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영화지도]를 그리다 <2> 중구 ② [부산 '영화지도'를 그리다] <2> 중구 ② 국제시장에서 군화 팔던 임권택, 40계단서 '가난' 배웠다 ▲ 40계단은 역사와 문화를 기억의 주름 속으로 불러들이는 곳이다. 이 계단 중턱에 아코디언 켜는 거리의 악사 동상이 말없이 앉아 있다. '영화도시 부산'으로 들어가는 창 40계단은 영화.. 부산 이바구 [예술] 2013.08.24
체질과 음식 이야기 <2> [육고기]에 대한 오해 체질과 음식 이야기 <2> [육고기]에 대한 오해 태음인 소고기·소음인 삼계탕 좋다 최근 콜레스테롤이나 혈전 질환의 증가로 육고기는 인체에 많이 해로운 음식으로 낙인 찍힌 신세다. 심지어 육고기를 먹으면 암 세포의 성장을 도우며, 소고기는 기름기가 우리 몸의 혈관을 막아 병.. 건강 이바구 2013.08.24
이야기 공작소 <6-3> [송상현 광장 스토리텔링]- 미리 가 본 송상현광장 이야기 공작소 <6-3> [송상현 광장 스토리텔링]- 미리 가 본 송상현광장 흐름과 소통, 대륙과 해양, 미래가치가 어우러지는 열린 마당 부산 이바구 2013.08.24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15> [양산] '가야진용신제'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15> [양산] '가야진용신제' 삼국시대부터 2000년 세월 명맥 이어온 국내 최장수 제례 가야진용신제보존회 회원들이 지난 5월 경남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 가야진사 천제단에서 제례를 거행하고 있다. 가야진용신제보존회 제공 - 매년 음력 3월 초정일날 - 뱃길 ..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2013.08.24
[부산 '영화 지도'를 그리다] <1> 중구 ① [부산 '영화지도'를 그리다] <1> 중구 ① 청년 나운규의 '꿈과 열정'이 골목마다 서린 영주동·동광동 길 ▲ 영주동 구 시장에서 본 동광길 모습. 약 90년 전에는 나운규가 영남여관을 나와 이 길 어딘가를 지났을 것이다. 한국인에게 부산은 어떤 도시일까? 과거 부산은 우리나라 제2의 .. 부산 이바구 [예술] 2013.08.17
이야기 공작소 <6-2> [송상현 광장 스토리텔링]- 팩션-동아시아를 움직인 '충렬공의 여인'들 이야기 공작소 <6-2> [송상현 광장 스토리텔링]- 팩션-동아시아를 움직인 '충렬공의 여인'들 '도쿠가와'가 '도요토미'를 말렸다 "송상현의 여인을 건드려 좋을 게 없습니다" 매년 10월 열리는 동래읍성 역사축제의 주요 프로그램인 '동래성 전투 재현' 현장극. 송상현 동래부사(의자에 앉.. 부산 이바구 2013.08.17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14> '가야 역사 품은' [장유사]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14> '가야 역사 품은' [장유사] '수로왕·허왕후' 처음 만나 부부의 연 맺은 곳 - 허왕후 오빠 장유화상 - 누이따라 가야왔다 창건說 경남 김해시 대청동 불모산 자락에 자리하고 있는 장유사. 김수로왕과 허왕후가 만나 첫 날을 보낸 장소로 알려져 있는 등 가..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2013.08.17
부산 이야기길 <5> [근대 건축물] 투어 부산 이야기길 <5> [근대 건축물] 투어 일제강점기·한국전쟁 상처-치유의 흔적 오롯이 간직한 원도심 매축지 마을 전경. 일제강점기 때 매립을 거쳐 형성된 후 마구간으로, 8·15 해방 이후 귀환동포와 피란민의 삶의 터전으로 쓰였다. #1 40계단∼부산근대역사관 6·25 피란민들 아픔.. 부산 이바구 2013.08.10
[여섯 빛깔 여름 이야기] <수상 레포츠 천국> 부산 [여섯 빛깔 여름 이야기] 수상 레포츠 천국 부산 부산의 강과 바다 레포츠가 살아 있네! ▲ 부산은 수상레포츠의 메카다. 다대포해수욕장에서 카이트보딩을 즐기고 있는 동호인들. 부산시가 마련한 수상레저 아카데미를 이용하면 싼 가격에 각종 레포츠를 즐길 수 있다. 부산일보 DB 올 여.. 부산 이바구 2013.08.10
이야기 공작소 <6-1> [송상현 광장 스토리텔링] - 송상현의 부인이 띄우는 글 이야기 공작소 <6-1> [송상현 광장 스토리텔링] - 송상현의 부인이 띄우는 글 서방님 곁에 묘가 둘인데, 저는 어찌 이 먼데 누웠습니까 송상현 공의 후손들이 사는 청주시 강상촌(綱常村) 충렬사 입구의 마을 비석. 강상이란 마을 이름은 삼강오륜과 삼강오상, 즉 사람이 지켜야 할 도리.. 부산 이바구 2013.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