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델타시티에 부산 미래 건다 <2-3> [물의 도시를 위하여]- '新 해상별국'으로 가려면 에코델타시티에 부산 미래 건다 <2-3> [물의 도시를 위하여]- '新 해상별국'으로 가려면 맥도강·서낙동강·평강천의 작은 지류들 원형회복 선행돼야 부산 강서구 명지·강동·대저2동 일원 에코델타시티 예정지 전경. 사진 위쪽에서부터 차례로 서낙동강 평강천 맥도강 (동)낙동강 .. 환경 2014.03.05
경제…[고전에 길을 묻다] <7> '경세'의 이치 ③ 경제…[고전에 길을 묻다] <7> '경세'의 이치 ③ 古今에 가렴주구의 핵심은 혹독한 징세가 아니라 불공평한 과세다 - 조사(趙奢)는 평범한 세리 출신에서 대장군이 되었다. 그런데 조사의 아들 조괄(趙括, ?~서기전 260)은 병법에 매우 밝아서, 조사도 아들을 이기지 못하였다고 한다. 그.. 경제 2014.03.05
'부산(釜山)' 지명 언제부터였을까? '부산(釜山)' 지명 언제부터였을까? 1474년 성종실록 38권에 첫 등장 고려시대 조그마한 부락인 부산부곡에서 동래의 속현으로 있다가 이후 부산포로 발전한 우리지역 부산을 언제부터 부산이란 한자명칭으로 불렀을까? 국립수산진흥원 한상복 어장환경과장이 1일 발표한 부산이 부산으로.. 부산 재발견 2014.03.05
백운산>>망월산>>철마산 종주!~ 백운>>망월>>철마산 종주!~ 금정산 주능선과 흡사 초보자.가족산행 `적격` 경남 양산군 창기마을과 임곡마을 사이에 위치한 백운산을 시작으로 남으로 길게 뻗어있는 철마산까지 가족이 함께 [종주산행]을 떠나 본다. 시내를 벗어나자마자 가볼 만한 산들이 즐비한 7번 국도변은 .. 山 2014.03.05
'허리 통증' [전문의 건강수첩] [전문의 건강수첩] '허리 통증' '평생 관리'가 해답 대부분의 사람은 척추디스크병이 완치되는 것으로 생각한다. 때문에 진료실에서 가장 흔히 듣는 질문 가운데 하나가 "이렇게 하면 완치가 되겠습니까"라는 말이다. 하지만 실상은 전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척추디스크병은 인간이 직립.. 건강 이바구 2014.03.01
동천 재생 4.0 [부산의 미래를 흐르게 하자] <2-6> '물길 되찾기'- 하천 연계 도시 재생 사례 동천 재생 4.0 [부산의 미래를 흐르게 하자] <2-6> '물길 되찾기'- 하천 연계 도시 재생 사례 하천·인간 공존 초점…칙칙한 복개 걷어내니 도시가 촉촉해졌다 전북 전주시 노송천의 정비 전(왼쪽)과 후의 모습. 주차장으로 활용되던 복개 구간이 콘크리트를 걷어낸 뒤 생태하천으로 탈.. 환경 2014.03.01
이야기 공작소 <11-3> [남구의 숨겨진 스토리들]- 우암동 '소막' 이야기 이야기 공작소 <11-3> [남구의 숨겨진 스토리들]- 워!~워!... 우암동 소막 이야기 저기 소바위가 보이느냐 그래서 우암, 우암포지… 지금은 흔적도 없어, 일본인들이 바다 메워서 소막사를 만들겠다고 박살내버렸거든 부산 남구 우암2동 주민센터 인근에는 일제시대 소막사를 개축한 가.. 부산 이바구 2014.03.01
[부산 사람도 모르는] 부산 생활사 <2> 부산의 '요리점' 이야기 [부산 사람도 모르는] 부산 생활사 <2> 음식인가? 유흥인가? '부산의 요리점' 이야기 일제강점기 음식+유흥 접대공간 '요리옥(料理屋)' 번창…미도파, 日까지 유명 요리옥 '요시하나' - 여주인 오규 요시오(오른쪽)와 내부 모습. 부산박물관 제공 - 용두산 일대 日人 거주지서 - 처음 생기.. 부산 이바구 2014.03.01
[茶飯事] ① '프롤로그' - 차는 좋은 인연 [이근주의 茶飯事] ① '프롤로그' - 차는 좋은 인연 스트레스 쌓일수록 '다반사'하시길!… ▲ 차는 기록상 2700년 전부터 마신,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음료이다. 도림원 제공 차는 음료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지녔다. 중국 당나라 때 차의 성인으로 추앙받던 육우의 '다경'에 따르면 기원전 2700.. 食 2014.02.26
[부산, 사진을 재발견하다] ⑦ '벽 속'의 사람 [부산, 사진을 재발견하다 신진작가 포트폴리오] ⑦ 벽 속의 사람 / 이순남 '환상'의 놀이 ▲ 벽 속의 사람 ▲ 벽 속의 사람 ▲ 벽 속의 사람 이순남의 '벽 속의 사람'은 연출을 통해 재현한 사진이다. 굴뚝과 공장으로 상징되는 회색 도시, 울산에서 공장을 짓기 위해 쫓겨나 '신화' 마을이.. 부산 이바구 [예술] 2014.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