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11> [한산도] 제승당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11> [한산도] 제승당 한산대첩, 그 빛나는 현장…충무공의 위용이 가슴을 친다 하늘에서 바라본 제승당 전경. 제승당 앞 한산만은 바다에 둘러싸여 있어 천혜의 요새나 다름없어 보인다. - 이순신 함대사령부·왜적 섬멸 본거지 - 수려한 바다풍경 어우러져 ..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2013.07.27
부산 이야기길 <2> [가덕도 외양포] '포진지' 터 부산 이야기길 <2> [가덕도] 외양포 포진지 터 주민 노역으로 만든 일본군 요새…100년 전 포성 들리는 듯 외양포 마을 언덕에 있는 일본군 요새 사령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포진지 터에는 탄약고, 방공호 등으로 쓰였던 공간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이곳을 덮고 있던 대나무와 칡덩굴.. 부산 이바구 2013.07.20
[여섯 빛깔 여름 이야기] <폭포 여행> [여섯 빛깔 여름 이야기] 합천 · 거창 · 밀양 <폭포 여행> 장쾌한 '황계' 다소곳한 '유안청' 은밀한 '구만' … 더위야 가라!~ ▲ 영남알프스의 준봉 구만산이 숨기고 있는 구만폭포의 비경. 폭포에 떨어져 죽은 통장수의 슬픈 전설이 서려 더 신비롭다. 장쾌한 황계폭포, 다소곳한 유안.. 부산 이바구 2013.07.20
이야기 공작소 <5-2> [오륙도] 이기대 스토리텔링 - 그림과 시에 담은 오륙도 이야기 공작소 <5-2> [오륙도]이기대 스토리텔링 - 그림과 시에 담은 오륙도 한센인들의 서러움 달래주던, 뱃손님을 두팔 벌려 맞이하는, 관광객엔 이야기 보따리 푸는 그대, 부산의 연인 송영명 화백이 그린 '오륙도'. 부산 남구 용호동 승두말의 유채꽃밭과 푸른 바다가 어우러져 봄.. 부산 이바구 2013.07.20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10> [울주] 치산서원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10> [울주] 치산서원 한가족의 충절·정절·효절, 돌보다 굳은 전설로 남다 울산시 울주군의 치산서원. 이곳에는 만고충신 박제상과 정절의 표상인 김 씨 부인, 효성이 지극했던 두 딸 등의 영정과 위패가 모셔져 있다. - 왜왕 속여 신라 왕제 구해낸 박제상 -..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2013.07.20
부산 이야기길 <1> [허황후] 신행길 부산 이야기길 <1> [허황후] 신행길 숨겨져 있던 수많은 이야기를 캐러 길을 떠나다 부산 강서구 송정동 망산도. 허황후가 인도 아유타국에서 가야에 처음으로 도착해 배에서 내린 역사적 지점이다. 자세히 보면 망산도를 이루고 있는 거대한 바위들이 거북이 등처럼 갈라져 있는데, .. 부산 이바구 2013.07.14
[여섯 빛깔 여름 이야기] 물과 노닐다 [여섯 빛깔 여름 이야기] 물과 노닐다... ▲ 하늘에서 물이 새고 있는 걸까? 합천 황계폭포의 우람한 물줄기가 뇌성을 지르며 주저없이 낙하하고 있다. 바라만 봐도 속이 후련해진다. 정종회 기자 jjh@ "지나가는 모든 게 흐르는 물과 같아 밤낮으로 멈추지 않는구나." 공자는 세월을 물처럼 .. 부산 이바구 2013.07.14
이야기 공작소 <5-1> [오륙도·이기대] 스토리텔링 - 프롤로그 : 더 큰 바다를 찾아서 이야기 공작소 <5-1> [오륙도·이기대] 스토리텔링 - 프롤로그 : 더 큰 바다를 찾아서 허허~ 고놈들, 바다 위 천연요새를 설산으로 바꾸었구나 가마우지 무리가 부산 남구 오륙도 굴섬 절벽에서 망중한을 즐기고 있다. 굴섬은 국내 최대 민물가마우지 월동지다. - 오륙도 굴섬 점령 가마.. 부산 이바구 2013.07.14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9> 창원 [성산패총]·야철지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9> 창원 [성산패총]·야철지 박정희 대통령 단숨에 달려오게 만든 '고대 철기 산업단지' 성산패총 유물관에 보존하고 있는 야철지의 모습. 사진 한 가운데 울퉁불퉁한 흙이 있는 곳이 철을 만들어 낸 야철지다. 박동필 기자 - 선사시대 먹다버린 조개껍데기 .. 유적지 따라 이야기 따라 2013.07.14
[BMW(Busan+Bus, Metro, Walking)] ⑨ 토성동 ~ <감천문화마을> ~ 아미동 [BMW(Busan+Bus, Metro, Walking)] ⑨ 토성동~ 감천문화마을~ 아미동 옥녀봉~천마산 자락 계단식 주거 '한국의 마추픽추' 한눈에 ▲ 옥녀봉과 천마산 자락에 자리잡은 감천문화마을 전경. 토성동은 경남중학교 인근에 남아 있던 반월 모양의 토성에서 유래했다. 이웃 동네인 아미동의 '아미'(蛾眉).. 부산 이바구 2013.07.07