서 출판된 서양관계 각종 한역서들이 국내로 유입되었고
이들 중 서양의학서 특히 영국 제너의 종두법은 지석영에게 특별한 관심을 끌었다.
이러한 그의 관심은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는데 그 계기는 김기수가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될 당시
지석영의 스승인 박영선이 김기수의 통역관이 되어 동경에 가면서였다.
박영선은 준데도오의원의 의사 오오다키에게서 우두종법을 배우면서 구가의 "종두귀감"을 얻었고
귀국후 그의 문하에 있던 지석영에게 전하면서 지석영의 종두법에 대한 관심은 더욱 가속화 되었다.
이것이 그가 부산과 인연을 맺게된 출발점이었다.
당시 부산에는 현대식 시설을 갖춘 제생의원(일본인 경영)이 있었다.
지석영은 우연한 계기로 서울에서 제생의원의 원장 마쓰마를 소개받고 부산으로 내려와
당시 종두의 권위자로 알려진 일본 해군 군의관 도스카를 만나
이 병원에서 70일간 종두법에 관한 현장교육을 받고 그 실체를 터득했었다.
지석영은 종두에 대한 시술교육을 마친 뒤 그해(1879년) 12월25일 서울로 돌아가는 도중에
충주 덕산면에 들러 그의 의제에게 종두를 시술하였는데 이것이 한국에서 종두를 시술한 최초의 사례였다.
그후 서울로 돌아온 지석영은 계속적인 연구를 통하여 종두시술의 효과에 대한 확신을 갖고 두묘제조의 필요성을 절실히 통감,1880년 제2차 수신사 김홍집이 파견될 때 수행원으로 일본에 가게 되었다
.일본에 도착한 그는 김홍집의 주선으로 당시 일본 외무경 이노우에를 통하여 일본 위생국 우두종계소장 기쿠치에게서 두묘제조법과 독우채장법을 배우고 귀국하였다.
귀국후에도 지석영은 서울에서 종두를 시술했으며 그해 11월에 일본공사관의 의관인
해군 군의관 마에다로부터 의학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기도 하였다.
1882년 임오군란으로 쇄국정책이 재현되자 지석영은 일시 몸을 피하였다가
그해 8월 다시 정세가 반전되자 종두시술의 확산을 꾀하였다.
이어 9월에는 전라도어사 박영교의 초청으로 전주성내에 우두국을 신설하고
도내의 인사들에게 우두법을 가르쳤다.
1883년엔 충청도어사 이용호에게 공주부에 우두국을 신설토록 했으며
도내의 인사들에게 우두법을 가르치는 등 전국을 대상으로 종두법의 확산에 힘썼다.
마침 그해 지석영은 식년문과(을과)에 급제하여 전적,지평을 역임한뒤 1885년엔
여러해 동안 배워온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우두관련 최초의 의학서인 "우두신설"을 저술하였다.
1887년 지석영은 사헌부의 장령으로서 나날이 기울어져 가는 사회의 피폐상을 논하다가
당국의 미움을 받아 전라도 강진현 신지도에 유배되었으나 여기서도 그는 계속해 종두의 확대,보급에 진력한다.
6년만에 유배지에서 풀려나 서울로 돌아온 지석영은 형조참의,승지를 거쳐 1896년 드디어 동래부사로 부임한다.동래부사 재직시 그는 부사로서의 임무는 물론
이지역에서 두창이 유행하자 우두종법을 실시해 지역민들을 질병에서 구한다.
그뒤 1899년 지석영은 의학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학부대신에게 주청,
경성의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에 취임하였다.
1905년에는 국문의 올바른 이해와 교육을 위하여 신정국문 6개조를 상소하여 학부안에 국문연구소를 설치,
연구위원이 되고 1909년에는 "자전석요"를 집필하는 등 국문연구에도 공헌하였다.
지석영의 이러한 공훈을 당시 정부에서도 인정해 수차례에 걸쳐 팔괘훈장과 태극훈장을 수여하였고
1910년 6월에는 훈사등팔괘장을 내린다.
지석영은 일제강점이 시작되자 망국의 울분을 삼키며 모든 관직을 버리고 초야에 묻혀 지내다
35년 2월1일 8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장례는 사회장으로 거행되었고
그가 부산과 맺은 깊은 인연과 베푼 높은 은덕을 기리고자
우리 부산에서도 지난 88년 동래 금강공원안에 "동래부사 송촌 지석영 선생 공덕비"를 세워
선생의 높은 공덕을 영원히 보전하고 있다.
/홍연진.부산시사편찬위원회 상임위원.부산경남역사연구소 연구원/
'과학·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야기로 푸는 부산의 역사] 동래별장 주인 '하자마' (0) | 2014.10.29 |
---|---|
[이야기로 푸는 부산의 역사] '국권회복' 운동 (0) | 2014.10.22 |
박차정. 김원봉(빼앗긴 조국위해 총칼든 부부전사) (0) | 2014.10.08 |
'윤상은' 선생 (0) | 2014.10.01 |
동래 '기영회'(耆英會) (0) | 2014.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