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3호기 화재땐 국제적 재난 상황"
시민·전문가 원전안전 토론회
- 핵연료저장조 사고 시뮬레이션
- 5만4000㎢ 까지 세슘 영향권
- 최대 2400만 명 대피해야
- "건식 저장시설로 옮겨야"
영화 '판도라'처럼 고리원자력발전소 3호기 사용후핵연료 저장조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최대 2400만 명이 대피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27일 부산상수도사업본부 대회의실에서 시민·전문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고리원전 안전성과 관련해 '원자력발전소 안전 공개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서순용 선임기자 seosy@ |
미국 NRDC(천연자원보호위원회) 원자력분과 강정민 선임연구원은 27일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에서 열린 '원자력발전소 안전 공개토론회'에서 고리3호기 사용후핵연료 저장조 사고를 가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공개했다.
강 연구원은 2015년 1·4·9월의 기상자료를 토대로 고리3호기 사용후핵연료 저장조에서 불이 났을 때 방출되는 고독성 방사성 핵종인 세슘(Cs-137)의 양을 산출했다.
그 결과 1986년 러시아 체르노빌 사고 당시 방출된 세슘의 양보다 20배 많은 양이 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성 물질을 피해 이주해야 하는 인원은 540만 명에서 최대 2430만 명에 이르고 피폭 면적은 최대 5만4000㎢에 달한다고 강 연구원은 설명했다.
사고 발생 이후 30년간 영향을 받는 국내 면적은 평균 6000㎢(최대 4만5000㎢)였고 피폭 인원도 평균 330만 명(최대 1900만 명)이었다.
강 연구원은 "고리3호기는 사용후핵연료가 818t이나 저장돼 있어 이곳에 화재가 발생하면 국제적 재난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대치 피폭 면적과 인원을 보면 ▷북한 6만4000㎢에 1340만 명 ▷일본 6만7000㎢에 2830만 명 ▷중국 2만8000㎢에 870만 명이었다.
저명 핵물리학자인 미국 프리스턴대 반 히펠 교수도 이날 사용후핵연료를 건식 저장시설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원자로 격납건물이 손상되지 않는다면 건식 저장시설이 습식 저장시설보다 훨씬 적은 세슘을 방출하며 보관비용도 저렴하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패널들은 공통적으로 사용후핵연료 저장수조의 위험성을 지적하며 안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동의대 김유창(산업경영공학과)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는 사용후핵연료 영구 저장시설을 확보하지 못해 원자력발전소에 임시 보관하고 있다. 이곳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원자로 사고보다 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사고는 예측 가능한 방식으로만 발생하지 않는 만큼 사용후핵연료 위험성을 안고 사는 부산·울산시민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원자력 정책이 이뤄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시민단체인 원자력안전과미래 한병섭 박사는 "국내 사용후핵연료 저장조는 안전성 평가 결과 일본 후쿠시마보다 짧은 시간 내에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원전과 사용후핵연료 사고에 대비한 방재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준영 기자 ljy@
'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 10명 중 8명 "영화 판도라 같은 원전사고 우려" (0) | 2017.03.10 |
---|---|
[신고리 4호기] '녹슨 격납철판' 시공 논란 (0) | 2017.03.07 |
'바닷모래 갈등' 정부가 더 키운다 (0) | 2017.03.01 |
[고리3호기 격납고] '부식' 흔적 (0) | 2017.02.24 |
승학산·아미산 연결 '둘레길' 조성 (0) | 201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